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희-
dc.creator김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0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1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07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households invest in their children as a human capital. In addition, contributing factors to households’ human capital investment was examined. Total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consisted 622 married couples of nuclear families having children aged under 18(in Korea). 350 housewives and 272 housewives having a job, answered the research question. The dependent variable in empirical model, was households’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it was defined by households’ spending time for child care, the households’ expenditure on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total expenditure on time investment and money investment when households’ time for child care was converted into Won valu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 socio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ild-related factors, and parents’ (housewives’) tendency to investment for child care. For analysis, means and frequencies were computed for total sample. To estimate models,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and Probit analysis were employed and Tobit analysis was performed since the dependent variable of expenditure on child care was censo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ousewives’ tendency to investment in child care, was measured by housewives’ value on sons and daughters, housewives’ expectancy of them, and housewives’ ability to manage children. The result shows that .The housewives evaluated emotional value on their children was better than fair, while economic and social value excluding emotional value was comparatively low. The housewives’ ability of managing children was better than average. Moreover, housewives’ expectancy of children’ future life,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 was higher than children’ expectancy, respectively. Second, Average number of children 2 children of surveyed housewives, professional housewives had more time spent for children than working counterparts. The former spent 6.8 hours a day with the latter 4.98 hour a day while both of them shared the most time in nonphysical care of their children. Meanwhile, money paid for children was average 994,000 won a month, calculated based on statistical data that a professional housewife family spent 1,014,000 and a working housewife family paid 974,000. For children education, both families paid more than any other sectors, which reflects private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keen competition to enter a university. 1,796,000 won was total investment by expert substitute expense method, in which total investment for children was calculated by converting value of brining up a child into money by the use of all the time housewives spent for their children, and then summing it into all money invested. Third, A level of proficiency in the eldest child’s study, housing ownership, life cycle, husband’ jobs, the number of children, and physical health were variants making a significant impact on housewives’ investment tendency for their children. In the ability of managing children,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was a variant, and in an expected educational level, significant variants are financial property & housing ownership,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the number of children, a level proficiency in the eldest’s study, and children’s emotional health etc. And in children’s future standard of living, working housewives or professional housewives, husbands’ occupations, monthly income, and children’s emotional health were influential variants. Forth, Total amount of time housewives spend for their children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employment status of the housewife a job. In addition to it, it was found the unhealththier their children are, the more time they spend for children. Fifth, In the amounts of money invested for children, the most influential variants were monthly income and life cycle. The less significant variants were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ir physical health. Money investment for children was, therefore, decided by variants such as monthly income, the number of children, and health rather than ability of managing children and expectation for children. Sixth, Monthly income, children’s physical health, housewives’ educational level, and the number of children etc. were variants remarkably influencing all investment amount of time plus money spent for children. It was, therefore, confirmed that monthly income, amounting for investment ability of parents, is a key factor to decide human capitals investment for children.