View : 774 Download: 0

청년실업자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청년실업자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nemployed youth's Job-Searching Behavior
Authors
이교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현재 우리 사회는 지금 제 2의 IMF 위기를 맞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전반적인 경제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 얼마 전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는 경제전망의 불투명성 때문에 매 분기 발표하던 분기별 경제전망보고서를 아예 내지 않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지난 1997년 IMF 외환 위기 이후 두 번째 일로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이 매우 심각함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경제상황으로 내수침체 및 투자부진 등 고용창출 능력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청년실업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 청년실업이 지속될 경우 실업자 개인에게 큰 고통일 뿐 아니라 인적자본의 훼손을 가져와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 매우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직행동은 실업으로 인해 개인 및 가족에게 미치는 경제적, 정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재취업의 예측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실업이 개개인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무시할 수 없고 개인의 실업상황을 종결할 수 있는 것이 재취업이므로 이에 선행되는 구직행동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청년실업과 관련하여 청년실업자들을 대상으로 재취업의 예측요인이 될 수 있는 구직행동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자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기초로 하여 종속변수를 구직행동으로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성별, 학력 등 인구학적 요인과 실업요인으로 실업기간을, 기존연구에서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구되어 온 심리적 요인인 구직효능감과 청년층 실업문제 해소를 위한 정부 정책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직업훈련과 청소년직장체험프로그램의 참여여부라는 제도적 요인이 청년실업자의 구직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 5개구를 관할하는 3곳의 고용안정센터에서 15~29세 사이의 청년실업자들을 대상으로 성별, 학력, 실업기간, 구직효능감, 직업훈련경험, 청소년직장체험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직행동에 대한 측정은 대상자가 설문에 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 2주 동안의 구직행동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사례는 총 153부로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Cronbach's Alpha, Crosstabs, 기술분석 및 빈도분석, T-test, ANOVA, 단순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실업자들의 구직행동은 5점 만점에 평균 2.6525로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행동을 살펴보면 인터넷을 통해 구직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이 평균 3.810으로 가장 높았고 경기불황에 따른 일자리감소의 영향으로 구인자와 직접 면담에 응하는 행동이 2.13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은 여성이 52.9%로 남성보다 약간 많았고 학력은 전문대졸, 고졸, 대졸의 순이었다.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학교 중퇴자의 비율도 11.8%로 나타났다. 실업기간은 1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이 47.0%로 가장 많았고 6개월 이상의 장기실업자의 비율도 전체 29.5%로 높았다. 구직효능감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1716으로 나타났다. 직업훈련과 청소년직장체험프로그램의 참여비율은 각각 22.2%, 16.9%로 나타났다. 셋째, 구직행동과 독립변수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변수들에 따른 구직행동은 구직효능감, 청소년직장체험프로그램, 직업훈련, 실업기간의 순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변인들과 구직행동과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구직효능감, 직장체험, 직업훈련, 실업기간의 변인이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청년실업자들의 구직행동을 높이고 지속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실업기간이 길어지기 전 조기에 개입하여 다양한 구직 프로그램 등을 통해 심리적인 위축을 줄이고 여러 정보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며 구직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직업훈련과 직장체험프로그램 참여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A public concern about unemployed youth is getting more and more increasing while slowdowning of economic growth at present. If the youth unemployment last, it has a bad influence on the economic growth in a long period. Job-Searching Behavior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reduce economical and emotional burden on unemployed people and their family and it can also be an indication of possible reemployment.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 on unemployed youth's Job-Searching Behavior in connection with the youth unemployment that it can be a serious social problem. Dependency variable of this research is Job-Searching Behavior. Independency variables are general factors, unemployment factor, psychological factor, repre- sentative unemployment policy for youth. To rearch the aim of this study indicated above, this research analyses the relations between the Job-Searching Behavior and gender, academic backgrounds, unemployment duration, job-search self-efficacy, occupation training, youth's job-experience program by administration support. For practical analysis, survey was carried out at the 3 Employment Security Centers in Seoul, which control over 5 district of Seoul. The population in this investigation is 15 to 29 years old unemployed youth. The measurement of Job-Searching Behavior is past 2 weeks at this point of time answering the Q&A. A total of 153 cases were involved in the practical analysis. This result was analyzed by Cronbach alpha, Descriptive Statistic, T-test, ANOVA, Crosstabs, Correlation, Bivariat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0.0. The following is a brief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First, Job-Searching behavior of unemployed youth produced 2.6525 marks on the average, and it is middle of the level. Look in detail, seeking through the internet amoung the variety Job-Searching behavior is the most high level. Because of decreasing employment, job interview behavior in direct showed 2.130 at the lowest marks. Second, the rate of the femail is 52.9 percentage and it is a little higher through the investigated people. Academic backgrounds is college, highschool, university, graduate school in order. The percentage of the school dropout is 11.8 marks due to depression of economic. One month through six month is the most high level amoung unemployment period. The average of job-search self-efficacy showed 3.1716 of the 5 full marks. The rate of occupation training, and youth's job-experience program by administration support is each 22.2 persentage, 16.9 persentage. Thirdly, relations between the Job-Searching behavior and Independency variables are found. According to variables, the highest relation with Job-Searching behavior is job-search self-efficacy. Youth's job-experience program by administration support, occupation training, unemployment period showed their relations with the Job-Searching behavior in regular sequence. Lastly,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es of Job-Searching behavior and each variables, job-search self-efficacy, occupation training, and youth's job-experience program by administration support are variables that affected Job-Searching behavior. As you can see from the above, in order to help to raise and to continue Job-Searching behavior, we need to intervene in early time, and decrease psychological shrinkage, and offer environment with variety information, and obtain self-confidence about searching job, and expand that participate occupation training, and youth's job-experience program by administration supp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