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봉미미-
dc.contributor.author강민정-
dc.creator강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1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1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미술과에서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미술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궁극적인 목적은 작품제작 위주의 표현활동에서 뿐 아니라 미적 체험활동과 감상활동을 포함하는 미술과의 전 영역에서 협동학습을 적용해 봄으로써 협동학습 적용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것이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전 영역에서의 협동학습의 활용을 통해 협동학습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인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의 향상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협동학습의 적용을 위해서 협동학습의 개념 및 효과,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들의 특성 및 장·단점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협동학습 모형은 학업 성취는 물론 고차적 인지, 기능향상, 사회적 상호작용에 매우 효과적으로 입증된 집단 탐구법(Group Investigation: GI)이다.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과제의 선정에서부터 학습 계획, 집단 과제의 분담, 집단 보고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들이 집단 구성원들 스스로의 자발적 협동과 논의로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7차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중에서 GI 협동학습 모형의 적용이 가능한 4개의 단원을 선정하여 GI 모형의 수업절차에 맞게 수업을 계획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GI 협동학습 수업을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W초등학교 4학년 40명 한 학급에 남녀 어린이를 대상으로 2004년 5월 3일부터 6월 26일까지 8주 동안 적용하였다.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총 24차시로 구성되었으며, 1주에 3차시씩, 1차시에 40분씩 120분간 실시하였다. 한편, 같은 학교 4학년 42명 한 학급에는 같은 단원을 대상으로 미적 체험 및 감상 활동, 표현 활동에서 도입·전개·정리 및 감상 단계로 이루어지며 주로 개별학습 형태인 전통적인 미술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전통적인 미술 수업에 비해서 초등학생의 미술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전에 각 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의 내용타당도는 4학년 담임선생님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4학년 41명 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연구를 하였다. 원검사지의 문항 중 4학년이 응답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문항들은 제거하였으며, 사전연구 결과 전체 검사도구로부터 얻어진 점수와 상관계수가 낮은 문항을 추가적으로 제거하여 검사지를 구성하였다. 실험 후에는 사후검사를 각 집단에 실시하여 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전통적인 미술 수업에 비해서 초등학생의 미술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검사 결과는 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 수업과 전통적인 방법의 미술 수업의 실시 결과,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인 방법의 미술 수업을 받은 집단에 비해 미술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 <. 05)를 보였다. 따라서 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의 미술 수업 보다 미술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학습자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증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초등학생의 미술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that the introduced learning model of applied cooperativ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art, has on the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 in art self concept, self esteem and sociality. However, more ultimate purpose is to widen the range of cooperative learning by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in all aspects of art including experience activity and appreciation activity as well as in expression activity of manufacturing work. Learners are expected to show elevation of self concept, self esteem, and sociality as the affirmative effect of the practice of cooperative learning though such applications. Concept,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and special quality, merits and shortcomings of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s are investigated.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at is applied in this study is a group investigation attested very effective in accomplishment in studies, as well as meta-cognitive, functional upgrade and social interaction. In lessons that apply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learning plans, group divisions of tasks and all other processes before the group reports from choice, are preceded by group constituents' voluntary cooperation and discussion. In this study, four units, that appear to be applicable, are chosen from the present 7th art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lessons are planned and designed according to such GI model of applied cooperative learning. Such model of designed GI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in the a fourth grade class of forty boys and girls for 8 weeks from May 3, 2004 to June 26, in W elementary school, situated in KangDongGu, Seoul. These forty minute lessons that applied cooperative learning model were preceded 24 class-hours throughout this period, being held 3 class-hours a week and hence 120 minutes per week in total. In the meantime, in another class of the same school, lessons designed to encourage individual activities regarding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ctivity, expression activity took place. These lessons mainly executing traditional art in individual studies consisted of four stages; introduction, procession, conclusion and appreciation. Pre test were held before these experiments in each group, in order to prove the homogeneity regarding elementary student's aspects of art self concept, self esteem and sociality, within the lessons of applied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lessons of typical traditional style. The contents applied in this examination were material verified through the negotiation of class teachers of fourth grade, and pilot test of a class of 41 students was preceded in order to verify the quality and reliability. Research contents concluded to be inefficient for fourth grade students to respond to was removed, and through the examining and comparisons with the pilot test, further contents that appeared irrelevant were also deleted. After an experiment, through giving post test to each class groups, the effects that art lesson applied cooperative learning had on elementary student's art self concept, self esteem and sociality than traditional art lessons were examined. Examination result came from analyzing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WIN statistics program. Conclusion of study is as following. Statistical relevant differences appeared as expected,(p <. 05) the cooperative learning enforced class showing further development in art self concept, self esteem and sociality, than the group of traditionally designed art clas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rt lesson of applied cooperative learning further effected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rt self concept, self esteem and sociality more than art lesson of current traditional method. This shows that art lessons that enforce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elementary student's art self concept, self esteem and sociality, ultimately encouraging lively interaction of learn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협동학습의 개념 및 효과 = 6 B. 협동학습 수업모형 = 14 C. 협동학습과 자아개념 = 34 D. 협동학습과 자아존중감 = 38 E. 협동학습과 사회성 = 41 F. 미술과에서의 협동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 43 Ⅲ. 연구 방법 = 48 A. 연구 대상 = 48 B. 실험 도구 = 48 C. 연구 절차 = 57 D. 자료 분석 방법 = 58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 59 A. 미술 자아개념에 대한 수업처치 효과 = 59 B. 자아존중감에 대한 수업처치 효과 = 61 C. 사회성에 대한 수업처치 효과 = 63 Ⅴ. 결론 및 제언 = 66 A. 결론 = 66 B. 시사점과 제언 = 67 참고문헌 = 70 부록 = 76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51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생의 미술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Art Classes on Students' Sociability, Self Esteem, and Self-Concept in Visual Art Skills-
dc.creator.othernameKang, Min Jeung-
dc.format.pageⅹ,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