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19세기 시조의 변모양상 : 조황, 안민영, 이세보의 개인시조집을 중심으로

Title
19세기 시조의 변모양상 : 조황, 안민영, 이세보의 개인시조집을 중심으로
Authors
이동연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중세문학의 근대이행기적 동향을 파악함에 있어 19세기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놓여 있다. 18세기 시조사에서 검출된 뚜렷한 근대적 징표들이 어떤 결로를 거쳐 20세기 시조사로 이행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필연적으로 19세기를 경우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19세기 시조사를 위와같은 시각에서 파악하기 위한 자료로, 기존 연구의 중심 자료이던 가집 대신 개인 시조집에 주목하기로 한다. 19세기 개인시조집은 조황의 『삼죽사류』, 안민영의 『금옥총부』, 이세보의 『풍아』로 단 3권이나, 18세기와 20세기의 연결고리라는 시각에서 19세기 시조사를 해명하는 데에는 보다 유효한 자료일 수 있다. 첫째, 그 시조문학적 의의로 인해 18세기 시조사가 19세기로 어떻게 이월되는지를 관찰하게 하며, 둘째, 시조음악에 대한 개별적 향유 사례집이기에 19세기 시조음악의 동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하며, 셋째 19세기 시조의 음악적 융성 안에서 진행되어 간 시조문학의 새로운 추이를 발견하게 함으로써 19세기와 20세기 시조사를 접맥시킬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개인시조집의 이러한 자료적 유효성에 주목한 본고의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인시조집 출현의 시조사적 배경, 즉 개인시조집의 작가들이 전시대 사대부들과 달리 우리말 폄하의식을 극복하고 개인시조집을 편찬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다음 두 가지 사실이 지적될 수 있다. 첫째, 18세기 시조가 음악적으로 발달한 여파로 19세기 시조는 신흥음악인 민속악과 경합을 벌이는 고급음악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음악의 창사는 어차피 우리말이나 음악장르끼리의 서열다툼에서 우리말이 문제될 리 없고, 19세기 민간 성악곡들 중에서는 정악인 시조(가곡창·시조창)가 가장 중세적 정통성이 있는 장르이니, 한시 하위문학장으로 존재할 때의 열등감은 완전히 극복되고 만다. 둘째, 18세기부터 두드러지는 자국어 출판물의 대량 확산 현상이 19세기에도 계속 이어지며 특히 국문 창사집인 가집이 왕성하게 출판된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19세기 시조음악 향유객들 주변에 국문 창사집이 일상화된 현상으로 범람하고 있었음을 말해 주며, 나아가 역시 시조음악 향유객이었던 개인시조집의 세 작가가 자연스럽게 국문 시조집에 대한 편찬의욕을 갖게 된 배경을 설명해 준다. 2. 개인시조집 분석을 통해 드러난 세 작가의 음악적·문학적 취양은 다음과 같다. 조황은 가곡창의 교화적 효용을 신봉하는 산림으로서, 향촌 중심으로 전승되어 온 연시조 형식에 기대어 ‘사대부 시조의 교술시적 전통을 강화’한 교술시조들을 저작한다. 안민영은 가곡창의 음악적 전문화에 천착하는 가객으로서, 가곡창의 중세성과 예인의식의 근대성을 절묘하게 조화시켜 온 ‘가객시조의 전통을 계승’하되, 문인의식과 심미적 미감을 결합시켜 근대적 서정시에 근접한 애정시조를 창작하기에 이른다. 이세보는 아마튜어 성악곡인 시조창의 향유객으로서, 풍류판에서는 관습에 따라 애정 시조를 짓지만 비공식적으로는 사대부 시조의 지식인문학적 전통을 병용시키고 있다. 즉 ‘사대부 시조 전통을 역대칭 구조로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3. 개인시조집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구체화된 19세기 시조의 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세기 시조는 공식적으로는 음악으로 존재한다. 가곡창은 ‘연회용 전문공연음악’으로서의 역량을 닦아 왕실로까지 진출하며, 시조창은 유교권 지식인들의 ‘대중적 풍류음악’으로서 기방 또는 풍류방을 중심으로 활약하게 된다. 둘째, 그러나 개인시조집 수록 시조시들에는 음악의 창사로 지어진 것 뿐 아니라 음악과 무관하게 기어진 작품들도 공존한다. 즉 ‘공식적 唱詞-비공식적 創作’의 이원적 문학행위의 결과인 것이다. 개인 시조집 수록 시조시들의 또 한 특징은 세 작가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공통점이 없다는 것이다. 즉 이들은 각각 기존의 ‘시조문학 전통을 개별 선택적으로 계승’하고 있는 것이다. 4. 하지만 20세기 시조문학과 구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이세보 뿐이다. 조황의 교술적 연시조들은 사대부 연시조 전통의 최후 단계에 해당하며, 안민영은 전문 작사가라는 특수한 개별 직능으로부터 문인의식이 생긴 경우이므로, 양쪽 다 이후의 전승계보를 갖지 못한다. 그러나 이세보는 시조창 풍류객들도 경우에 따라 지식인 비판문학을 창작할 수 있음을 시사해, 19세기 시조창 시조시와 20세기 개화기 시조가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보인다. 5. 개인시조집을 통해 파악된 19세기 시조사의 교량적 역할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18세기 시조사가 진행시켜 온 음악적 발달 추세를 적극 계승해 마침내 시조를 음악장르권으로 편입시켜, 20세기 지소가 음악장르로 존재할 기반을 다지게 한다. 둘째, 19세기 시조의 음악적 융성안에서 그 창사를 개인 문자문학 형식으로 활용하는 기운을 태동시켜, 20세기 벽두 개화기 시조의 출현을 자연스럽게 예비하게 한다. ; This nineteenth century was the crucial time for understanding the transitional trends from medieval to modern literature, because the explanation of how the prominent modern traits detected in the eighteenth-century si-jo transmitted to the twentieth-century si-jo should come from the nineteenth centu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nineteenth0centry si-jo from such point of view,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rivate si-jo collections instead of the ga-jibs which have taken the central place in the previous studies. Although there are only three such collections-Cho Hwang s 〈Sam Juk sa Ryu〉; An Min-Young s〈Kum Ok Chong Bu〉; and Yo Se-Bo s〈Poong A〉-- they seem to be more suitable sources for illuminating the link between the eigh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First, the significance of the private transition form the eighteenth- to nineteenth-century history of si-jo had taken place, Second, since they are individual appreciative cases of si-jo music, we can trace the trends in the nineteenth-century si-jo music more concretely, Third we can put together the nineteenth- and twentieth-century history of si-jo by finding the new traits of si-jo literature in the middle of the musical flourish of nineteenth-century si-jo.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has focused on the validity of the private si-jo collections as source materials, are as follows: 1.