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태극-
dc.creator이태극-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9Z-
dc.date.issued197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0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1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031-
dc.description.abstract韓國의 固有한 定型詩인 時調는 3章6句體가 가장 妥當하다. 或 3章12句를 내세우기도 하나, 그것은 時調의 句가 文法的 句節法이나 韻律的 句節法에도 맞는 「敍情의 單位」또는「意味를 갖춘 하나의 文章의 段落」이기에 12句로 나누면 한개의 單語인 「竹林, 四壁, 하노라」같은 것을 하나의 句로 보기도 하고 또 몇 單語群인 「긴 江우희」「군 마음 없는 이는」같은 것들이 한句 가 되기도 하니 句로서의 統一性이 없다. 또 「朔風은 나무끝에 불고」같은 것은 3句로 보아야 된다는 結果가 되니 句 區分에 基準的 또는 理論的 矛盾이 생긴다. 또한 麗末의 何如歌나 丹心歌의 漢譯假도 6句로 되어 있고 歌辭니 別曲이니 鄕歌같은 것의 句도 「하나의 敍情의 單位」를 句로 잡고 있고 漢詩나 日詩도 그렇게 句法을 보고 있으니 當然히 時調의 한句도 「이몸이 죽어 죽어」「朔風은 나무 끝에 불고」「一枝春心을」등을 하나의 句로 區分지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을 律拍(音步)律로 보면 4律拍씩의 等時律이 이루어지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時調는 1句4律拍씩의 3章6句體의 形式을 갖추었다. 다음 각 詩歌句의 例를 보면 자연 한국 시가의 句形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漢詩의 한句 夏雲多奇峰 (2:3 調) ○ 日詩의 한句 古池や (2:3 調) ○ 鄕歌의 한句 東京明期月良 (2:2:2 調) ○ 別曲의 한句 가시리 가시리 잇고 (3:3:2 調) ○ 歌辭의 한句 江湖의 病이 깊어 (3:4 調) ○ 時調의 한句 이몸이 죽어 죽어 (3:4 調) 다음 字數律을 全然 無視하기도 하나 이 字數가 時調律格에 作用됨이 큼을 絶對的으로 認識하지 않을 수 없다. 즉 初章 1句가 2:4 調 또는 3:3:2 調로 構成됨이 많고 中章 1句가 2:3 調로 내려오는 경우가 거의고 終章 1句가 3:6 調 또는 3:5 調로 되되 그 첫머리는 반드시 3字로 시작됨이 또한 時調가 가지는 特徵이며 常例인 것이다. 또 終章2句가 4:3 調의 逆進律이 基準이 된다는 것도 音步律로만으로는 解明이 될 수 없게된다. 즉 終章1句를 音步律로만 따지면 2:4 調도 3:3 調도 4:4 調도 許容되어져야 된다는 理論이 成立되겠는데 이러한 律調는 時歌 終章 1句에는 全然 使用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도 過言이 아니다. 그러므로 時調의 韻律作用은 律拍(音步)律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構成字數에 따라 多樣하게 展開되는 것이람을 깨닫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結局 時調는 3章 6句의 章句를 가졌고 1句 4律拍씩의 定律을 갖춤과 동시에 字數律은 1句가 7字(終章 1句 除外)基準率을 가지고 1字 또는 2字가 自由롭게 增減되어지지만 初中章 1句와 終章의 1,2句에서는 特異한 字數 構成을 하고 있다는 結論이 成立된다. ; Sijo, a traditional set-form verse of Korea, has a 3-line 6-phrase form instead of a 3-line 12-phrase form, as generally advocated by many scholars. Either in terms of grammar or rhythm, a phrase of Sijo must be “ a unit of description” or “ a sentene with complete sense”. Those who insist on “a 3-line 12-phrase theory” treat as a single phrase such words as jookrim(竹林), sabyuk(四壁), hanora(하노라)or such word groups as kin kang woo he(긴 江 우희), goon maun upnon inom(군 마음없는 이는)thus taking both a word and a group of words as a phrase. Likewise, a sentence structure pattern “Sakpoongun namoo kutte boolgo” (삭풍은 나무끝에 불고)is classified into three phrases instead of one phrase as it should be. Moreover, the Chinese version of such old Korean verses in Koryu Danasty as Hayoga(何如歌), Dansimga(丹心歌)have 6-phrase forms and Kasa(歌辭), Byulgok(別曲)and Hyanga(鄕歌)as well as old Chinese verses and Japanese Haiku stick to the same format. These dictate that such structures as imomi joogu joogu(이몸이 죽어죽어)Sakpoongun namoo kutte boolgo(삭풍은 나무끝에 불고),Ilji choonsimun(一枝春心은)in Sijo should be taken as a single phrase instead of 2,3 and I respectively. In terms of rhythm, a phrase consists of quadruple time for each, which proves that Sijo has a 3-line 6-phrase form with four rhythms for each phrase. There is a general tendency to disregard the number of word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words plays a vital role in the rhythm of Sijo. In other words, the first phrase of the first line is mainly mace up of 2:4 or 3:3:2 in the number of words. The first phrase of the middle line is mostly composed of 2:3 forms in the number of words and the first phrase of the final line sticks to 3:6 or 3:5, always beginning with three words. And the fact that the second phrase of the final line maintains 4:3 forms, or a reversed order of 3:4 forms can not be explained only in metromones. In terms of rhythm, either 2:4, 3:3 or 4:4 forms could be found in the first phrase of the final line of Sijo, but neither of these forms are to be seen. From these findings, I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Sijo has a 3-line 6-phrase form, one phrase has quadruple time and that the average number of words of a phrase is sev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言 ------------------------------------------------------------- 1 Ⅱ. 時調의 章句法 ---------------------------------------------------- 2 A. 章句觀의 昨今 ---------------------------------------------------- 2 B. 章에 對한 考察 --------------------------------------------------- 4 1. 章의 槪念 ------------------------------------------------------- 4 2. 他 詩歌行과 章 -------------------------------------------------- 6 C. 句에 對한 考察 --------------------------------------------------- 7 1. 句의 槪念 ------------------------------------------------------- 7 2. 時調의 句 ------------------------------------------------------- 9 3. 中·日 詩歌句와의 對比 ------------------------------------------- 10 4. 韓國 他 詩歌句에서의 推定 --------------------------------------- 12 5. 時調自體의 句 形成上에서의 論證 --------------------------------- 15 Ⅲ. 時調 字數의 韻律作用 --------------------------------------------- 23 A. 導言 ------------------------------------------------------------- 23 B. 長短數와 律拍 및 字數 -------------------------------------------- 24 C. 初章 初句의 2:4 調 ----------------------------------------------- 29 D. 初章 初句의 3:3:2 調 --------------------------------------------- 33 E. 中章 初句의 2:3 調 ----------------------------------------------- 35 F. 終章의 3:5 調 및 4:3 調 ------------------------------------------ 38 G. 字數律과 律拍 ---------------------------------------------------- 41 Ⅳ. 結言 ------------------------------------------------------------- 45 附 Ⅰ ---------------------------------------------------------------- 47 附 Ⅱ ---------------------------------------------------------------- 54 附 Ⅲ ---------------------------------------------------------------- 58 參考書目 英文槪要-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850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시조의 형태적 연구 : 특히 그 장구법과 운율작용에 대하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7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