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6 Download: 0

부산의 복지공간에 관한 연구

Title
부산의 복지공간에 관한 연구
Authors
배미애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mainly concerned with an understanding of spatial pattern of welfare by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ndicators: thus an attempt for a social research is made to clarify spatial characteristics of welfare in Pusan through local welfare approach. The use of both kinds of indicators simultaneously helps supplement the weakness which each of this indicators holds. Especially, the subjective indicators, unlike the objective indicators based on a public agency s judgement about the occurrence of given phenomena, are based on subjective perception, attitudes and evaluations by individual s in aspect of their lives, including perception of their objective condition. Such an approach assumes that individual s perceptions can differenciate, or that their response or evaluations can rank between combinations of alternatives that yield higher or lower satisfaction to them. Also the selection of that exact differences. In this respect subjective indicators can substitute for objective measures. Main features of the results for which the research carried ou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regard an analysis of z-score by objective indicators, it is found that population sector of welfare level showed a higher score nearer to fringe area that other sectors. By contrast, health sector of welfare level is proved high degree at small local centers. As regard objective welfare characteristics b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it is found that component I is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of health and it marks high score at CBD and sub-CBD. ComponentⅡ is defined as welfare of economy and grades high degree at the area that occupies high proportion of service-jobs. Component Ⅲ and etc. are characterized more or less complex. Based o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 in respect of objective welfare, the distributional pattern is identified by two other analysis(z-core/principle component analysis)of health sector. According to this results, it is proved that the man-made welfare sector is valid. Second, it is identified that general satisfaction(residential, neighborhood satisfaction)and satisfaction by each sector(economic, housing, education, health, social)on this basis of crosstabulation are vari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Personal income and housing tenure are related with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age, job, length of resident, number of family are highly correlated in neighborhood satisfaction. Income and economic sector, tenure and housing sector, age and health sector are correlated highly. In addition to this, highly earned professional person of old age and upper classes who live in their own apartment houses with high social-economic status are satisfied highly at every sectors. Third, as regard subjective welfare characteristics by frequency, it is indicated that residential and neighborhood satisfaction show high degree respectively in the whole city. In case of the area that shows high degree of satisfaction, in general residential and neighborhood satisfaction have a tendency to accord with each other. In economic sector, satisfaction is proved a little low degree, but only at some are of CBD and sub-CBD, the satisfaction is high degree. Within educational and social sector, equal level of satisfaction in found in the whole city. Forth, in the respect of relative priority of objective or subjective welfare, it is indicated that the welfare level of economic and social sector show higher degree than any other sectors. Within every sectors(economic, housing, education, health, social), objective patterns of welfare are very different with subjective patterns. Fifth, excluding the relative priority of objective or subjective welfare, it is identified that there is inequality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pattern of welfare. And it is indicated that inequality is distinct in economic sectors in comparison with housing, health and social sectors. In the residential area or industrial area which has high proportion of industrial firms rather than in CBD or sub-CBD and residential