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the private si-jo collections, i.e., the background that enabled the authors of the private si-jo collections, unlike the men of the high birth in the previous era, could overcome the prejudice against the native language can be explained by two reasons. First, as a result of the musical development of the eighteenth-century si-jo, the nineteenth-century si-jo became a part of higher0level music, in competition with the newly developed folk music. Since the text of the song is naturally in the native tongue, there was no conflict between the musical genres under such circumstances. Si-jo, as a part of jeong-ak (court music), was the highest level music with existed when it was deemed as a lower literary genre to the poems in Chinese characters was completely overcome. Second, the mass circulation of the publications in native tongue which began prominently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continued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especially the thriving publications of ga-jib which is the collection of song texts in native tongue. This suggests the general circulation of the song collections in native tongue among the nineteenth-century appreciators of si-jo music, and provides the explanation for how the explanation for how the three authors of private si-jo collections, as appreciators of si-jo music, involves with the publication of the si0-jo collections in the native language without any reservations. 2. The musical and literary tastes of the three authors revealed by the analysis of the private si-jo collections are as follows: Cho Hwang, as a believer in the didactic effectiveness of ga-gok chang, depended mainly on the form of strophic si-jo primarily cultivated around the country villages, and produces didactic poems “re-enforced with the didactic tradition of si-jo written by the men of high birth”. An Min-Young, as a singer striving for the musical specialization of ga-gok chang, created amorous si-jo closely related to the modern lyric poems by combining the conscience of the litarate with aesthetic beauty while “following the tradition of si-jo by professional singers” which balanced the medievalness of the ga-gok chang and the modernism of the conscience of the artisans. Yi Se-Bo, as an appreciator of si0-jo chang as amateur vocal music, wrote amorous si-jo in the manner of entertaining gatherings accompanied by si-jo chang while unofficially transforming the tradition of literary intellectuals, i.e. “in the reversed form of the tradition of the si-jo” by the men of high birth. 3. The trands of nineteenth-century si-jo reified by the analysis of private si-jo collec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nineteenth-century officially existed as music. The ga-gok chang cultivated its performing technique as “a professional performing music for dinner parties” and expanded its performing venue to the royal court, while si-jo chang flourished around the gi bang or pung-ryu bang as “popular entertainment music” of Confunian intellectuals. Second, not only the si-jo poems written as a text for the songs but also the ones which are not related to music co-exist in the private si-jo collections. These are results of double-layered litarary activity of “official texts-unofficial creation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si-jo in the private si-jo collections is the there is no common feature among the three author’s creative worlds. Each of them “independently and selectively follows the traditon of si-jo literature” in his own way. Third, the si-jo literature of the nineteenth century “began as a song text but getting closer to the literary genre”. It existed as a “private literature following individual taste” while the element of communal literature cultivated as a conventional poetry by the men of high birth faded. The nineteenth-century si-jo literature transformed into a “individualistic literature” as it prepared the modern age. 4. Only Yi Se-Bo, however, can be definitely connected with the twentieth-century si-jo. Cho Hwangs didactic strophic si-jo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last phase of the tradition of strophic si-jo by men of high birth, while An Min-Young started as a professional text producer who became a conscious literary men later. Thus, there was no followers for both of them. Yi Se-Bo, however, showed the feasibility of connection the nineteenth-century si-jo poetry of si-jo chang with the early twentieth-century si-jo by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creating critical literature of the men of letters by the men of refined tastes who enjoyed si-jo chang 5. The role of transition played by the nineteenth-century history of si-jo grasped by the private si-jo collection can be summarized in following two sentences: First, si-jo finally became a musical genre by continuing the eighteenth-century trend of musical development. It was in turn a preparation for the existence of the twentieth-century si-jo as a musical genre. Second, there developed a tendency of utilizing the text of song as personal written literature in the midst of the large flow of the nineteenth-century si-jo music, and prepared the smooth appearance of the new types of si-jo a 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