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ir health were also one of the variants which decide total investment amount. The above results show the amount of resources consumed for children are considerable, objectively suggesting the degree of resource allocation for children. Human capital investment on children aims at improving future labor productivity of children and economic welfare through present consumption rather than future investment such as heritage. Therefore, measurement of current investment amount of human capital for children will offer important basic materials to predict future economic welfare, labor quality in society, and the degree of social development, while measurement of all the time spent for children at home will help housewives to understand value of bringing up a child properly and decide when to apply for a job again and to be trained for the job. And it will also provide working housewives with fundamental information to make a policy for raising children and improvement of welfare. The levels of future economic welfare and social development will be predicted by identifying influential variants which decide investment amount of human resources for children, and both family and society should continue to strive to make a policy for welfare of future family life. ; 본 연구는 자녀를 인적자본으로 보고 자녀의 인적자본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정의 투자행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녀에 대한 주부의 투자성향을 살펴보고, 자녀에게 투자한 시간 및 금전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가정에서의 자녀 양육비용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남편과 만 17세 이하(고등학교 3학년 이하)의 자녀가 있는 핵가족의 주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는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전업주부 350명. 취업주부 272명, 총 622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 백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중회귀분석, Probit 분석, Tobit 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에 대한 가치, 자녀에 대한 가치 중 정서적 가치는 비교적 높았으며, 경제적, 사회적가치는 낮은 편이었다. 자녀에게 기대하는 생활수준, 교육수준, 직업등으로 자녀에 대한 기대 정도를 측정한 결과 생활수준은 중상류, 교육수준은 적어도 대학교 이상, 그리고 직업은 대부분 전문기술직 이상에 속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계획, 조직, 수행, 통제 등 4개의 하위 영역으로 측정된 자녀관리 능력은 비교적 우수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주부의 평균 자녀수가 2명인 것을 기준으로 할 때, 주부가 자녀를 위해 소비하는 시간투자의 양은 1일 평균 6.01시간이었으며, 이 중 비신체적관리, 식생활 영역 등에 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자녀를 위한 금전투자의 양은 월평균 99만 6천원이었으며, 이중 교육비, 식비 등에 가장 많은 돈을 지출하였다. 가정에서 주부가 자녀를 위해 소비하는 시간의 양을 기초로 주부의 자녀양육가치를 화폐액으로 환산하고 금전투자량을 합산하여 자녀를 위해 사용하는 총투자량을 산출한 결과 자녀를 위한 총투자량은 179만6천원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자녀에 대한 주부의 투자성향 중 자녀에 대한 가치에는 첫자녀의 학업성취도, 주택소유, 생활주기, 남편직업, 자녀수, 신체적 건강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주부의 현재 생활수준이 자녀에게 기대하는 생활수준보다 높은 집단에는 주택소유, 주부의 현재생활수준보다 자녀에게 기대하는 생활수준이 같은 집단에는 근로소득, 그리고 주부의 현재 생활수준보다 자녀에게 기대하는 생활수준이 높은 집단에는 근로소득과 자녀가 국민학교인 생활주기가 유의한 영향변수였다. 또한 자녀관리능력에는 주부교육과 막내자녀 연령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넷째, 주부가 자녀를 위해 소비하는 총시간량은 막내자녀연령과 주부의 취업유무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은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자녀의 신체적 건강이 나쁠수록 자녀를 위해 소비하는 시간의 양이 증가하였다. 다섯째, 가정에서 자녀를 위해 지출하는 금전투자량에는 근로소득, 첫자녀가 유치원, 국민학교 단계인 생활주기가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녀수, 자녀의 신체적 건강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그러므로 자녀를 위한 금전 투자에는 자녀관리능력, 자녀에 대한 기대보다는 근로소득, 자녀수, 건강에 따라 투자액이 결정되고 있다. 여섯째, 자녀를 위해 소비하는 시간투자와 금전투자를 합한 총투자량에는 근로소득, 자녀의 신체적 건강, 주부교육, 자녀수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자녀를 위한 부모의 투자능력에 해당되는 근로소득이 자녀를 위한 인적자본 투자를 결정하는 중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투자의 기회라 말할 수 있는 자녀수, 자녀의 건강 또한 자녀의 총투자량을 결정하는 변수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가정에서 자녀를 위해 소비하는 자원의 양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자녀에 대한 자원배분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제시해주는 것이다. 자녀에 대한 인적자본 투자는 유산상속과 같은 미래시점에서의 투자가 아니라 현재 소비를 통해 미래의 자녀의 노동생산성 및 자녀의 경제적 복지를 증진시켜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가정에서 자녀를 위한 인적자본 투자량을 측정함으로써 미래의 경제적 복지 및 사회에서의 노동의 질과 사회발전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주부가 자녀를 위해 소비하는 시간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주부의 자녀양육과 관련된 가정생산의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하고, 이를 통해 전업주부에게는 재취업의 시기 및 직업 훈련 시기를 결정해 줄 수 있을 것이며, 취업주부에게는 자녀양육의 문제 및 복지증진을 위한 정책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다. 이를 위해 앞으로 자녀의 인적자본 투자량을 결정하는 영향 변수를 밝힘으로써 미래의 경제적 복지 및 사회발전의 정도를 예측하고, 미래 가정생활의 복지증진을 위한 정책마련을 위한 가정 및 사회의 노력이 제시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인적자본으로서의 자녀 -------------------------------------------- 8 B. 자녀에 대한 투자성향 --------------------------------------------- 15 C. 자녀의 인적자본을 위한 투자행동 ---------------------------------- 18 D. 자녀에 대한 투자행동과 관련변수의 고찰 --------------------------- 24 Ⅲ. 연구방법 --------------------------------------------------------- 34 A. 연구문제의 설정 -------------------------------------------------- 34 B. 측정도구와 척도의 구성 ------------------------------------------- 35 C. 연구대상 및 자료의 분석 ------------------------------------------ 40 Ⅳ. 결과 및 해석 ----------------------------------------------------- 43 A. 기초자료의 분석 -------------------------------------------------- 43 B. 연구문제의 분석 -------------------------------------------------- 61 Ⅴ. 요약 및 결론 ----------------------------------------------------- 94 참고문헌 ------------------------------------------------------------- 99 부록 -----------------------------------------------------------------114 영문초록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140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인적자본으로 본 자녀에 대한 투자행동 : 시간투자 및 금전투자를 중심으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