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영-
dc.contributor.author최미숙-
dc.creator최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9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96-
dc.description.abstractThe first group of marriage-immigrants in Korea were Japanese women marriage-immigrants through “Nae-Sun Marriage" during the Japanese Occuation Period, and from then, there have been continuous stream of women marriage-immigrants from Japan as the marriage-immigration became more common. These Japanese women marriage-immigrants have established another form of family culture in Korea. Since these Japanese women marriage-immigrants are accustomed to the advanced Japanese medical welfare system for elderly, they might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Korea where they would have to take care of parents-in-law with chronic diseases at home under the Korean family culture that emphasizes "Jung and Hyo". Therefore, this research employs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hich reveals the universal and fundamental aspect of human, to understand the Japanese marriage-immigrants' experiences in taking care of their parents-in-law with chronic diseases from their perspective and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those experiences. We selected 13 Japanese marriage-immigrants who are all J Province residents and are able to understand and express in Korean for this research. The data collecting period was from May 2011 to October 2011 and the method used for data collecting was indepth personal interviews.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recorded with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we derived fundamental topics and meanings from their experience through reflective reasoning and categorization. The essential themes derived from the Japanese marriage-immigrants experience of taking care of parents-in-law with chronic diseases are as follows: 'stuck in a situation in which I am obligated to take care of the parent-in-law', 'hard to be the only person responsible to take care of the parent-in-law', 'unaccustomed to the Korean filial duty culture', 'the adverse effect of Korean-Japan history on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refusing to let the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to be a shackle of my life', 'starting to be willing to take care of the parent-in-law', 'following through with my own way of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without being swayed by what others say', 'growing in the process of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As the participants are given the role of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they first assume the role only with a sense of obligation as a daugher-in-law rather than with a willingness to take care their parent-in-law, and they experienced helplessness and were overwhelmed with the role. Furthermore, the fact that the father-in-laws viewed the participants not as daughter-in-laws and a member of the family but as a outsider from Japan which inflicted much pain to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 worsened the situation for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had to categorize what was expected from them into 'what I can do' and 'what I cannot do', and accept or refuse requests from parents-in-law accordingly. The participants developed their own ways of taking care of their parent-in-laws based on their previous knowledge of the role while not being influenced by practices of people around them. Taking care of the parent-in-law was simply a duty and an obligation for the participants at first but, as the time passed, they started to understand their parent-in-law's situation and empathize with the life of their parent-in-law which was plagued by the chronic diseas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participants developed a new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in-law. Furthermore, as