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숙-
dc.creator이정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0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0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015-
dc.description.abstract법흥왕에서 진덕왕에 이르는 中古期는 신라가 국가 체제를 완성한 시기였다. 이때 나타난 사회현상과 정치적 개혁은 그대로 中代로 이어져서 신라 통일의 원동력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中代의 전제 왕권을 더욱 강화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정치, 외교, 사상 등 각 방면에 걸쳐서 전제적 왕권의 면모가 나타나는 중고기 후반의 眞平王代(579∼632)를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신라사에서 이 시기가 가지는 특성 및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진평왕 즉위 이전의 政局은 진흥왕이 죽은 후 舍輪(진지왕)이 白淨(진평왕)을 배제시키고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즉위함으로써 위기를 맞게 되었다. 여기에는 居柒夫의 역할이 작용하였는데, 당대 최고 실력자였던 그가 정통성이 결여된 사륜을 지지했던 이유는 지증왕계의 직계비속에 의한 권력 독점이란 현실에 제동을 걸게 됨으로써 왕권의 약체화를 노린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그는 진흥왕 사후의 왕위 계승에 적극 개입함으로써 지증왕계의 왕권중심체제가 아닌 범내물왕계의 귀족 연합 체제로의 복귀를 추구했다고 볼 수 있다. 진지왕대에 일시적으로 노정되었던 왕권의 약화는 銅輪系의 백정이 진평왕으로 즉위함으로써 극복되었다. 진평왕은 진흥왕이 추구한 대내외적 정책을 계승하여 추진함으로써 王家의 위상을 더욱 견고히 하였을 뿐만 아니라 귀족 세력들을 압도해 가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을 취하기 시작하였다. 즉 대내적으로는 왕권 중심의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관제 정비를 추진하였으며, 전제적인 왕권을 위하여 석가불신앙과 유교적 정치 이념을 강화시켰다. 그리고 동륜의 직계에 한정되는 협의의 왕가를 설정하고 이들에게만 정치적 종교적으로 최고의 권위, 이른바 聖骨관념을 부여함으로써 왕가 위상의 극대화를 꾀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진평왕은 진지왕으로부터 왕위를 되찾음으로써 정통 奈物王家의 계승자임을 자처하게 되었으며 說話를 통하여 이러한 사실을 재삼 강조하였다. 진평왕 즉위 원년에 천사가 궁전의 뜰에 내려와서 전해 주었다는 天賜玉帶는 진평왕의 지위와 직접 관계되는 상징적인 물건으로 郊社와 宗廟의 큰 제사 때마다 이 옥대를 띠었다고 한다. 이밖에도 왕의 신장이 11척이었다든지, 內宰釋宮에 행차할 때에 섬돌을 밟으니 돌 세 개가 한꺼번에 부러졌다는 등의 이야기는 진평왕의 현실적인 힘을 웅변해 주는 것으로 생각되며, 동시에 왕위 계승에 있어 다시는 이전과 같은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그의 결연한 의지가 표출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러한 조치들이 일단락되자 진평왕은 이제 대외적으로도 고구려·백제의 침략에 맞서 단호히 대처함과 동시에 적극적인 對中交涉을 전개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진흥왕때의 가야지역과 한강 유역의 병합은 반도의 한쪽 편에 치우쳐 있던 신라로 하여금 다방면으로의 교섭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평야로부터의 경제적 이득과 함께 막대한 철자원을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여건은 자연히 인구 집중 현상을 초래하여 인적 자원의 확보를 보다 손쉽게 하였다. 이와 같이 정복에 따른 경제적·지리적 이점은 국가 재정과 대외 교섭에 커다란 도움을 줌으로써 신라국의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따라서 영토확장이 일단락 지워진 진평왕때는 신라국의 급격한 성장과 더불어 왕권도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이것은 진평왕 초년의 관제 정비에 힘입은 바가 컸다. 그런데 진평왕 초년의 관제 정비에 있어 주목되는 것이 船府署, 禮部, 領客府(43년에 領客典으로 개칭) 등 일련의 외교담당 부서의 창설이다. 진평왕때는 중국에 수·당의 통일제국이 등장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외교정책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 그 결과로서 나타난 것이 바로 외교담당 부서이며 그에 따른 제도의 정비라 하겠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신라는 8차례의 견수사와 고구려 멸망시점까지 34회에 이르는 견당사를 파견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신라는 그 동안의 열세를 딛고 중국의 선진 문물을 직접 받아들임으로써 국가 발전의 한 정형을 이루었으며, 아울러 국제 정세를 자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이용하는 기술도 터득함으로써 통일 외교로 연결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한편 중국과의 교역 내용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철을 위시하여 금·은·동, 세포, 고급 견직물 등 다방면에 걸친 신라 산업의 발전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철은 일찍이 신라의 前身인 辰韓시대 때부터 동북아 전역에 수출할 만큼 풍부한 양을 생산하였으며 그후 가야와 충청·경기 지역을 병합함으로써 산출량은 더욱 늘어났다. 그리하여 황남대총을 비롯한 여러 고분들에서는 온갖 종류의 쇠붙이와 농토목구, 무기, 철정 등이 대량으로 쏟아져 나왔으며 문헌상으로도 확인했듯이 다양한 철제품을 제작하여 중국, 왜 등지로의 수출도 하였다. 그리고 금·은·동 역시 그 생산이 많았음과 아울러 질이 좋았던 사실을 문헌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4∼6세기의 적석목곽묘 단계에서 각종 귀금속의 제련 및 가공 기술을 엿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세포는 수공이 어려운 귀한 물건이었다. 