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혜선-
dc.contributor.author오송윤-
dc.creator오송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1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9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18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improved lecture content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would aid organizing basic clothing construction courses. Integrat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a series of surveys and experiments, an apparel sizing system and women’s basic pattern drafting method for university education were developed. In additi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relevant courses are also suggested. 1) Research on education conditions of basic clothing pattern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basic clothing construction education in Korea. The subjects wer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lothing constru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types of basic clothing that were most frequently dealt in class were: bodice, sleeve, and skirt. The type of measurements reported using for basic pattern drafting were ‘individual student's sizes’, ‘ready-made clothes sizing system’ ‘professor’s experiential sizes’ and ‘dress form sizes,’ in the order of frequency.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using ready-made clothes sizing system increased by 13.1% over 10 years ago. A total of 66% of survey respondents carried out muslin fitting, and many of which were done on individual student’s body. Most of the professo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need for continuous study and improvement on basic clothing patterns for education. 2) Development of apparel sizing system for education A body measurement size chart for university education was developed.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was to deliver basic concepts on the sizing system and size grading in apparel products that can be easily applied in actual lectures. The raw-data of body measurement on 975 women aged from 18 to 24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 Incorporating the results, the body measurement size chart that meets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for clothing size was established. After a field test and wearing evaluation, the modified chart includes standard, representative, and referential sizes for tops and bottoms each. Furthermore, the measurements for basic and referential body parts, grading rule values, and calculations are presented for each representative size. 3) Development of women’s basic pattern for education and field test Based on 9 referential patterns, a preliminary prototype was developed. Using this, the first wearing test was conducted with 13 women subjects who had 82.0 - 84.0 cm bust circumferences. The result was used to create the second prototype that was actually used in the field test. A field test was carried out on 48 subjects who wer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There were two conditions: 'the case of using ready-made clothes sizing system' and 'the case of using individual student's sizes.' The reliability of the students’ body measurement, size distribution of the student sample, degree of how much the students understood the class material and their opinions on the lectur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result of the second wearing test during the field test, the improvements on the basic pattern drafting method, apparel sizing system, and teaching methods were confirmed. The compatibility of the final basic pattern was verified through a wearing evaluation on the basic clothing developed in this study and a comparative basic clothing on four different sizes. 4) Suggestion on improved lecture contents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basic clothing construction education The scope of the material covered, major contents and aim of the education in each sub-topic, and teaching methods are discussed for basic clothing construction (flat patternmaking) courses in universities in Korea. Furthermore, the applications for actual lectures are suggested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basic pattern drafting method, and course curriculum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본 연구는 의복원형설계를 포함하는 의복구성 기초 교과목 강의구성에 있어 내실 있는 교육 콘텐츠와 효과적인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 대학 의복원형설계 교육실태 조사와 참고원형 설계법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험원형을 개발하고, Size Korea 2010 20대 전반 여성 직접측정치 원자료 분석을 통해 의류치수규격을 설정한 후에 이를 실제 강의에 적용하였다. 현작적용실험 결과에 따라 의류치수규격과 원형설계법이 수정·보안되었고, 착의평가를 통하여 최종 연구원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총체적인 조사내용과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대학교육용 의류치수규격과 여성복원형설계법을 개발하고 의복원형설계 교육에 있어서의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1. 