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의 특징

Title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의 특징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 of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child during free play activity
Authors
길효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child by analyze dialogue between them during free play activity. following is selected subjects of inquiry for this research. 1.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speech act between teacher and child during free play activity? a.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speech act when the dialogue is initiated from teacher? b.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speech act when the dialogue is from child? 2.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adjacency-pair between teacher and child during free play activity? a.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adjacency-pair when the dialogue is initiated from teacher? b.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adjacency-pair when the dialogue is initiated from child? 3.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pattern of dialogue sequence between teacher and child during free play activity? a.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pattern of dialogue sequence when the dialogue is initiated from teacher? b.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pattern of dialogue sequence when the dialogue is initiated from child? the researcher collected dialogues between 230 children who are full aged between 3-5 and 15 teachers from 3 kindergarten and 2 nursery school located in S city, J city, and C city to analyze dialogue between teacher and child. collected dialogue was divided into 2 groups depends on who brings the dialogue out; one is by teacher, and the other is by child, and then research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speech act, adjacency-pair, and pattern of dialogue sequence. to summarize the result of research is following. first, the characteristic of dialogue when dialogue is initiated from teacher during free play activity is, teacher tried to affect child by giving a speech act of asking what child think, asking child to do something, describing specific situation. as a receiver of speech act, child tends to respond amicable connection to givinig speech act by agree, answer, short answer as teacher's intention. on the other hand, when dialogue is initiated from child, as a giver of speech act, child tried to affect and have a relationship with teacher by describing detailed situation about itself or friends, or expressing realistic point of view. as a receiver of speech act, teacher was sending signal to child of listening by repeating or reply speeching rather than focusing on child's intention. however, teacher tended to show hold off manners rather than immediate answer. second, when we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 of adjacency pair when dialogue is initiated from teacher during free play, over all characteristic of adjacency pair between teacher and child occured instantly depends on situation. to conclude by important adjacency pair, when dialogue is initiated from teacher, it tended to be open question-answer form, order-agree form, close question- short answer. it shows that most of the time under free play activity, when teacher initiated dialogue, teacher ask open question of what child is thinking, and child answer to this question. however, the fact that next frequent dialogue type is order-agree, close question-short answer also shows there is dialogue to run the free play activity more realistic at the same time. the dialogue structure of adjacency pair when dialogue is initiated from teacher focuses on the teacher's intention as speech act giver. it indicates teacher preference characteristic as a speaker, and active answer oriented characteristic as a listener of trying to understand meaning of spoken word and connect to teacher by understanding what teacher intends and answer what teacher prefers. on the other hand, when dialogue is initiated from child, the pattern was statement - repeat, statement - reply speech, and statement - request of verify. this indicates when dialogue is initiated from child, most of the time the dialogue is about current and detailed circumstance and fact, and teacher repeat about that or reply. the dialogue structure of adjacency pair when dialogue is initiated from child does not focuses on child’s intention as a speech act giver, but it does show the will of connecting dialogue. this indicates passive react oriented characteristic as speaker, child does not show neither preference nor dislike, rather neutral, and as listener, teacher does not answer immediately but still listen. third, when take a look at pattern of dialogue sequence when teacher generates dialogue during free play activity, most of the dialogue pattern was open question - answer - statement - repeat, open question - answer - statement - reply speech, open question - answer - statement - supplement. we can learn that when dialogue is initiated from teacher during free play activity, the pattern of dialogue sequence is practiced by teacher asking - child answering - teacher repeating. the most important thing of pattern of dialogue sequence when teacher generate dialogue is that there is a tendency that teacher try to understand as a statement when child answer. there is a pattern that