그런 까닭에 전통적 공물로 많이 쓰였으며, 이에 따른 기술적 전통도 진한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것이었음을 알았다. 정치·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던 견직물은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안정적 확보를 위해 농민들에 대해 생산을 강제하고 그와 더불어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졌는데, 이것이 7세기에 들어와 중국과의 조공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자 여기에 필요한 물품을 충당시킬 목적으로 錦典, 綺典을 비롯한 1개의 직조수공업 관청을 내성에 설치하였다. 이처럼 직조 관계 관사가 조공 물품과 관련하여 정비되었다는 것은 신라의 궁정 수공업 운영 목적 가운데 중국과의 조공에 필요한 물품 충당이란 목적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정치·경제적 측면에 있어서 신라가 이전 시대와는 달라져 가고 있음을 말해 준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신라의 각종 산업 및 수공업 발전은 중국 문화의 수입으로 인한 자극과 영향도 一助를 했을 것임에 틀림없다. ; The middle ancient ages that range from The King Beb-heung(法興王) to The Qeen Jin-deock(眞德王) are the period in which The Sin-ra(新羅) dynasty perfects the system of the state. This period s social phenomenon and political reformation lay the foundation for becoming a motive-force in the unification of The Sin-ra dynasity and stregnthening the tyrannic kingship of the the middle ear. This study focuses on the King Jin-peng(眞平王; AD. 579∼632) in the middle ancient ages where the aspects of tyranic kingship appear, and purport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ese ages. The political situation before the enthronement of The King Jin-peng is confronted with a crisis by Sa-leun(舍輪) s excluding Back-jeong(白淨; 眞平王) and becoming the king in illegal ways; Ge-chil-bu(居柒夫)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ation who will be enthroned. The reason he, a strong man at this time supports Sa-leun lacking in qualties of the orthodox line of the dynasity is that he aims at weakening the power of kingship by deterring the King Gi-geung(지증왕) s descendents monopoly of political power. As a result his active intervetien in royal succesity is regarded as seeking the return to the allied aristocratic system connected with the line of King nae-mul(내물왕), not intending the kingship centered system of the line of King Gi-geung. The temporary weakness of kingship in the King Ji-gi(眞智王) s reign is overcomed by Back-jeong s enthronement as King Ji-peng. King Jin-peng emphasized the position of kingship by succeeding King Jin-heung(眞興王) s domestic and diplomatic policies, and took actions against strengthering aristocract s power. In other words, domestically he started the reformation of bureucracy, strenthened the faith of Buddhism and the political idear of Confucism. He aims to maximise the position of kingship by limiting the small area of royal family to lineal Don-lun(銅輪), and politically and resionaly the highest authority in political & religion―so call Seong-gol(聖骨). King Jin-peong prided by regarding himself as the orthodox success of royal family Nae-mul(奈勿), and empasized his orthodoxity by way of fable. At the year of enthronement, King Jin-peong put on chen-sa-ouk-dae(天賜玉帶) in big royal family s sacrifice as a symbol of status, and which is believered to be given by an angel. In addition to, his eleven check(尺) height or the story of brocken stairs suggest virtual power of King Jin-peong and a firm stand against trouble in succession to the throne. Once strengtherning the domestic helds, he began to take stong actions against Go-gu-rea(高句麗) and Baek-jea(百濟) s aggression and compromise with China. The annection of the areas of Ga-ya(加耶) and the river Han causes Sila, isolated in the