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안혜진-
dc.creator안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9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4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과 수업의 실제를 알아보고 수업을 진행하는 강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요구사항을 살펴봄으로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담당강사의 활동실태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1.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강사의 활동실태는 어떠한가? 1-2.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강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3.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연수에 대한 강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수업의 실제는 어떠한가? 2-1.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수업의 목표와 내용은 어떠한가? 2-2.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수업의 방법 및 교재·교구는 어떠한가? 2-3.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수업의 수업진행 및 평가는 어떠한가? 3.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강사들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3-1.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3-2. 방과후 특성화 강사 연수에 대한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3-3. 방과후 특성화 수업 현장에 대한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1번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2번을 위해 관찰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문제 3번을 위해 강사 면담을 하였다. 연구문제 1번의 설문조사는 유아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한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강사 연수를 이수하고 서울지역에서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강사 125명이 참여하였고, 2012년 1월부터 3월까지 이메일을 통해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번의 관찰연구는 설문지 연구 참여한 125명의 강사 중 수업공개에 동의한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강사를 대상으로 2012년 1월부터 4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총 30명의 수업을 1회씩 관찰하였다. 연구문제 3번의 면담은 2012년 1월부터 4월 사이에 관찰연구에 참여했던 30명의 강사들 중 면담에 참여의사를 밝힌 강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음악강사 4명, 미술강사 3명, 체육강사 6명, 과학강사 3명으로 총 16명의 강사가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통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집단을 알아보았다. 면담 내용은 현장 녹음 후 전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강사의 활동 실태를 살펴보면 강사들은 1주에 1~2개원 방문과 4~6회 수업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수업에 참여하는 유아의 연령은 만 5세, 참여인원은 10~20명이 가장 많았다.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의 활용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활용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현장 적용을 위한 내용 미흡’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성화 강사들이 수업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유아의 흥미라고 하였으며 강사의 과반수이상 자신의 수업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강사의 인식은 교육목적 달성의 적합성, 유아 발달 수준의 적절성, 유아 흥미의 적합성, 연령별 교육 가능성, 다양한 경험의 제공, 내용의 적절성, 주제에 따른 계열성, 유아교육과정과 연계성,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성 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재·교구의 적절성, 수업계획 및 준비의 용이성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의 문제로는 수업 환경, 강사교육과 수급, 특성화 활동 내용에 대한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며 프로그램의 개선 및 개발, 강사 급여의 적정화, 교재·교구의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강사 연수에 대한 인식은 연수의 시기와 방법, 내용, 강사와 자료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수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강사들은 연수를 통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더 도움 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둘째,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수업의 실제를 알아본 결과 수업의 목표와 내용, 수업 운영 방법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업 개선을 위한 운영 점검 관리 체계는 전혀 진행되지 않았고 평가 실행도 낮은 수준이었다.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에서 활용하는 교재·교구를 살펴보면 활동분야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안전성에서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발달의 적합성과 다양성 부분에 있어서는 체육 분야가 낮게 나타났으며 수업의 평가는 학력이 높을수록, 유아와의 상호작용은 강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당강사와의 면담을 통해 알아본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은 유아에게 적합한 활동으로의 개선, 강사의 전공과 연계되도록 일부분야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연수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수, 체계적인 연수, 수업 현장에서 활용하기 교수방법 제공, 사이버 연수의 개선 등이 있었다. 수업 현장에 대한 요구사항은 수업 환경 개선, 교사대 유아의 비율 개선, 유치원과의 소통을 통한 강사에 대한 인식개선, 강사 대우의 현실화, 행정적인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및 활동 개선, 수업의 관리 감독을 위한 방안 모색,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 자료 및 교구의 지원, 지속적인 강사 연수를 통한 특성화 수업의 질적 제고에 힘써야 한다는 것이며, 나아가 방과후 특성화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과 재정적인 지원, 강사 인력풀과 정책적 홍보 등을 위한 공적인 시스템과 지역 유치원간의 네트워크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the field lessons of instructors performing the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of the national educational level. Interviews with the instructor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kind of activities do instructors engage in for the national-level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and what kind perceptions do they have of such programs? 1-1. What kind of activities do instructors engage in for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s? 1-2. What kind of perceptions do they have of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s? 1-3. What kind of perceptions do they have of in-service training for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s? 2. What are the lessons of national-level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that instructors teach? 2-1. What are the goals and contents of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s? 2-2. What are the methods,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ments of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s? 2-3. What are the progress and assessment of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s? 3. What kind of demands do instructors have for the progress of national-level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3-1. What kind of demands do instructors have for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s? 3-2. What kind of demands do instructors have for in-service training for specialized after-school instructors? 