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3 Download: 0

시청각 교육과 토론을 통합한 청소년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Title
시청각 교육과 토론을 통합한 청소년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평가
Other Titles
Effectiveness of video and discussion-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tion fr adolescents
Authors
최지혜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Keywords
시청각 교육토론청소년금연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 흡연은 날로 증가되고 있고, 그 피해 또한 매우 심각하다. 특히,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들의 흡연율 조사 결과를 보면, 미국 흑인학생(1997)이 28.2%, 일본(1991)이 26.2%, 영국(1994)이 20.5%, 러시아(1994)가 19.4% 인데 반해, 한국(2000)은 37.9%로 조사되어, 고등학생들의 흡연율이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에까지 이르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고둥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금연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청각 교육과 토론을 통합한 고등학생 대상 금연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여 청소년 금연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더불어 청소년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보건교육 방법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고양시 소재 두 개 고둥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교 3학년 학생 472명(남자 198명, 여자 2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02년 9월 23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고, 교육 전·교육직후·교육 후 4주가 지난 이후 세 번에 걸쳐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흡연 경험 유무 및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금연의지와 시청각 교육과 토론을 통합한 금연교육 프로그램이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금연의지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응답 사항을 전산부호화 처리하여 SPSS Win 10.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이 흡연경험유무 및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금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성별 그리고 가족 중 누가 흡연을 하는지와 자각 건강 상태가 흡연 경험 유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p<0.01),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금연의지에는 일반적 특성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시청각 교육과 토론을 통합한 금연교육프로그램이 흡연에 대한 지식 증가에 효과가 있었는지 분석해 본 결과, 교육직후와 교육 후 4주가 지난 이후 모두 교육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p<0.01), 흡연에 대한 지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흡연에 대한 태도 변화에 있어서는, 교육 직후에 교육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어(p<0.01)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교육 후 4주가 지난 후에는 다시 교육 전과 비슷한 상태로 되돌아감을 알 수 있었다. 즉, 4주가 경과한 후에는 태도의 변화가 지속되지 않았다. 4. 담배를 끊으려는 금연의지의 변화에 있어서는 비흡연자와 흡연자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는데, 비흡연자의 경우 교육전과 교육직후, 4주 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흡연자의 경우는 교육 전과 교육 직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p<0.05), 교육 후 4주가 지난 후의 조사에서는 교육 직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금연교육프로그램이 흡연자의 금연의지를 변화시키고 4주 후까지 유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5. 흡연에 대한 지시, 태도, 금연의지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비흡연자의 경우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서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흡연에 대한 지식과 금연의지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흡연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을수록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증가하며, 금연의지가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자의 경우는 흡연에 대한 태도와 금연의지가 서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의 증가가 금연하려는 의지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Smoking can be completely preventive by quitting but it is know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ath causes. As this awareness has prevailed throughout the world, the smoking rate of adult has been on the decrease. But the adolescence smoking rate has increased rapidly. At the same time, the dramatic development of internet let anyone access to the health information very easil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iveness of video-and discussion-based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And this study is intended to offer the basic database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to serve health promotion for the adolescences. The number of subjects was 472 high school students in Kyungkido.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th September to 31st October, 2002.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surement of knowledge, attitude, intention toward smoking. The pre-research was conducted before the smoking cessation education and post-research was performed twice immediately after the education and 4 weeks later after the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0.0 which is computational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tal of knowledge points in smoking cessation program - based group are more higher than any other groups and its statistical difference is significant. 2. The students' attitude points in experimental groups a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rid its statistical difference is significant. But the pregnant statistical difference has been disappeared after 4 weeks. 3. The non-smoking student's intention points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smoking student's intention points in experimental groups a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its statistical difference is insignificant. 4. About the correlation among the knowledge, attitude and intention forward smoking, knowledge and attitude are negatively correlated, knowledge and inten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for non-smoking students. For smoking student, attitude and intention have negative corre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