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순영-
dc.creator조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7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8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701-
dc.description.abstractEven if there are various site of work of art internally and externally, Each design of these sites have been produced to different styles. However, differently from these, in the case of the other shopping mall site, communities, portal sites etc. there are practical design indexes through the diverse experimental researches. but in the art- related sites there are few experimental researches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hat researcher who discovered this problems plan the indexes on sites where distribution of filed of art is made, then lessen the effort of designers who practically in charge, present the methods to design the website which meet the purpose of the site. According as on-line E-commerce grows and diverse products are distributed, as for constituting the sales picture, this study was planned to present the proper design of site which reflect preference of users then improve usefulness on the base of possibility of distribution of work of art.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surveyed evaluation methods of user- centered website, examined design factors which was concentrated on study of planning existing website. And this study was planned to understand the design factors used on existing website of work of art then to use these factors as experimental variables of experimental sites. As for the 12 experimental site which is constituted with this method, users were requested to evaluate directly through the on-line survey questi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examined preceding internal and external studies on website design and site of art work, classified internal and external sites of art work into design factors and then derived important factors to design imaginary site. Particularly,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of the factors from many different angles emphasizing three aspects -presentation method of works, presentation of explanation, decoration factor-, focused on designing web page of critical time when the purchasing is occurred among the various factors on explained designs to enhance accuracy of experimental study. To search the sites scoring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after making users evaluate these presented sites of work of art on extent of satisfaction, convenience, intention to purchasing etc. by the internet survey is the goal of this study. Finally, the researcher showed standard (Prototype) model of site of work of art which can enlarge user's satisfaction and conveniences on the basis of collected results. these presented forms will need to be verified through other study after whether it had effects or not actually.;국내외적으로 다양한 미술품사이트들이 있지만, 이러한 사이트들의 디자인들은 각기 다른 모양새로 제작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달리, 다른 쇼핑몰이나, 커뮤니티, 포탈 등과 같은 사이트 디자인에 관련한 설계는 다양한 실험연구 등을 통해 디자인 실무지침 등을 마련해 왔으나, 미술분야의 사이트에 대해서는 국내외적으로 이러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러한 점을 발견하고, 미술분야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사이트의 설계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여 실제 디자인을 담당하는 실무 디자이너들의 노력을 줄이고, 사이트의 목적에 맞는 웹사이트 디자인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논문은 미술품 쇼핑사이트의 구매시점의 화면설계를 하는데 있어서, 다른일반 쇼핑 몰과는 차별되고, 사용자들이 편하고, 만족스러운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사이트를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국내외의 웹사이트 디자인과 미술품 사이트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현재 운영중인 국내외의 미술품사이트들을 디자인요소별로 정리하여 가상의 사이트 설계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파악하기 위해 미술품 구매시점의 사이트 디자인에 포함되는 작품설명,제시방법,시각적요소의 3가지로 구성한 가상의 12가지 사이트를 대상으로 사용자들의 의견을 파악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사이트는 인터넷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들이 제시된 미술품 사이트에 대한 만족정도, 편이성 정도, 구매의향 정도 등 사용자들의 사용을 높일 수 있는 요소들에 따라 평가하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12가지 실험사이트에 대한 평가결과에서는 가장 낮은 평가를 얻은 실험사이트는 작품을 제시하는 방식의 다면적인 형태(Multi- Zoom)로 그림을 분해하여 표시한 것과, 해당 작품에 대한 설명이 간단한 경우(Simple)에 해당되었다. 이에 비해 높은 평가를 얻은 실험사이트의 구성특징을 보면, 아이콘(Icon)과 액자 틀(Frame)을 사용하여 시각적인 면을 강조하고, 작품의 제시는 일반적인 그림과 함께 확대보기(Zoom)를 제시하고, 자세한 설명(Detail)을 포함한 형태로 나타났다. 한편, 미술품 판매사이트에 대한 기타 의견으로, 작품의 신뢰성 확인과 가격보다는 작품감상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실험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페이지구성에 포함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작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제품을 상세히 볼 수 있는 장치(확대보기)를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또한 일반 제품이 아닌 미술품이기 때문에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한 디자인이 되어야 하고, 판매하는 제품이 진품인지 모조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인증이 포함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인데, 특히 미술품은 고가의 제품이 많으므로, 이러한 부분이 보다 강조되어져야 한다. 둘째,액자 틀을 사용하거나, 또는 아이콘을 통해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하는데, 액자 틀을 활용하는데 있어서는 이를 포함한 가격인지 또는 실제 액자 틀인지를 확인시켜주어야 한다. 셋째,일반적인 쇼핑 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판매원 관련정보, 장바구니 기능, 배송방법, 결재방법, 환불/교환 등의 방법을 자세히 제공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가장 만족도와 편이성이 높았던 사이트로 도출된 사이트는 향후, 미술품 쇼핑 사이트를 설계하는데 있어, 반듯이 포함되거나 또는 기준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연구자는 종합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만족과 편이를 증대시킬 수 있는 미술품 사이트의 표준(Prototype)모형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본문구성 = 2 II. 웹사이트 개발에 대한 이론적 배경 = 4 A. 인터넷의 성장과 웹 사이트 = 4 1. 웹사이트 증가와 개발 = 4 2. 예술과 공학의 문제 = 6 B. 웹에서의 유용성의 의미 = 7 1. 기능성과 유용성 = 8 2. 웹에서의 유용성의 의미 = 9 C. 웹사이트 개발을 위한 접근 방법 = 10 1. 휴리스틱 평가(Heuristic Evaluation) = 11 2. 실험실 평가방법(User Testing) = 14 3.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 = 17 4. 웹사이트 평가 방법의 선정 = 19 III. 미술품 사이트 개발을 위한 디자인 요인의 도출 = 22 A. 미술품 유통시장의 변화 = 22 1.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의 변화 = 22 2. 인터넷을 통한 미술품 유통 = 23 B. 미술품 쇼핑 사이트 디자인 요인의 도출 = 26 1. 웹사이트 디자인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 26 2. 주요 실험 디자인 요인에 대한 고찰 = 28 가. 작품 이미지 제시 방법 = 28 나. 시각적인 요소와 은유 = 30 다. 레이아웃과 작품설명 = 33 IV. 실증 분석 = 36 A. 실험 설계 방법 = 36 1. 실험 설계 및 평가사이트의 개발 = 36 2. 웹 설문지의 설계 = 43 3. 웹 설문지의 구성 = 44 B. 응답자 인구분포 = 44 1. 응답자 인구특성 분포 = 45 C. 웹사이트 디자인에 관한 분석 = 46 1. 미술품 쇼핑사이트 이용현황 = 46 2. 웹사이트 디자인에 관한 선호도 = 49 D. 실험 사이트 디자인에 대한 평가 = 51 1. 실험사이트 디자인 평가 = 51 2. 결과의 해석 = 57 3. 미술품 쇼핑 웹사이트의 설계제안 = 60 V. 결론 = 62 A. 실험결과 요약 = 62 B.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방향 = 64 참고문헌 = 66 Abstract = 70 부록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35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c.title미술품 쇼핑사이트에서 효과적인 정보제시방법-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v,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보과학대학원 멀티미디어학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멀티미디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