one place of peninsula to mutiply it s interchange and immense sources of iron and economic gains from the filed to Silla. This condition makes easy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and obtainment of lavor force. Silla s reign in which the annection of lands is finished, can be able to strengthen Silla kingship with the sudden growth of Silla. Of course this is owing to the reformation of bureatocracy in early reign of the King Jin-peong. In the reign of the King Jin-peong, the unification empires of Sui(隋) and Dang(唐) appears make response Silla to adopt new diplomatic polisies. As a result Silla had the department of diplomatics and the improved system. Under this background, Silla sent missions to Sui 8 times, and missions to Dang 34 times at the time of Go-gu-reo s fall. In this coure Silla achieved a type of the development of the state by accepting china s culture and educations, and succeeds in bringing the unification diplomatics by learning how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o account. In the trade items with China, we can see the various aspect of industry development in the Silla dynasity. From the Jin-han(辰韓) period, Iron had produced abundantly to export in Silla area, threafter because of expantion its product grew more. So iron-maded tools, arms, nails was excavated at several old tomb and exported to China and Japan. Silk product was very important materials econo-politicaly. Silla inforced farmers silk products, established official post to supply to China for the growth of tribute at 7 century. These aspect reveals the progress of Silla s econo-political structure was closely connected with Chin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序論 ------------------------------------------------------------ 1 제2장 眞平王의 卽位背景과 政局推移 ------------------------------------ 10 1. 眞興王 말기의 政局動向 -------------------------------------------- 10 2. 眞平王의 등장과 政治構圖의 變化 ----------------------------------- 21 3. 眞平王의 支持勢力 ------------------------------------------------- 36 제3장 王權强化의 政治·思想的 基盤 ------------------------------------- 46 1. 王權强化의 政治的 基盤 -------------------------------------------- 46 1)專制政治의 理論的 檢討 ------------------------------------------- 46 2)中央集權的 制度整備 ---------------------------------------------- 49 2. 王權强化와 佛敎 --------------------------------------------------- 56 3. 中古期 新羅儒敎의 性格 -------------------------------------------- 66 제4장 專制的 王權의 성립 ---------------------------------------------- 86 1. 濟·麗와의 전쟁과 王權專制化 --------------------------------------- 86 2. 內省의 설치 ------------------------------------------------------- 94 3. 銅輪系 血緣意識의 高揚과 天賜玉帶 --------------------------------- 99 제5장 王權專制化와 大中交涉 -------------------------------------------106 1. 大中交涉의 推進背景 -----------------------------------------------106 1)영토확장과 경제적 기반의 확보 ------------------------------------107 2)외교부서의 정비 --------------------------------------------------119 2. 對隨·唐交涉의 전개와 交易內容 -------------------------------------124 1)對隨·唐교섭의 추진 -----------------------------------------------124 2)宮中手工業의 발달과 大中輸出 -------------------------------------129 3. 眞平王代 大中交涉의 意義 ------------------------------------------143 제6장 結論 ------------------------------------------------------------146 參考文獻 --------------------------------------------------------------153 ABSTRACT --------------------------------------------------------------1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589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라 진평왕대의 왕권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