their husbands and family-in-law started to give them respect for their dedication to parent-in-law, they were able to establish self esteem as a daughter-in-law for a Korean family and to understand the true worth of fulfilling filial du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broadened the ground on which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Japanese marriage-immigrants on taking care of parent-in-law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also provided the chance of strategic development for a way of taking care of parent-in-law with methods derived from both Korean culture and Japanese culture.;결혼이주의 흐름이 보편화되면서 우리나라와 역사적, 지리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결혼이주 일본여성은, 일제강점기의 ‘내선 결혼’을 통해 한국사회에 가장 먼저 들어온 이주여성으로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져 오면서 또 다른 가족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선진화된 노인 의료복지 서비스에 대해 익숙해진 일본여성들이 결혼을 통해 ‘정(情)과 효(孝)’를 중시하는 한국의 가족문화 속에서 만성질환 시부모를 보살피고 돌보는 일에 다양한 문제점과 어려움이 발생하리라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보편적이면서 본질적인 측면을 밝히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주 일본여성이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에 대한 경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J도내에 거주하는 자로 연구자의 질문(한국어)을 듣고 이해할 수 있으며, 한국어로 표현이 가능한 결혼이주 일본여성 13명이 선정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5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면대면 개별 면담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면담내용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고, 이들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반성적 사고를 통해 세분법에 따라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혼이주 일본여성의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에 대한 본질적 주제는 ‘돌볼 수밖에 없는 처지로 내몰림’, ‘홀로 돌보기가 힘겨움’, ‘낯선 돌봄 문화에 당혹스러움’, ‘한·일 역사와 맞물려 돌봄이 더 고달파짐’, ‘돌봄에 얽매이는 것을 거부함’, ‘돌보고 싶은 마음이 생김’, ‘주변의 돌봄에 휩쓸리지 않고 나만의 돌봄을 시행함’, ‘돌봄으로 인하여 성숙해짐’등 이었다. 참여자들은 만성질환 시부모의 돌봄을 떠맡게 되면서 마음이 앞서기보다 의무적인 며느리로서의 역할을 시도해보지만 끝날 것 같지 않은 긴 병 앞에서 무력감과 버거움을 경험하였다. 특히 일제 강점기의 고통스런 역사를 겪은 시아버지의 눈에 비추어진 참여자는 며느리가 아닌 일본인으로 인식되어 괴로움과 마음의 고생을 더하였다. 참여자들이 경험한 한국적인 며느리로서의 역할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구별하여 시부모의 요구를 때로는 ‘거절’하고 때로는 ‘수용’하여야 했다. 또한 노인 돌봄에 대해 일본에서 습득한 것과 주변인들의 방식에 휩쓸리지 않으면서 참여자 나름대로 돌봄 방법을 체득해 나갔다. 참여자들은 만성질환이 있는 시부모의 돌봄을 의무로 여기고 해야 할 도리로만 여겨왔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노부모에 대한 처지를 이해하게 되고, 만성질환으로 힘들어 하는 시부모의 삶 전체를 마음으로 수용하면서 돌봄을 통해 고부지간의 관계형성이 새롭게 구축되었다. 특히 남편과 시집식구로부터 지금까지의 시부모 돌봄에 대한 신뢰와 인정을 받게 되면서 참여자들은 비로소 한국인 며느리로서의 존재 가치를 느끼고, 돌봄의 의미를 마음으로 깨닫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이주 일본여성들이 만성질환 시부모를 돌보면서 일본 문화와 한국 문화를 접목한 돌봄을 위한 전략적 개발을 제공하였고, 아울러 결혼이주 일본여성의 시부모 돌봄의 사회·문화적인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연구 문제 3 Ⅱ.문헌 고찰 4 A. 한국과 일본의 가족문화 4 B. 한국의 돌봄과 일본의 돌봄 9 C. 만성질환 노인 돌봄 14 D. 결혼이주 일본여성의 결혼생활 경험 18 Ⅲ.연구 방법 및 절차 21 A.van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21 B.체험의 본질을 향한 집중 25 1.현상에 대한 지향 25 2.현상학적 질문 형성 27 3.연구자의 가정과 선 이해 28 C.실존적 탐구 단계 30 1.개인적 경험을 출발점으로 사용 30 2.어원의 추적 31 3.관용어구 추적 34 4.문학과 예술로부터의 경험적 묘사 39 5.연구 참여자의 경험적 진술 82 6.해석학적 현상학적 분석과정 87 7.연구의 질 확보 90 Ⅳ.연구결과 92 A.결혼이주 일본 여성의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92 B.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124 Ⅴ.논의 129 A.결혼이주 일본여성의 문화가족 체계 차이의 경험 129 B.결혼이주 일본여성의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을 위한 중재 132 C.간호학적 의의 136 Ⅵ.결론 및 제언 140 참고문헌 144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58 <부록 2> 연구 설명서 159 <부록 3>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60 <부록 4> 작품 사용 승인서 162 Abstract 1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31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결혼이주 일본여성의 만성질환 시부모 돌봄 경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Lived Experience of Japanese Marriage-Immigrants' Caring for Parents-in-law with Chronic Illness-
dc.creator.othernameChoi, Mi Suk-
dc.format.pageviii, 16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