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미화-
dc.creator정미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5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0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59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교육내용이 학문에 기반한 지식이어야 한다 는 인식 속에서 출발하였다. 지식에는 학문의 성립 경로에서 내재된 인간의 삶과 현대의 문명을 가능하게 했던 인간의 사고와 창의성이 담겨 있다고 보는 학문중심 교육과정관을 배경으로 하였다. 학문에 기반한 지식 학습은 단편적인 '사실' 중심의 학습과 그로 인한 암기위주의 교육방법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학문 혹은 지식이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과정에 어떻게 제시되어 왔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역사학에 터한 교육내용을 개발한 후, 초등 사회과 역사 교육과정 내용을 제3차 교육과정부터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법이 사용되었고, 분석대상은 제3차 교육과정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사회과에 제시되어 온 역사교육내용이 되었다. 분석은 두 갈래로 진행되었다. 첫째,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과정 내용이 역사학의 사실, 개념, 일반화 및 그 관련성을 어떻게 반영해 왔는가를 교육내용의 제시방식과 사실, 개념, 일반화 및 그 관련성을 초점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초등 사회과 역사 교육과정 내용은 역사학의 내용영역을 어떻게 반영해 왔는가를 역사학의 내용영 역별로 일반화, 개념, 탐구질문의 제시라는 측면과 각 영역의 반영비율을 확인하면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학문에 기반하여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는 문헌들을 참고로 하여 역사학의 교육내용을 개발하였고, 그 내용을 내용전문가 2인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 받은 후 분석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3차 교육과정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이 제시 해 온 역사교육 내용은 전반적으로 구체적인 과거의 사건이나 사례들을 내용으로 하는 사실들이었으며, 역사학의 주요개념이나 일반화는 부분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교육내용은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내용요소, 서술의 형태로 제시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전학년에 걸쳐 일관성 있게 제시되어 있지 않았고, 고학년에 집중되고 있었다. 역사교육내용 속에 부분적으로 개념이 제시되고 있었으나 그 개념은 포괄하고 있는 범위가 적은 것들이었으며, 제시된 사실과 개념간의 관련성 속에서 표현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제시된 개념은 각 개념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위계화되기 보다는 나열되어 있었고, 역사적 사실, 개념, 일반화와의 관련성이 교육내용에 나타나 있지 않았다. 둘째, 제3차 교육과정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과정은 '연대기적 사고', '역사의 진행 및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해', '역사 서술과 검증'으로 구분된 역사학의 영역별 교육내용을 58.8%, 92.2%, 1.9% 등으로 각기 다르게 반영해 왔다. '연대기적 사고' 영역의 경우 교육과정상에서 일정한 계열 속에서 일관되게 제시되어 오지 않았다. 대부분의 역사영역 단원에서 제시되고 있는 것은 '역사의 진행 및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는데 그 내용은 과거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역사 서술과 검증' 영역의 내용은 거의 배제되어 왔다. 또한 제시된 내용은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역사학의 일반화를 제시하고 있었으나 단원 활동을 소개하는 차원에서의 제시였고, 설정된 각 교육내용과 관련지어져 나타나 있지 않았다. 개념을 제시하고 있었으나 그것이 각 영역 안에서 위계화되거나 하위일반화, 탐구질문 등이 함께 제시되어 있지 않아 역사를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데 제한이 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학문중심 교육과정관을 본격적으로 수용하기 시작한 제3차 교육과정부터의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과정 내용이 역사학의 학문적 성격을 충실 하게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과거의 사건과 변화 및 인물의 업적을 중심으로한 '사실중심'이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역사교육내용이 종합적인 역사적 사고형성을 위해 포함해야 할 내용 영역을 미리 구분하여 각 학년에서 계열적, 체계적으로 제시해 오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측면은 역사학의 주요개념과 일반화의 획득과 그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하여 역사학습을 통한 역사적 안목 형성을 제한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고될 필요가 있다. 이에 학문에 터한 지식을 내용으로 하는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과정 내용은 다음을 고려하여 제시될 필요가 있다. 첫째, 국가수준에서 제시하는 역사교육과정은 역사학의 성격에 기초한 역사학의 주요 개념과 일반화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과거의 사실이 역사학의 주요개념과 일반화와 관련 지어지면서 위계화되는 가운데 제시될 필요가 있다. 사실과 함께 역사학의 주요개념과 일반화가 관련성 있게 제시되었을 때 역사는 다양한 상황변인이 상호 작용하는 동적인 탐구대상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역사교육과정 내용은 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담아내기 위하여 역사학의 내용영역을 미리 구분하고 내용을 엄선하여 초등학교 각 학년에서 계열성 있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분석결과에서와 같이 어느 한 영역에 편중되어 제시되는 것은 역사공부를 통해 학습자가 형성해야할 종합적인 역사적 사고형성을 제약할 수 있다. 셋째, 교과가 기반한 각 학문의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확보하기 위해 교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해설서, 교과서의 위상과 역할이 재정립되어 교육내용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교사에게 교과 교육과정 문서는 각 교과를 통해 가르칠 내용을 안내하는 성격을 지니고, 교과 교육과정에 담긴 각 학문의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이해정도는 교육의 질을 좌우하게 된다. 이에 지금까지 각 교과에서 가르칠 구체적인 사실들을 범주화해 놓아 교과서와 비교하여 내용과 질의 측면에서 크게 구분이 되지 않았던 교과 교육과정을 각 학문에서 학습 가능한 형태로 도출된 개념과 일반화를 중심으로 구성하고, 교육과정 해설서에서는 각 학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This study is built upon the recognition that textbook contents to teach at elementary school should correspond to disciplinary knowledge.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knowledge is constructed by human thoughts and creativity which enable modern civilization and human life. Learning based on the nature of knowledge provides an alternative of the way of learning that emphasizes memorizing fragmentary facts. This study analyzes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suggesting an outline of how the nature of knowledge should be reflected.