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3 Download: 0

1989년 동독혁명의 정치동학 연구

Title
1989년 동독혁명의 정치동학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olitical dynamics of 1989's DDR Revolution
Authors
이명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대석
Abstract
DDR Revolution of 1989 was started by DDR (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 East Germany)'s democratization and reformation request. But discussion was changed during the revolution and because of DDR people's unification request, German unification which had been imagined by nobody until 1989 was driven. As a result, DDR Revolution was completed to DDR's destruction and German unification. These ‘Change in change’ was the result of selection by evaluation for DDR system and dynamic interaction in revolution space. Groups who played in revolution space were Sozialistische Einheitspartei Deutchlands (SED), citizens, antiestablishment intellectual and antiestablishment movement group (the movement group). Discussion reach the conclusion by right to speak and influence which were created during the revolution, so the will of group obtained politics leading ability made an effect on the unfolding of dynamics. Therefore, this thesis intends to consider political dynamics of DDR Revolution by examining the process DDR politics leading ability is transferred in revolution space. In the period before DDR Revolution, rupturing image of real socialism was focused. DDR system seemed to be stable externally, but its crack was actually concealed under the shadow of dictatorship. Continuous escape phenomenon, antiestablishment intellectuals' conference for ruling discussion, dual social characteristics of citizens and existence of movement group formed under the protection of church were not appeared externally, but it explains the process DDR people separate from the system. For the period of DDR Revolution, solidarity and division of resistance group conducted in revolution space and discussion change were focused. From the occurrence of revolution to the collapse of the Berlin Wall, three groups formed resistance solidarity by countering SED and insisted innovation and democratization of DDR. But, after the collapse of the wall, citizens' opinion for socialism was changed to unification discussion and resistance solidarity was divided. From the collapse of the wall to public parliamentary elections in Mar. 1990, unification request dominated the space of public opinion and radical unification discussion was raised while external leading ability for unification was expanded. Revolution started by the request for democratization was changed to unification request and it was connected to German unification through the radical unification discussion. When strange atmosphere was sensed in 1989, SED's judgment for situation was nearly optical illusion. In the situation which neither can ignore the Soviet Union's innovation nor bear the danger of hegemony loss, the conflict between conservative party and innovative part in SED is connected to absence of public ruling route and domination of the situation was lost. While SED waited and saw the situation with passive response, DDR people's sense of resistance shown little by little spreaded gradually huge demonstration. The resistance solidarity was combined by spreading citizens' voluntary demonstration and a center of both demonstration and resistance solidarity was citizens. The process of SED's rapid collapse meant political leadership was transferred to resistance solidarity, especially, authority focusing on citizens. The process changing citizens' opinion made an effect on revolution's dynamics. The process was related to three times of wind in citizen society during the revolution. One was the wind of perestroika, another was the wind of BRD (Bundesrepublik Deutschland, West Germany) experience after the collapse of the Berlin Wall and final was the wind of Helmut Kohl's 1:1 currency reform. All of three wind was from external part to DDR and through it, the following facts could be discovered. The first, future's alternatives couldn't be discovered after SED dictatorship in resistance solidarity, so citizens responded sensitively to external effects. Both antiestablishment intellectual and movement group who couldn't imprint alternatives after the collapse of SED