area which has high proportion of service-jobs, it s shown inequal in welfare level. In the study of comparison by objective and subjective welfare, the spatial pattern of welfare level 4 levels: well-being, adaptation, dissonance, deprivation. The well-being level which means good objective welfare state and high degree of satisfaction of residents and bad objective welfare state. It is indicated that the spatial variations of inequality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dispersed in the whole city and especially the disparity of well-being and deprivation area is more dispersed than any other level of welfare. It is concluded that the welfare level in Pusan show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welfare in every area and sectors and that especially the inequality of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is dispersed in the whole city. If it is willing to give the priority of distribution of inequality area in dealing with the welfare policy, it will be able to expect equal distribution of welfare level in Pusan. ; 본 연구는 주.객관적인 사회지표를 사용하여 부산시 복지수준의 공간적 패턴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주.객관적 지표에 의한 복지의 공간적인 특성과 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복지공간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객관적 복지공간과 주관적 복지공간간의 불균형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객관적 지표에 의한 부산시 복지수준의 공간적인 분포는 표준점수와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표준점수에 의한 부문별 복지공간의 특성은 인구부문은 도시주변으로 갈수록, 경제부문은 도시내부지역과 도시주변지역에서 복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부문과 교육부문은 도시전반에 걸쳐 분산적인 양호한 복지공간패턴을 나타냈다. 보건부문은 도심과 부심지역, 사회부문은 부산시의 소규모 지역중심지에서 각기 높은 복지수순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성분점수에 의한 복지공간의 특성을 요약하면 성분1은 보건복지 의 특성을 지니며 주로 도심과 부심에서 높은 성분점수, 즉 보건복지수준의 양호함을 나타냈고, 성분2는 경제복지 로 규정지을 수 있으며 서비스업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성분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분3이하는 다소 복합적인 특성을 가진다. 2. 주관적 지표를 통한 주민의 사회경제적인 특성과 일반적 및 부문별 만족도와의 관계를 교차분석한 결과 소득수준, 주택형태 및 주택소유형태와 거주지 만족도와의 유의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 직업, 거주연수, 가족수, 주택소유형태는 이웃관계만족도와 상관성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과 보건부문, 소득수준과 경제 및 주택부문, 주택형태와 사회 및 주택부문, 주택소유형태와 보건 및 주택부문과 상관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층이 높고 전문직에 속하는 고소득자, 그리고 자가소유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계층은 모든 부문에 걸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주관적 지표에 의한 부산시 복지수준의 공간적인 분포에서 거주지 만족도와 이웃관계 만족도는 부산시 전역에 걸쳐 만족하는 수준의 분산적인 분포를 나타냈고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 거주지 만족도와 이웃관계 만족도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제부문의 만족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고 도심과 부심지역의 일부지역에서만 높은 만족도를 보았다. 주택부문은 도시주변부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만족수준을 나타냈고, 보건부문은 도심과 부심지역, 교육과 사회부문은 부산시 전반에 걸쳐 균등한 만족수준을 보였다. 4. 주/객관적 복지공간의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는데 비교분석을 위한 지역구분은 경제지표에 의하여 1차구분을, 사회.보건지표에 의하여 2차지역구분을 시도하여 모두 19개의 등질지역으로 구분하였다. 단위지역별로 부문별 특징을 살펴보면 객관적 부문의 경우 경제와 사회부문의 복지수준이 다른 부문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나고, 주관적 부문에서는 주택과 교육부문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 주택, 교육, 사회, 보건등의 전 부문에 걸쳐 객관적인 복지공간과 주관적인 복지공간의 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5. 마지막으로 주.객관적 지표의 상대적인 우위성을 배제하고 주.객관적 지표공간의 불균형을 살펴보았는데 주택, 보건, 사회부문보다 경제, 교육부문의 불균형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심 및 부심과 지역중심지, 그리고 서비스업의 비중이 큰 주택밀집지역보다 제조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주거 밀집지역이나 제조업지역이 심한 불균형적인 복지상태를 나타냈다. 또한 주.객관적 복지공간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복지 , 적응 , 불일치 , 일탈 지역으로 유형화시켜 공간의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대부분의 단위지역들이 양호한 객관적인 복지수준과 주민의 만족수준이 높은 복지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지역들은 객관적인 복지수준과 비교하여 주민이 만족수준이 높은 적응 지역과 불량한 주.객관적인 복지수준을 가진 일탈 지역으로 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통하여 주.객관적인 복지수준불균형의 공간적인 다양성이 부산시 전역을 통하여 나타나며 특히 단위지역별로 복지 지역과 일탈 지역의 격차가 지역별로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부산시의 복지상태는 공간적, 부문별로 매우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며 특히 주.객관적 지표공간의 불균형이 전 지역에 걸쳐서 분산적인 패턴을 나타낸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복지정책에 있어 분배의 우선권이 불균형적인 복지공간에 부여된다면 부산시에서 복지상태의 균형적인 분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