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8 Download: 0

외국인노동자 복지실태에 관한 연구

Title
외국인노동자 복지실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igrant Worker welfare
Authors
김현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외국인노동자복지사회복지Migrant Worker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e late 1980s, the labor shortage in the 3D(dirty, difficult, dangerous) field in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in Korea lead to importation of migrant workers. As the number of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increased,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Industrial trainees system' hoping to reduce the number of illegal migrant workers. As of December 2001, migrant workers made up 2.5% of the labor force and numbered more than 330,000 in 2002. Industrial trainees and undocumented workers face harsh living conditions in Korea that fail to meet their basic needs for living. This study explores migrant workers' welfare in medical services, housing, employment, family and social services. The research shows it is not easy for illegal migrant workers to get a proper medical treatment when they have a job related injury or some other heath problem because they are afraid of losing their jobs. The cost of medical care, long working hours and language problems make it more difficult to get medical treatment.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a lack of basic housing amenities such as water supply, drainage and bathroom and kitchen facilities makes the living conditions of migrant workers more difficult. Twenty percent of migrant workers are unemployed more than 30 days between jobs. Due to extended periods of time without their families, migrant workers experience loneliness and frustration. Some of them deal with their stress though drinking. International marriages cause many couples to experience more economic difficulty for child rearing. In order to protest mistreatment and to get along with Koreans, many migrant workers want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develop new computer related and manual job skills, but a lack of information from helpful organizations, long distances and a lack of communication discourage them from making use of migrant worker related organizations. To address the medical services problem, migrant workers need to be educated about the already availabl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industry for migrant workers also needs closer government supervision. Currently, the only medical insurance available to illegal migrant workers is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Illegal migrant workers also need access to standard medical insurance so that they can be treated for non-work related medical problems. To address the housing issue, detailed criteria for boarding facilities provided by employers and access to low cost housing will give migrant workers a proper housing environment. Employment Guarantee Insurance should be provided for unemployed migrant workers. Legal amnesty for their illegal status should be granted so that illegal migrant workers can see their families. On humanitarian grounds, they should also be able to invite their families as needed. Couples in mixed marriages need to be provided with marriage counseling. In addition,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financial assistance for child rearing, just as low income Koreans are today. Finally in addition to the private sector, the public sector should also provide programs that teach Korean, new job skills and programs that can help migrant workers find after work activities. Public sector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including counseling centers for migrant workers together should provide counseling services to deal with migrant workers' difficult situation in Korea. Those facilities need to be promoted to migrant workers so that they can use them.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is paper and the solutions proposed here in are presented for the consideration of those whose task it will be to implement new policies to improve the lives of migrant workers in Korea.;1980년 후반 3D업종 기피현상에 따른 중소기업의 인력난은 외국인 노동자들의 유입을 불러왔고, 불법체류 미등록노동자들이 증가하면서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한국정부는 1950년 초 산업연수제도를 만들어 외국인력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2001년 12월 말 기준으로 외국인 노동자 규모는 국내 취업자의 1.5%, 임금근로자의 2.5%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2002년 33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노동자가 아닌 연수생신분의 산업연수생과 불법체류 미등록 노동자는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데 의료, 주거, 고용, 가족, 사회서비스 부분으로 나누어 그들의 복지실태를 살펴보았다. 외국인 노동자는 산재를 당하거나 건강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해고의 두려움, 돈을 계속 벌어야하는 문제로 적절한 치료를 받기 어려우며, 의료비의 부담과 바쁜 업무, 언어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병원 등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또 다른 문제로 온수를 비롯한 상하수시설, 화장실, 부엌 등의 기반시설이 미흡하여 매우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여있음이 조사되었다. 외국인 노동자의 20%가 30일이상 실업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불법으로 장기간 체류하면서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외로움 등 여러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혼자서 참거나 술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국제결혼이 발생하면서 경제적인 문제와 자녀양육의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 한국인과 조화를 이루고 부당한 처우에 항의하기 위해 한국어 학습의 요구가 높으며 컴퓨터 등의 신기술의 학습 등을 원하지만 서비스기관의 존재를 모르거나 거리상의 문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것이 외국인노동자관련기관 이용의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의 해결에 대한 논의로는 의료에 있어 산재보험의 실질적인 적용을 위한 철저한 관리감독과 외국인 노동자들의 산재적용권리에 대한 교육이 이뤄져야 하고, 미등록노동자들의 의료보험이 적용되어야 한다. 주거는 사업주가 제공하는 기숙사에 대한 상세한 기준의 명시와 일반 주택 등이 저렴한 제공으로 적절한 주거환경을 보장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들의 고용안정과 실업에 대한 대비책으로 고용보험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본국의 가족과 만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기 위한 신분상의 제도적 보장이 필요하며 가족 초청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고려도 필요하다. 그리고 국제결혼가정의 결혼생활에 대한 상담서비스와 자녀양육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민간의 영역에서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공적 영역에서도 한국어 교육, 기술교육 등 여가시간의 활용을 돕는 프로그램들이 제공되어야 하며 외국인노동자 상담소를 비롯한 지역복지관, 공공기관 등이 서로 연계하여 그들이 한국사회에서 살아가면서 힘들고 어려운 점에 대한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며 그러한 활동들을 하고 있는 기관에 대한 홍보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가 직면한 복지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의 개선방향에 대한 논의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