couldn't fill the political vacuum. Citizens' refusal of socialism and request for combining BRD were caused by absence of internal alternative. The second, public opinion formed in citizens was polarized by combining external effects. It was the process that opinion decisions which were potentially spreaded to citizens, but difficult to be appeared actually were decided to group opinion through the external effects. External effects were an opportunity to spread and change DDR people's opinion, but it made an effect on the decision of group opinion artificially like the Kohl's strategy. After the election of Mar. 1990, the unification was rapidly progressed, but domination of BRD prevailed political leading ability of DDR people in absence of condition expressing citizen's opinion and power which will represent. DDR people was marginalized by mass unemployment. They selected unification for themselves, but right to decide for DDR was transferred to BRD. It is the result caused by that right focusing on citizens, obtained by SED, was transferred to BRD. Ultimately, Alternatives couldn't be formed in DDR and this limitation making alternatives by external effects was expressed.;1989년 동독혁명은 독일민주공화국(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 DDR, 이하 동독)의 민주화와 개혁요구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혁명 진행과정에서 논의의 전환이 이루어졌고 동독인의 통일요구로 1989년까지 아무도 상상하지 않았던 독일 통일이 추동되었다. 이에 따라 동독혁명은 동독의 소멸과 독일 통일로 귀결되었다. 이러한 ‘전환 속의 전환’은 동독 체제에 대한 평가와 혁명 공간에서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였다. 혁명 공간에서 활동했던 그룹은 사회주의통일당(Sozialistische Einheitspartei Deutchlands: SED, 이하 사통당), 시민, 반체제 지식인, 반체제 운동그룹(이하 운동그룹)이었다. 혁명과정에서 생성된 발언권과 영향력에 의해 논의가 수렴해가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정치주도력을 획득한 그룹의 의지가 역동성의 전개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혁명 공간에서 동독의 정치주도력이 이전해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동독혁명의 정치동학을 고찰하고자 한다. 동독혁명 이전 시기는 현실사회주의의 균열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외적으로 안정적으로 보이던 동독체제는 실상 독재의 그늘 아래 균열이 은폐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지속적인 탈(脫)동독 현상과 지배담론에 대한 반체제 지식인의 회의, 시민들의 이중사회성, 교회의 보호 아래 형성되어 가던 운동그룹의 존재는 겉으로드러나지 않았지만 동독인이 체제로부터 결별해가는 과정을 설명해주고 있다. 동독혁명 시기는 혁명 공간에서 활동했던 그룹의 연대와 분열에 따른 논의 전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혁명의 추동에서 베를린 장벽 붕괴까지 사통당에 대항해 세 그룹이 저항연대를 형성해 동독의 개혁과 민주화를 주장했다. 그러나 장벽 붕괴 이후에는 시민들의 사회주의에 대한 이견이 통일논의로 전환되면서 저항연대가 분열해갔다. 장벽 붕괴 이후부터 1990년 3월의 인민의회선거까지는 통일요구가 공론공간을 장악하고 통일에 대한 외부 주도력이 확장되면서 급진적 통일논의가 부상했다. 민주화 요구로 시작된 혁명이 통일요구로 전환되고, 다시 급진적 통일논의를 거쳐 독일 통일로 귀결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1989년 낯선 기운이 감지될 때에도 사통당의 상황 판단은 착시에 가까웠다. 소련의 개혁을 무시할 수도, 헤게모니 상실의 위험을 감수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사통당 내부의 보수파와 개혁파의 갈등은 공식 통치 노선의 부재로 이어져 사태에 대한 장악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사통당이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하며 사태를 관망하는 사이 조금씩 터져 나온 동독인의 저항의식은 점차 대량시위로 확산되었다. 저항연대의 결합은 시민의 자발적 시위가 확산되면서 이루어졌고 시위의 중심도, 저항연대의 중심도 시민이었다. 사통당의 빠른 붕괴 과정은 정치주도권이 저항연대에게, 특히 시민 중심적인 권력으로 이전된 것을 의미했다. 시민들의 의사가 변하는 과정은 혁명의 동학에 영향을 끼쳤다. 이 과정은 혁명과정 동안 시민 사회에서 일어난 세 번의 바람과 관련이 있었다. 첫 번째는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의 바람이었고, 두 번째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의 독일연방공화국(Bundesrepublik Deutschland: BRD, 이하 서독) 체험에서 일어난 바람이었으며 마지막은 서독 헬무트 콜(Helmut Josef Michael Kohl) 수상의 1:1 화폐개혁의 바람이었다. 세 번의 바람 모두 외부에서 동독으로 들어온 것이었는데 이를 통해 다음의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저항연대 내부에서 사통당 독재 이후의 미래 대안을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민들이 외부적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사통당 붕괴 이후의 대안을 각인시키지 못했던 반체제 지식인과 운동그룹 모두 정치적 진공을 채우지 못했다. 시민들의 사회주의 거부와 서독과의 통합 요구는 내적 대안 부재로 인한 것이기도 했다. 둘째, 시민들 내부에 형성되어 있던 여론이 외부 영향력과 결합되어 극화(劇化)되었다. 이는 시민에게 잠재적으로 산포되어 있었으나 실제적으로 드러나기 어려웠던 의사들이 외부적 영향력을 통해 집단의사로 결정되는 과정이었다. 외부적 영향력은 동독 시민의 의사를 확장하고 전환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지만 콜의 전략처럼 인위적 방식으로 집단의사 결정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1990년 3월의 선거 이후 통일과정은 신속하게 진행되었지만 시민의 의사를 대변할 세력의 부재 속에서 서독의 장악력은 동독 시민의 정치주도력을 압도하게 되었다. 동독 시민은 대량 실업 속에서 주변화 되어갔고 스스로 통일을 선택했지만 동독에 관한 결정권은 서독으로 이전되었다. 이는 사통당으로부터 쟁취한 시민 중심적 권리가 서독으로 이전되면서 생긴 결과로 궁극적으로는 동독 내부에서 대안을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적 영향력에 의해 대안을 열어가던 한계를 표출한 것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