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학교의 학습조직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학교의 학습조직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building school as learning organization : focusing on the cases of school curriculum change by Admission Officer System
Authors
이주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서경혜
Abstract
21세기 사회는 치열한 경쟁과 불확실한 미래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살아남기 위해서는 스스로 끊임없이 학습과 혁신을 통해 발전을 추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논의는 비단 기업조직에 국한되지 않는다. 최근의 교육환경 변화들은 학교조직으로 하여금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모종의 학습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조직이 외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자기변화를 이루어가는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으로 변모하지 않는 이상, 학교는 학교 간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학습조직을 구축해가는 과정이 결코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조직의 학습과정은 개인들의 지식, 믿음, 경험들을 공유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구조적 변수들에 의해 복잡하고 난해하게 전개되곤 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교육 분야 학습조직이론들이 학교를 학습조직으로 구축해야 하는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는 반면, 실제로 그러한 학습이 얼마나 어려울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는 문제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가 교육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조직학습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당면하게 되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그러한 어려움이 학교 교육과정의 대응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학교를 학습조직으로 구축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조직은 외부 교육환경 변화에 대해 어떻게 적응적 학습을 시도하고 있는가? 둘째, 학교조직이 외부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조직학습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당면하게 되는 학습 저해요인들은 무엇인가? 셋째, 적응적 학습의 결과로 나타나는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넷째, 학교조직의 적응적 학습과정이 학교를 학습조직으로 구축하는 데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고등학교 교사들의 새로운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는 대학입학사정관제를 조직학습의 대상 사례로 선정하고, 이러한 새로운 대학입학제도에 대응하고자 적응적 학습(adaptive learning)을 시도하고 있는 11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대학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학교조직의 적응적 학습과정, 학습과정에서 당면하게 된 저해요인, 적응적 학습 결과로 나타난 학교 교육과정 변화 양상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첫째, 대학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학교조직의 적응적 학습과정(adaptive learning process)은 다음과 같이 다섯 단계로 세분화되어 분석되었다. 첫 번째 단계인 ‘정보 획득 및 해석 과정’에서 변화주도자들은 입학사정관제에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상대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해석하며 정보 획득에 주력한 반면, 조직구성원들은 이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두 번째 단계 ‘공유 과정’은 변화주도자가 조직구성원에게 자신이 확보한 정보를 전달해주는 단방향의 의사소통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양방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세 번째 단계인 ‘실천과정’에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지식은 실제로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해 보는 방식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변화는 소수의 동료교사들이 팀을 이루어 시도한 사례도 있었지만, 많은 경우 변화주도자가 주도하고 동료교사들에게 동참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네 번째 단계인 ‘반성과정’에서 변화주도자들은 입학사정관제에 따른 변화로 진학성과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나친 성과압력과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친개혁적인 편향(pro-innovation bias)으로 인해 심도 있는 반성의 기회를 가지기보다 동료교사들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직학습의 다섯째 단계인 ‘지식의 저장 과정’에서 조직의 학습경험은 책자나 영상자료, 컴퓨터 파일 등의 형태로 저장되거나 조직구성원들의 암묵적 지식의 형태로 저장되고 있었다. 둘째, 학교는 입학사정관제라는 새로운 입시제도 도입에 적응하기 위해 조직차원의 학습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학습 저해요인을 당면하고 있었다. (1)일부 학교조직 구성원들은 ‘경직된 사고방식’으로 인해 입학사정관제에 무관심하거나 회의적으로 반응하였으며, 기존의 수학능력시험과 같은 확실하고 안전한 평가방식을 고수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적극적으로 학습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2)‘학교장의 지지가 부족’할 경우, 개인학습을 조직차원의 학습으로 확대하거나 실험적인 교육과정의 변화를 시도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목적 있는 상호작용의 부족’은 조직구성원들이 지식과 마음을 충분히 공유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조직학습 과정에서 갈등을 야기하고 있었다. (4)조직차원의 학습을 시도하고 변화하는 과정에서 ‘업무 과부하 및 지원 부족’의 문제는 조직구성원들의 반발과 갈등을 야기하는 현실적인 문제로 고려되었다. (5)조직구성원들은 조직학습 과정에서 특정 개인 교사가 주목받는 것을 꺼려하고 있었는데, 이처럼 ‘개인의 두각을 용인하지 않는 관료적인 학습문화’는 조직학습을 주도하는 교사에게 심리적인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6)‘학습주도 교사의 전직과 전근’은 지식의 저장에 문제를 일으켜 그 동안의 노력과 노하우들이 전수되지 못하고 조직의 순환적 학습과정을 단절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학사정관제에 대비하기 위한 적응적 학습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해보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곧, 입학사정관제에서 요구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거나, 기존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하여 운영하거나, 유명무실하게 운영되던 교육과정을 내실 있게 운영하거나, 교육과정 활동 결과물을 충실히 기록하게 되는 것과 같은 변화들이 시도되었다. 