3-3. What kind of demands do instructors have for specialized after-school lessons in the field? A survey was taken for Research Question 1, observations were made for Research Question 2,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Research Question 3. 125 instructors who completed an in-service training course for national-level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and had been teaching specialized after-school lessons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Research Question 1,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via e-mail from January to March, 2012.Research Question 2 was done with 30 instructors who agreed to open their lessons for observation from January to April, 2012, and the lessons of the 30 instructors were observed once for each instructor. Research Question 3 was performed with 16 instructors of those 30 through interviews from January to April,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When there was a group difference found, Scheffé post-hoc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group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on the spot and then transcribed, and the respons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Summarized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ctivities of instructors in national-level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the biggest number of their visit to kindergartens is once to twice per week and the instructors teach four to six lessons per week. The largest age group of young children in those lessons was five-year-olds. The size of the most popular class was 10 to 20 students. The utilization level of national-level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was low. The instructors regarded young children's interests as a very important element during class, and more than 50% of the instructors were satisfied with their lessons.As for their perceptions of national-level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their perception level was high in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goal attainment, the properness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the fitness of young children's interests, the possibility of age-specific education, the provision of various experiences, the fitness of contents, the sequences of topics, the relations to early childhood curriculums, and the divers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owever, their perception level was low in the properness of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ments and the easiness of lesson planning and preparation. As for in-service training for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instructors, the respon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such in-service training in terms of time, methods, contents, and materials. Since the provision of no consistent in-service training has been a problem, the instructors have hoped to receive more assistance with applicable teaching methods through in-service training. Second, as for the lessons of national-level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anagement methods of lessons were superior.However, there was no system of management, inspection, and monitoring to improve lessons, and evaluation system was at a low level.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ments scored high points in safety; on the other hand, developmental fitness and diversity scored low. The higher education they received, the better lesson assessment they gave. The longer career they had, the better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they engaged in. Third, regarding the necessary improvement that the instructors expressed through the interviews was in more proper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and better connections with the majors of the instructors. As for in-service training, they wanted ongoing, systematic training, provision of applicable teaching methods, and improvement of cyber in-service training. As for field lessons, they had such demands as better lesson environments, better ratios of teachers to children, improved perceptions of instructors through communication with kindergartens, actualization of enhanced instructors treatment, and better administrative support. Th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mproving the assessment and activities of specialized after-school programs, searching for lesson monitoring and supervising plans, offering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ments, and enhancing program quality through ongoing in-service training for instructors. It is also required to have more public concern and better financial support for after-school program specialization and to establish networks and cooperation between public systems and local kindergartens for instructor pools andpolicy promo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용어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A.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9 B.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14 C.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관련 선행 연구 21 Ⅲ. 연구방법 34 A. 연구 대상 34 B. 연구 도구 38 C. 연구 절차 45 D. 자료 분석 5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53 A. 방과후 특성화 강사의 활동실태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53 B. 방과후 특성화 수업의 실제 82 C. 방과후 특성화에 대한 강사들의 요구사항 95 Ⅴ. 논의 및 결론 123 A. 요약 및 논의 123 1.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강사의 활동 실태와 인식 123 2.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수업의 실제 131 3.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강사들의 요구사항 133 B. 결론 및 제언 140 참고문헌 146 부록 1.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강사용 설문지 158 부록 2.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수업 진행 관찰 기록표 166 부록 3. 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담당 강사 면담 문항 167 부록 4. 방과후 특성화 분야별 교육계획안 예시 168 ABSTRACT 1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05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국가수준 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강사의 인식 및 수업의 실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Perceptions and Field Lessons of Instructors Performing Specialized After-School Kindergarten Programs of the National Educational Level-
dc.creator.othernameAhn, Hye Jin-
dc.format.pageix, 18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