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Content Analysis whose criterion refers <matrix 7> that is created by the researcher and tested by experts about the cont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ing: First,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bout social studies from the period of the 3th revision of Curriculum to the 7th revision of Curriculum consist predominantly items that are categorized concrete events or cases in the past. Those items include some concepts, which indicate just facts without explaining concrete contexts of events in the past. As those concepts are not organized by systematic knowledge students have had difficulties to learn ways of conceptualization on historical knowledge. Although some generalizations are provided in contents, those are not consistent and far from conceptualization. Seco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from the period of the 3th revision of Curriculum to the 7th revision of Curriculum have reflected a biased understanding of history as composition of contents is unfairly proportioned by areas: The area of `Chronological Thought' has not been provided by a systematic plan the area of `Progress of History an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texts' has consisted of the segmented facts of history and the area of 'Writing History and Verification' has been rarely introduced. In particular, `Progress of History an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texts', taking most part of curriculum of history education, has not included conceptualization of essential ideas in history nor introduced ideas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Those limits lead many students unable to understand history in dynamic contexts. Further, as those three areas have not been dealt with in relations each other, students are confined to form a macro frame of history building upon `historical thoughts'. The above analyses implicate that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bout social studies from the period of the 3th revision of Curriculum to the 7th revision of Curriculum have not fully comprehended fundamental attributes of history education based on disciplinary knowledge. Therefore, the limit of curriculum induces students having been taught and just memorized about the facts of history. Only when students are able to study human activities in the past with dynamic contextualization, that effects 'educational power' in understanding history of past and further phenamena of present and fu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should be reflected in history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First, the history curriculum in national-level should focus on the concepts which is crucial to understanding and producing historical knowledge. Essential ideas and generalization of history should be contextualized and structured in a hierarchy. Second, each area of history curriculum (`Chronological Thought,' `Progress of History an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texts,' and `Writing History and Verification') should be introduced consistently in every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s enables the students to formulate integrated historical thoughts. Third, the contents and roles of subject curriculum, explanation books of curriculum, and the school textbook should be reconstructed and need to be provided to students systematically. The quality of education depends on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thoroughly curriculum textbook based on the disciplinary knowled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학교 교육과정과 학문 = 5 1. 학문중심 교육과정 = 5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내용 제시방식 = 11 B.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 14 1. 사회과의 성격 = 14 2. 역사학의 교육내용 = 17 C. 선행 연구 = 37 III. 연구 방법 = 39 A. 연구대상 = 39 B. 분석기준 및 분석방법 = 40 1. 분석 기준 = 40 2. 분석 방법 = 43 IV. 연구 결과 = 46 A. 시기별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 46 1. 제3차 교육과정 역사교육 내용 = 46 2. 제4차 교육과정 역사교육 내용 = 48 3. 제5차 교육과정 역사교육 내용 = 50 4. 제6차 교육과정 역사교육 내용 = 52 5. 제7차 교육과정 역사교육 내용 = 54 B. 영역별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 58 1. '연대기적 사고' 영역의 교육내용 분석 = 58 2. '역사의 진행 및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해' 영역의 분석 = 60 3. '역사서술과 검증' 영역의 분석 = 62 V. 요약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8 부록 = 72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207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문중심 교육과정관에 비추어 본 초등 사회과 교육내용 변천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역사영역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