변화주도자들은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피드백들을 접하고 있었는데, 조직원들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들은 단위학교에서 시도하였던 교육과정 변화를 현실적인 필요에 따라 전략적으로 타협하는 방식으로 축소·조정되도록 만들고 있었다. 현대사회의 학교 교육과정은 정태적이라기보다는 외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실험과 도전을 시도하면서 끊임없이 수정되고 보완되는 동태적인 실체로 논의될 수 있다. 이처럼 외부 변화에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대응해나가기 위해서는 학교조직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탐구하는 가운데 새로운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변화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조직은 조직구성원들이 협력하며 조직학습을 습관화 해나갈 수 있도록 학습 지원 전략들을 구상하는 동시에, 국가의 교육정책 또한 교사들이 교육정책에 적응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적 여유와 다각적인 지원을 동반하는 방식으로 도입되어야 한다.;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implications of building schools as learning organizations by investigating what obstacles schools face when they try organization learning and examining how the obstacles influence the change of school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daptive learning process of schools when they cope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circumstance? Second, what are obstacles that schools faced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ird, how dose the school curriculum chan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daptive learning? Finally,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building schools as learning organization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Admissions Officer System(AOS) that was a big issue among high school teachers was regarded as the change of educational circumstance,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ases of eleven high schools preparing for AO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ried to prepare for AOS by adaptive learning at the school level. Regarding the change in college admissions system, AOS, the adaptive learning process had five stages as follows. At the first stage of ‘acquiring and interpreting informa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eacher as change agent and others: while change agent made an effort to collect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to benefit their students, others kept inert and cautious positions. At the second stage of ‘sharing knowledge’, the communication between change agent who obtained much information of AOS and others who did not was rarely interactive. Furthermore, they did no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share their information. At the third stage of ‘utilizing knowledge’, there were a few cases where teachers cooperated together as a team, but in many cases the teachers as change agent leaded others by asking for their cooperation. At the fourth stage, ‘reflection’, the change agents did not reflect deeply but defend themselves against others because they had performance pressure and pro-innovation bias. At the last stage, ‘storing knowledge’, teachers’ knowledge was stored as two types of hard and soft information. Second, schools faced many obstacles in the adaptive learning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educational change from outsides, AOS. (1) Inflexible mind: the teachers were not willing to adapt to AOS because of their conservative mind (2) Lack of principals’ support: when the principals did not support the adaptive learning, it was difficult to transfer individual learning to organizational learning (3) Lack of purposeful interaction: the teachers did not share their knowledge enough each other because there was only few opportunities of interaction about AOS (4) Overwork and lack of resource: the teachers had conflicts occasionally due to their overworks about AOS (5) Bureaucratic learning culture: the teachers were unwilling to admit that one particular teacher takes the remarkable role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6) Turnover of change agents: the efforts and knowledge of AOS were not stored but disconnected due to the turnover of change agen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daptive learning, the school developed new curricula for AOS, modified existing curricula, implemented authentically existing curricula that was not actually applied before, and recorded the curriculum outcomes reliably. However, in many cases, the degree of changes in modifying and developing curricular to prepare for AOS were reduced or accommodated shallowly to the conditions. Nowadays, the school curriculum has not been static but has continued to adapt to the change of circumstance dynamically. Therefore, the school teachers must have both the ability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hange capacity for the active and creative school curriculum. To develop the teachers' 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opportunities and various supports for organizational learning at the level of school and gover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