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장애아동 미술통합수업 담당교사의 지원요구

Title
장애아동 미술통합수업 담당교사의 지원요구
Authors
이은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rt education provides much benefits for the student with special needs that other academic curriculum cannot provide. Art is considered to have the characters that we can implement inclusion easily. And because of this characters the inclusion in art education is most widely spread in Korean elementary school. But the reality of art education in the inclusive class gives many difficulty to art teachers and to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ecause of inclusion without consideration of its quality, the support for art teacher is needed in order to succeed the inclusive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 to support the art teach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on the basis of literature interview. 144 art teachers of 64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urveyed who have the inclusive education in their classroom with disabled students. The response rate of the questionnaire was 87.5% and the result was analyzed by t-test or one-way ANOV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art teachers are positive in the necessity of art education and in the capability of art activities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ut they are lack of the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They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art to the children in special needs due to their lack of understanding of what teachers asked them. In most of the support case, the highest support needs is on 'the level of faculty accessibility and mobility'. The lowest support needs are 'the support from children's mother. Among the sub-categories, teachers of inclusive class showed more support needs than art teachers. The type and level of disabilities do not influence the variance in support need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of multilateral support with due regard to the art education program, in-service program of special education, the position of art teacher and types of disabilities. For the desirable inclusive art education, the technical support of art teaching and the concern for art education qualities are required.;미술은 장애아동이 다른 주지교과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감각경험과 표현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거듭된 실패경험을 갖고 있는 장애아동에게 성취감을 느낄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미술은 추상적 어려움을 갖고 있는 장애아동에게 학습과 이해를 위한 적절한 도구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미술의 특성으로 미술교과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이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미술통합교육의 질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바가 없으며, 질적 향상을 위해 어떠한 지원이 요구되는지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공립초등학교에서 미술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미술통합교육의 실태와 지원요구를 조사하여,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Kunkle-Miller(1985)의 '신체장애, 인지장애, 감각장애인과 작업하는 미술치료사의 수행능력(Competences for art therapists whose clients have physical, cognitive or sensory disabilities)'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문항과 현장에서 미술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6인과의 비구조화된 인터뷰, 통합학급교사의 지원요구를 조사한 최선실(2000)과 미술교육에서의 교사관점을 조사한 Chapman(1979)의 설문지와 여러 문헌 연구를 근거로 하여 작성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내 11개 교육청내의 특수학급 수와 비례를 맞춘 64개 공립초등학교의 미술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미술담당교사 144명이었다. 설문지는 우편으로 발송하였고 회수율은 87.5%였으며, 결과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인 실태 공립초등학교에서 미술통합 수업은 미술전담교사보다는 학급담임교사가, 미술전공자보다는 비전공자 교사가 담당하는 비율이 훨씬 높았다. 연구 대상 교사들은 미술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장애아동 미술활동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이었고 장애유형과 특징에 대해서도 알고 있는 비율이 높았으나, 장애아동 미술교수전략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였다. 미술교과 개별화교육계획안을 작성하여 시행하는 교사는 한 명도 없었으며 특수학급교사보다는 통합학급교사에게 자문을 구하거나 협력한다는 비율이 좀더 높았다. 대부분의 미술담당교사는 미술통합교육의 시행에서 장애아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가장 어려움을 크게 느끼는 문항은 장애아동의 '교사지시 및 작업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고, 제시된 문항이외의 자유 기술에서는 '통합학급내 학생 수 과다'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했다. 2. 전반적인 지원요구 영역별로 볼 때 지원요구는 통합학급교사로부터의 지원, 물적ㆍ재정적 지원, 특수학급교사로부터의 지원, 행정적 지원 순으로 높았으며, 행정적 지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3영역에서 평균 4.2이상의 높은 지원요구를 나타냈다. 문항별 지원요구를 보면 '건물의 접근성과 이동성, 편의시설'에 대한 지원요구가 가장 높았고, '도우미 어머니 배치' 문항이 가장 낮았으나 역시 보통이상의 지원요구를 나타냈다. 영역별 지원요구에서 가장 높은 지원요구를 나타낸 문항을 살펴보면, 통합학급교사로부터의 지원 영역에서는 장애아동의 사회적 관계형성과 관련된 문항이, 특수학급교사로부터의 지원 영역에서는 장애아동에 관한 정보제공과 관련된 문항이, 행정적 지원 영역에서는 통합학급의 학생 수 감소 문항이 높게 나타났다. 물적ㆍ재정적 영역에서는 이동, 편의시설 확보에 이어 미술실 확보에 대한 지원요구가 높았다. 3. 교사변인에 따른 지원요구 차이 교사변인에 따른 영역별 지원요구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변인에 따른 문항별 지원요구에서는 교사의 통합교육경력 변인을 제외하고 다른 두 변인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문항은 모든 영역이 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미술비전공자 교사집단이 특수학급교사로부터의 지원 영역에서, 특수교육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집단이 통합학급교사로부터의 지원 영역에서 더 높은 지원요구를 나타냈다. 반면 물적ㆍ재정적 지원 영역은 미술전공교사 집단이 더 높은 지원요구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이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공립초등학교에서 미술통합교육이 시행되고 있지만 담당교사들은 장애아동을 어떻게 교수해야 하는지에 대해 잘 알지 못하여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로 인해 질적 측면의 미술통합교육을 위한 여러 영역에서의 높은 지원요구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미술통합교육의 지원요구 조사결과는 일반 초등학교의 미술수업을 위해서도 기본적인 행정적 지원과 미술과목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물적ㆍ재정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미술담당교사의 미술전공 여부, 특수교육 연수경험과 같은 변인과 장애아동을 고려한 다각적 영역에서의 지원의 제공이 일반미술교육과 미술통합교육의 질적 성취를 이루어나가기 위해 필요하다. 아울러 연구결과는 미술교육의 전문성과 특수교육의 전문성, 통합학급교사가 서로 협력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바람직한 미술통합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미술교수에서의 방법론적 지원과 질적 관심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