last third, turn of speech act is most likely one of repepat, reply speech, supplement, request of verify, agree(disagree). on the other hand, the pattern of dialogue sequence when child generates dialogue does not have one or two pattern which have most frquency, and has very various pattern so that there was no general pattern. however, when child initiated dialogue child understand teacher's second turn of speech act in various way, so that the last third speech act was connected various way. this conclusion suggest following. first, teacher-child dialogue affect each other and has a power of speech act. each dialogue include what they mean to each other, and when child is listener, they understand this very well and have a dialogue. therefore, when we approach teacher-child dialogue, we need to consider that each of their dialogue affect each other and it is not just exchanging words. second, child are more active and capable than what teacher think when it comes to dialogue. in this research, child were able to get the exact point of what teacher means and answer right, they also connected the answer they want in active way. this not just affects the constructure of dialogue, but also was very helpful to proceed dialogue. third, dialogue during free play activity based on either teacher's or child's intention, however, it is not prepared in advance. fourth, teacher need to aware and prepare as an active speecher. so teacher need to read current situation and face to dialogue active. fifth, there is a need of support for teachers to help them aware themselves as a conversationer. training program that helps teacher can have better communicaion and decision making should be practiced so that teachers can be prepared and relaxed in conversation.;본 연구는 자유 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를 분석하여, 교사-유아 대화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유 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 화행의 특징은 어떠한가? 가. 교사 시도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의 특징은 어떠한가? 나. 유아 시도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의 특징은 어떠한가? 2. 자유 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 인접쌍의 특징은 어떠한가? 가. 교사 시도 대화에서 나타나는 인접쌍의 특징은 어떠한가? 나. 유아 시도 대화에서 나타나는 인접쌍의 특징은 어떠한가? 3. 자유 놀이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 대화 연속 패턴의 특징은 어떠한가? 가. 교사 시도 대화에서 나타나는 대화 연속 패턴의 특징은 어떠한가? 나. 유아 시도 대화에서 나타나는 대화 연속 패턴의 특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교사-유아의 대화를 분석하기 위해 S시와 J시, C시에 위치한 유치원 3곳과 어린이집 2곳의 교사 15명과 교사가 담당한 학급의 만 3, 4, 5세 유아 230명을 대상으로 자유 놀이 시간 동안의 대화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교사-유아 대화는 시도 주체에 따라 교사 시도 대화와 유아 시도 대화로 구분한 후, 교사-유아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의 특징, 인접쌍의 특징, 대화 연속 패턴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 놀이 상황의 교사 시도 대화에서 나타나는 주요 화행의 특징을 살펴보면, 교사는 주는 말 화행으로 유아의 생각을 물어 보는 행위, 유아에게 시키는 행위, 구체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행위를 하여 유아에게 영향을 주고자 하였다. 받는 말 화행으로 유아는 교사가 원하는 의도에 맞게 수락, 대답, 단답 행위를 하여 앞에서 주어진 주는 말 화행에 우호적인 연결을 하려는 행위를 많이 나타냈다. 이에 반해 유아 시도 대화의 경우, 유아는 주는 말 화행으로 교사에게 자신과 또래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을 나타내거나, 사실적인 견해를 제시하는 행위를 하여 교사에게 영향을 주고자 하였다. 받는 말 화행으로 교사는 반복하거나, 반응 발화를 하여 유아의 대화를 듣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지만, 즉각적인 응답보다 보류하는 태도를 많이 나타내었다. 둘째, 자유 놀이 상황의 교사 시도 대화에서 나타나는 인접쌍의 특징을 살펴보면, 교사 시도 대화에서는 개방적 질문-대답 유형, 지시-수락 유형, 폐쇄적 질문-단답 유형이 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유 놀이에서의 교사 시도 대화가 개방적 질문으로 유아의 생각을 묻고, 유아가 이에 대답하는 대화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다음 순위는 지시-수락, 폐쇄적 질문-단답 유형으로 나타났다. 교사 시도 대화의 인접쌍의 대화 구조는 교사의 주는 말 화행의 의도가 초점이며, 유아가 교사의 의도를 잘 파악하고 교사가 선호하는 응답을 하여, 화자인 교사 입장에서는 교사 선호적 특징, 청자인 유아 입장에서는 선행된 말의 의도를 스스로 해석하여 연결하는 적극적 응답 지향 특징을 나타낸다. 이에 반해, 유아 시도 대화에서는 진술-반복 유형, 진술-반응 발화 유형, 진술-확인 요청 유형을 주로 나타냈다. 이는 자유 놀이에서의 유아 시도 대화가 지금 일어나고 있는 구체적인 상황과 사실을 나타내고, 교사가 그것을 다시 말하여 주거나, 혹은 맞장구치며 이어나가는 대화가 주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유아 시도 대화의 인접쌍의 대화 구조는 주는 말 화행의 의도에 초점을 맞추지는 않지만 대화가 연결되어, 화자인 유아의 입장에서는 선호도, 비선호도 아닌 중간적 특징, 청자인 교사의 입장에서는 응답을 미루지만, 듣고는 있는 소극적 반응 지향 특징을 나타낸다. 셋째, 자유 놀이 상황의 교사 시도 대화에서 나타나는 대화 연속의 특징을 살펴보면, 교사 시도 대화에서는 개방적 질문-대답--진술-반복 유형, 개방적 질문-대답--진술-반응 발화 유형, 개방적 질문-대답--진술-보충 유형을 주로 나타냈다. 이는 자유 놀이에서의 교사 시도 대화 연속이 주로 교사가 묻고-유아가 대답하고-교사가 이를 다시 반복하는 구조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 시도 대화 연속에서 교사는 유아의 두 번째 말차례(turn) 화행에 대하여 진술로 해석하는 경향을 주로 나타내며 마지막 3번째, 자신의 말차례(turn) 화행은 반복, 반응 발화, 보충, 확인 요청, 긍정(부정)반응 유형으로 집중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유아 시도 대화 연속 패턴은 빈도가 낮아 패턴 유형이 다양하여 일반화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아 시도 대화에서는 유아가 교사의 두 번째 말차례(turn) 화행을 다양하게 해석하여, 마지막 3번째 말차례(turn) 화행도 다양하게 연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 각각의 대화는 대화 행위로서 힘을 가지고 다음에 나올 대화에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교사-유아 대화를 접근함에 있어서 단순히 주고받는 언어가 아니라,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고 연결되어 있음을 고려하여 대화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화는 미리 정해진 의도와 예상된 답이 없는 역동적인 과정이며 무엇을 위한 방법이 아니라 대화 그 자체로서 받아들여져야 한다. 셋째, 유아는 대화에 있어서 능동적이고, 유능하다. 넷째, 교사는 청자의 입장에서 상황을 잘 해석하고 대화에 적극적인 태도로 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사를 위한 대화의 본질 및 대화의 과정, 대화의 방식을 내용으로 하는 대화 훈련 프로그램과 같은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대화의 맥락이 살아있는 생생한 현장 연구와 교사별 차이에 다른 대화의 구조의 차이, 언어학적 다양한 기제 등을 반영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무엇보다 유아 시도 대화의 많은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