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2 Download: 0

거부아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Title
거부아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Rejected Young Children
Authors
정경화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기의 거부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18명의 만 4세 거부아들을 각각 9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 아동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 훈련을 실시한 후 또래수용도와 사회적 기술의 변화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개발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자기주장, 자아통제, 협력 등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켜 또래관계를 증진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활동들은 포함한 활동들은 지도를 비롯하여 역할극, 게임, 미술활동, 동극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하였고, 훈련 기법은 지도, 모델링, 연습, 긍정적 강화, 피드백, 과제 제시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흥미유발을 위해 손 인형, 다양한 그림 자료와 소품들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에 의해 실시되었다. 서울시 K구와 N구에 위치한 2개의 유치원 6세반 아동들 중 또래수용도가 전체 88명 중 하위 20%에 속하는 아동 18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집단에는 4명의 남아와 5명의 여아가 포함되었다. 단, 기술 실습 단계인 9~11회기에서는 또래수용도가 상위 20%이내에 속하는 인기아 가운데 성별을 고려한 후 무작위로 선정된 9명(4명의 남아와 5명의 여아)의 아동들을 포함하였다. 실험집단은 한 회기에 50~60분씩 주 2회 6주 동안 총 12회기에 걸쳐 사회적 기술 훈련을 받았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직전과 직후에 또래수용도와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였다. 또래수용도는 또래지명법과 또래평정법을 통해 측정되었으며, 사회적 기술은 Gresham와 Elliott(1990)가 개발한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를 김향지(1996)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도입 단계(1~2회기), 기술 획득 단계(3~8회기), 기술 실습 단계(9~11회기) 그리고 마무리 단계(12회기) 등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 4세 아동의 인지적 수준에 맞게 자기주장, 자기통제, 협력에 대한 개념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여 교육하도록 되어 있다. 실제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통해 습득된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쉽게 적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외 다양한 활동과 소품을 활용하여 대상아동이 프로그램에 흥미 있게 참여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에 속한 거부아들이 모든 기술을 획득한 후, 새롭게 배운 기술들을 인기아들과 짝을 이루어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동시에 인기아는 거부아의 행동 변화를 인식하고 재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사회적 기술 훈련을 통해 아동의 또래수용도와 사회적 기술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아동의 또래수용도와 사회적 기술 등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rejected young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Developed program used instruction, modeling, rehearsal, feedback, and positive reinforcemen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consisted of role-play, art, language activities, and game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a sample of 9 four-year-old children who were rejected by peers. There were the other 9 children who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50~60 minutes per day twice a week during 12 session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And 9 popular children also joined the program during 9~11 session. Data which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were collected by peer acceptance, social skills at pretest-posttes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 samples t-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promoted peer acceptance and social skills of 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peer acceptance and social skills after social skills training. In conclusion,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ndicated effects for improving rejected 4-year-old children's social skills and peer accept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