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2 Download: 0

일상적 사물을 통한 자아표현 연구

Title
일상적 사물을 통한 자아표현 연구
Authors
류지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소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삶과 예술은 분리될 수 없는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예술은 삶을 조명하는 역할을 하며, 예술의 창조 행위는 인간이 자기 자신의 본질을 깨닫고자 하는 본성에 의해 끝없이 계속된다. 자기 존재 확인에 대한 열망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실존적 의식이다. 하지만 남성 중심적인 사회에서 여성은 많은 제약과 억압을 받으면서, 이상화된 상상의 세계에서 자신의 실체를 찾고자 했다. 현대에서의 여성은 자신의 존재 자체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자 하며 다양한 모습들을 통해 이를 실현시키려 노력한다. 본 연구는 현실 속에서 여성으로서의 자아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안고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 속에서의 존재확인에 대한 욕망을 일상적 사물들을 통하여 바라본 개인적 체험을 표현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근거로서 자아표현을 통해 정체성의 문제를 탐색했던 여성작가들의 초현실주의적 요소를 페미니즘과 초현실주의를 결부시켜, 여성성이 나타나는 작품을 중심으로 시기별로 분석 제시하였다. 작품의 내용적인 면으로는 복잡한 현대사회 속에서 겪어야 하는 정신적 불안과 구속된 존재일 수밖에 없는 인간의 존재를 바라보는 나와 보여지는 나로 대립시키고 바라봄과 보여짐이라는 이상과 현실의 이중적 구조를 일상적 사물과 자신의 신체를 등장시키는 방법으로 자전적 일화를 담아낸다. 그리고 일상적 사물들이 욕망의 주체로 대변되는 과정에서의 방법적인 면의 연구가 중심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간의 삶에서 보여지는 현실 공간 속의 일상적 사물들이 변형된 형태로 일상적 이미지인 관념적 실체와 환상적 이미지인 사물의 이면이 병립되는 이중적 구조를 가진다. 이것은 욕망의 주체로서의 자아가 바라보는 나와 보여지는 나로 표현되며, 자아와 타자, 이상과 현실간의 딜레마 속에서 부유하는 인간의 복잡한 이중구조를 대상과 물질의 상상력을 통해 보여준다. 일상적 오브제는 하나의 삶의 은유적 어휘로 본래의 의미를 벗어나 욕망을 꿈꾸는 주체가 된다. 이러한 오브제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설명하는 수단으로 일상적인 기능과 의미를 상실함으로써, 그 사물자체가 스스로 자의식을 갖는 의인화된 존재로 나타나게 된다. 다리미판, 구두, 발레슈즈, 욕조, 책, 침대, 액자 등 일상적이며 여성이 주로 사용하는 신변도구인 오브제를 사용하였고, 여성적 취향의 소재인 인조진주, 은가루, 꽃, 천 ,타조깃털 등의 재료를 상징적으로 나열하여 환상적이고 여성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여성성을 상징하는 도구 매개체를 중심으로 여성의 심리와 감수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자신의 존재 근거로서 자신의 폼을 직접 casting하는 것은 신체가 실재의 삶이며 체험된 세계 그 자체이므로 나를 표현하는 수단이 된다. 또한 현실에서 억압된 여성의 상징으로 신체에 비닐 랩을 감고 casting하여 상실과 결핍의 존재임을 표현하였다. Casting한 신체와 신체의 부분들에 석고붕대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직조기법으로 처리하고 상승하고자하는 심리적 감정 상태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작품에 전체적으로 사용된 백색은 오브제와 casting된 신체 그리고 석고붕대에 통일감을 주었으며, 여성성을 상징하는 재료와 더불어 비현실적인 환상적 공간을 만들어 낸다.;Life and art are organically related. Art plays a role in lighting up life. An artist ceaselessly continues creating works of art to realize his own nature. All of us who lead a contemporary life are eager to confirm self identity in existential consciousness. However, women have been under many restrictions and suppression in androcentric society. They have tried to find their reality inside of the idealized imaginary world. Modern women make efforts to be recognized by their own existences and try to fulfill this through various aspect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oint of the understanding of self reality of woma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press the passion of self reality recognition through personal experiences. The theoretical bases of this study is surrealism and feminism which sought for the problem of stagnation via self expression. And we chronologically analyzed the works mainly which revealed feminity. The main theme of works is dualism of human being, who is meant to suffer psychic anxiety and restriction in the complicated modern society. The duplicated nature of human includes the conflict of two egos. One looks at the outside world, while the other is showed to the outside world. Two egos mean the Ideal and the Real. The works incorporated autobiographical episodes by way of expressing both everyday affairs and the body of artists. The main stream of this study is the methodologic aspects of transformational process from everyday affairs to the subject of desires. After taking all results of this study into consideration, everyday affairs in the actual space have duplicated structures in metamorphic forms. The dualism implies ideal subject of ordinary image and the reverse side of fantastic image. Ego, the subject of desire is described as looking self and showing self. The complicated dualism of human who is on the horns of a dilemma of self and non-self, the Ideal and the Real, is represented by imaginative power of the object and substance. Ordinary object, one of the metaphorical glossary of life, escaped from original meaning and became the principal body of dreaming desires. These objects are explanatory means to express personal ideas and feelings. Accordingly, they lose ordinary functions and meanings, and become anthropomorphized beings who have self-consciousness for themselves. The usual objects were mainly female paraphernalia such as ironing board, high shoes, ballet shoes, bathtub, book, bed, picture frame et cetera. The materials of femine taste like imitation pearl, powdered silver, flower, textile, ostrich feather were arranged symbolically, expressing fantastic and femine feelings. The psychology and sensitivity of woman are strongly expressed by tools and media representing for feminity. By casting self body, which is the basis of self existence, the body becomes a real life, an experienced world itself, and means of self expression. Besides, it is the symbol of restrained women to wrap one's own body in vinyl and to cast oneself. It represents for loss and lack. Making good use of flexibility and elasticity of plaster bandage to casted body and portions of body, it made possible to express psychologic state of emotion to rise. The white color which was used throughout the works gave uniformity to casted body and plaster bandage, and made an unreal and fantastic space together with materials representing for femi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