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2 Download: 0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 고등부 교사들의 성교육 실태 조사연구

Title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 고등부 교사들의 성교육 실태 조사연구
Authors
김수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urvey aimed to find out the situation on sex education among teachers in special school and 266 special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of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Seoul and Kyoungki-Do responded to the questio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eachers offered sex education whenever students showed in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 using audio-visual materials and lectures. The teaching focused on physical cleanness, sex difference , etc. It was strongly emphasized in the teachers that the sexual right of these mentally retarded students to be protected as well as from any sexual abuse. 2. Teachers who obtained special training experience in sex education were offering more session of sex education than those who did not. The teachers focused on teaching the conception of baby along with the sex roles of different sexes. 3. The teachers scolded students when they showed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 knowing that it would disturb other people. To change the situation, the teachers tried to introduce other activities instead. In conclusion, the sex education was left to each teachers own method and such education was mainly to reduce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 In order to run sex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adequately, it seems important to offer to teachers regular training on matters of sex educ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adolescents.;성은 인간의 전체적인 발달과 사회화의 필수적인 요소로, 타고난 인성특 성이 아니므로 후천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따라서 개개인이 올바른 성적 정체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성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 정상화 원리와 탈시설 수용화 운동의 영향으로 사회에서도 정신지체인의 성적인 권리와 요구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의 성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정신지체 학생들이 적절한 사회적·성적 기술들을 배워 자기책임감을 지닌 성인이 되어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조기에 실시하는 성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교사와 부모들이 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나오는데 비해 학교에서 실시되는 체계적인 성교육은 여전히 부족하고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대부분이며 이에 대해 구체적인 실태를 조사 한 연구들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사들이 실시하는 성교육의 전반적인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에서 체계적인 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성교육의 지도 시간, 지도 방법과 내용 등의 실태가 성교육 연수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성교육 연수 프로그램의 영향과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성 질문 및 행동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이 성교육의 실시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성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고등부 교사 26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우리 나라 일반학교 성교육 실태조사에 사용된 설문지와 성교육 문헌들을 바탕으로 정신지체 학교의 실정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모든 문항을 빈도와 백분율로 계산하였고,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선지체 특수학교 교사들은 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성교육을 실시하기 보다 주로 학생들이 부적절한 성 행동을 보일 때나 필요한 시간에 수시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주로 시청각 자료들을 보여주거나 강의식으로 성교육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고 학생의 신변자립 문제와 관련된 신체의 청결과 위생 및 남녀의 신체적인 차이를 가장 중점적으로 지도한다고 응답했다. 많은 교사들은 성교육을 실시하는 목적이 학생들이 보이는 부적절한 성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춘기 이전인 초등부에서 성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정신지체 학생들이 성적인 권리를 지녀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성적으로 이용당하지 않을 권리와 사회적·성적인 행동에서 훈련을 받을 권리를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결혼, 자녀 양육이나 산아 제한 등의 권리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적은 편이었다. 2. 성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성교육을 실시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교수방법과 자료에서도 실물자료를 이용한 방법과 성교육 지도서, 괘도·차트 등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성교육 내용에서는 성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아기의 기원과 출생, 사춘기의 정서적인 변화, 남녀의 성적인 역할에 대해 더 중점적으로 지도하고 있었고, 부모와의 협력 유형에서도 부모와의 면담을 통해 교사와의 견해 차이를 살펴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성교육의 실시 시기, 시간, 빈도에서는 성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과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들 모두 필요한 시간에 수시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교육 용어를 사용하는 방법과 성교육 내용, 자료 등의 수정유형에서도 성 교육 연수 경험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대부분의 교사들은 정신지체 학생들이 성에 관한 질문을 해 오는 경우 성교육 실시 여부와 관계없이 솔직하고 정확하게 대답해준다고 응답하였다. 정신지체 학생들의 성 행동 유형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이 공공연히 드러나거나 남에게 실례나 피해가 되는 성 행동을 보이는 경우, 대부분의 교사들은 성교육 실시 여부와 관계없이 즉시 꾸짖어 그 행동을 금지시킨다는 응답이 많았다. 그러나 정신지체 학생들이 타인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는 성 행동을 보이는 경우에는 성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이 상담이나 교육을 실시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고등부 교사들이 실시하는 대부분의 성교육은 교사 재량에 의해 필요한 시간에 수시로 실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 성교육이 체계적인 계획을 가지고 실시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교사들은 보다 다양한 교수방법과 자료들을 이용하여 정서적·사회적인 측면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성교육을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많은 교사들은 성교육의 목적을 부적절한 성행동 감소라는 좁은 의미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신지체 학생들의 정상화와 사회통합에 도움이 되는 결혼과 자녀 양육의 권리를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경우는 적은 편이었다. 따라서 교사들이 정신지체 학생들의 사회통합을 위한 방안으로 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인식이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성교육 연수가 교사들의 성교육의 실시여부 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체계적인 성교육 방법과 내용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어, 앞으로 특수교사들을 위한 전문적인 성교육 연수 프로그램이 실시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모든 성 행동에 대해서는 아니지만 학생들이 부적절한 성 행동을 보일 때, 성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이 적절한 행동들을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성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이 정신지체 학생들에게 적절한 행동을 가르치기 위해 학습과 사회화의 기회를 제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성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정신지체 학생들이 적절한 사회적·성적 기술들을 배워 책임감을 지닌 지역사회의 한 성인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체계적으로 실시되는 성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특수교사들을 위한 전문적인 성교육 연수 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