의복원형설계 교육실태 조사 국내 대학 의복구성담당 교수자를 대상으로 의복원형설계 교육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해당 강의에서 주교재로 한 가지 서적을 지정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53.0%로 여성복구성, 의복의 입체구성, 어패럴메이킹 등의 교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수업에 참고하는 원형 제도법은 문화식, 이형숙식, 임원자식, ESMOD식, FIT식 등이 많았다. 수업에 포함된 원형의 종류는 바디스원형, 슬리브원형, 스커트원형을 다루는 비율이 높았고, 의복원형 제도 시 사용하는 치수는 학생개인치수 62.0%, 기성복치수규격 28.0%, 교수자 개인경험치수 5.0%, 인대치수 3.0% 순으로 사용비율이 높았으며, 기성복치수규격을 사용하는 비율이 10여 년 전 조사에 비해 13.1% 증가하였다. 원형가봉 비율은 66.0%로, 가봉 대상은 학생개인의 신체가 77.3%로 가장 많았다. 교육용 의복원형의 연구·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로 응답한 비율이 89.9%에 달하여, 교수자들 대부분이 교육용 원형의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2. 대학교육용 의류치수규격 설정 의복원형설계와 병행하여 의류제품의 치수체계 및 그레이딩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전달하면서도 실제 강의에서 적용이 용이한 대학교육용 의류치수규격을 제안하였다. Size Korea 2010 직접측정치 중 만18~24세 여자 975명의 원자료를 분석하여 대상 집단의 신체특성을 살핀 후, 국가규격(KS K 0051, 2009) 호칭시스템에 준하면서도 집단의 신체특성을 반영하는 치수규격을 설정하였다. 현장적용실험과 착의평가를 거쳐 보완, 검증된 최종 치수규격은 하의용 대표호칭 7개, 참고호칭 29개로 기준호칭은 ‘67-91’이고, 7개 대표호칭에 대한 3개 기본부위 치수 및 3개 참고부위치수를 제시하였다. 상의용은 대표호칭 8개, 참고호칭 31개로 기준호칭은 ‘85-91-160’이며, 8개 대표호칭에 대한 4개 기본부위 치수 및 11개 참고부위치수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호칭 증감에 따른 각 항목별 편차와 장촌식 원형제도를 위한 계산식을 제시하였다. 3. 대학교육용 여성복원형 개발 및 검증 의복원형설계 교육실태 조사결과에 따라 선정된 9개 참고원형을 토대로 초기실험원형을 개발하였다. 1차 착의실험은 젖가슴둘레가 대상 집단 평균치와 가까운 82.0~84.0cm 구간에 속하는 13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에 따라 제도식을 수정하고 치수규격 적용이 가능하도록 보완하여 2차 실험원형 제도법을 설계한 후 실제 강의에 적용하였다. 현장적용실험은 임의의 표집에 의해 구성된 48명의 의류학 전공 피험자를 대상으로 ‘기성복치수규격 적용집단’과 ‘학생개별치수 사용집단’으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학생측정치와 전문가측정치 18개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 목밑둘레, 앞중심길이, 엉덩이옆길이의 3개 항목은 실측치 대입에 있어 상당한 주의가 필요한 항목으로, 젖가슴둘레, 어깨가쪽사이길이, 목옆젖꼭지길이는 상대적으로 학생측정치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48명 피험자 집단의 전체적인 호칭분포는 Size Korea 2010 975명으로 분석한 호칭분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넓게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 과제물에 대한 단계적이고 엄격한 기준의 검사를 실시하여 피험자들이 스커트, 바디스, 슬리브 원형패턴을 제도하고 완성하는 과정에 있어 어떠한 부분에서 오류를 범하기 쉬운지 살펴본 후, 피험자 전원을 대상으로 2차 실험원형에 대한 착의실험을 실시하였다. 2차 착의실험 결과 30개 평가항목 중에서 집단 간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인 3개 항목 모두에서 치수규격 적용집단이 개인치수 사용집단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학생의견에서 화운데이션드레스 피팅 내용을 제외한 나머지 8개 수업내용에 대해서 치수규격 집단이 학생개인치수 집단 보다 더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집단 간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인 수업내용은 원형패턴 제도 부분이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설계한 원형을 활용하여 자신이 직접 입을 수 있는 의복을 제작하기를 원하였는데, 자신이 원하는 실습 사이즈의 사용은 학생들의 수업 흥미도를 높이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장적용실험을 통해 학생측정치 신뢰도 및 수강생 표본의 호칭분포, 수업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착장평가결과 및 학생들의 의견을 파악하였고, 현장적용실험결과 2차 실험원형 설계식과 치수규격에서 보완할 점과 교수법에 대한 개선점을 확인하였다. 현장적용실험 결과에 따라 수정된 최종 연구원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하여 젖가슴둘레 79, 85, 91, 97호칭 구간의 4개 사이즈에 대한 연구원형과 비교원형의 착의평가가 이루어졌고, 피험자평가 및 전문가집단 평가를 통하여 최종 연구원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4. 여성복원형설계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에 대한 제안 앞서 실시된 다방면의 조사 및 실험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대학 의류패션계열학과에서 평면제도방식의 의복원형설계 교육을 실시할 경우, 그 교육 내용의 범위를 설정하고 각 소주제별 교육목표와 핵심내용 그리고 교육방식을 제안하였다. 의복원형설계와 관련된 교육내용 중 본 연구 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여성복원형설계를 위한 대학교육용 치수규격과 스커트, 바디스, 슬리브의 원형패턴 제도법 및 원형패턴의 완성 기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더불어 이를 실제 강의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교수법에 대해 논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의 목적 및 내용 2 C.연구의 범위 3 II.이론적배경 5 A.의복원형 개요 5 A.의복원형제작을 위한 인체측정과 패턴설계 10 B.의복구성 교육의 현황 38 III.연구방법 및 절차 50 A.의복원형설계 교육실태 조사 52 B.여성복원형 설계법 조사 55 C.대학교육용 의류치수규격 설정 58 D.대학교육용 원형 설계 및 현장적용실험 62 E.최종 연구원형 착의평가 75 IV.연구결과 및 고찰 80 A.의복원형설계 교육실태 조사결과 80 1.조사대상자의 특성 80 2.조사대상 강의의 일반적 특성 81 3.원형설계방식에 대한 사항 86 4.원형가봉 및 맞음새에 관한 사항 90 5.수업에 사용하는 원형에 대한 만족도 96 B.여성복원형 설계법 조사결과 97 1.원형제도에 필요한 치수 비교분석 97 2.원형설계법 비교분석 102 C.대학교육용 의류치수규격 설정 111 1.대상 집단의 일반적인 신체특성 112 2.여성복원형설계를 위한 치수규격 설정 121 D.대학교육용 원형 개발 및 현장적용실험 결과 140 1.1차 실험원형 개발 및 착의실험 140 2.2차 실험원형 현장적용실험 145 E.최종 연구원형 착의평가 결과 171 1.피험자 착의평가 결과 171 2.전문가 착의평가 결과 173 F.여성복원형설계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에 대한 제안 180 1.교육내용에 대한 제안 180 2.교육방법에 대한 제안 216 V.결론 및 제언 233 A.결론 233 B.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237 참고문헌 239 부록 245 Abstract 2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363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교육용 여성복원형 개발 및 교수법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men's Basic Clothing Pattern for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dc.creator.othernameOh, Song Yun-
dc.format.pagexi, 26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