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충래-
dc.contributor.author김사라-
dc.creator김사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3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6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8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690-
dc.description.abstract우리 나라 청소년의 음주율 및 음주문제는 다른 나라에 비해 심각한 반면, 이들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청소년의 음주율 및 문제예방을 목적으로 청소년 음주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산발적으로 시도해 왔으나, 이들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형편이다. 그러나 청소년기의 음주율과 음주문제는 성인기의 음주행동을 예측 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음주예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청소년기는 변화가 빠르고 연령에 따라 다양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특성을 나타내는 시기이므로 각 연령별로 음주예방 프로그램의 내용이 구체적이고 적합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최초 음주 경험시기가 고등학교 입학전(67%)임을 감안하여, 중학교 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주실태를 조사한 후 그들을 대상으로 음주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프로그램이 갖는 효과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W시에 위치한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의 40명, 3학년 4개 학급의 120명(총 중학교 2, 3학년 청소년 160명)과 서울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의 160명 총 320명이다. 이 중 표본수가 적은 2학년 40명과 무성의하게 응답한 질문지, 그리고 사후 검사가 실시되지 않은 응답자의 질문지를 제외한 총 25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χ²), 평균비교(independent-sample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주예방교육이 청소년의 음주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음주예방교육을 실시하기 전에는 음주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 검사에서는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방법의 특성에 따른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의 효과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주예방교육을 하기 전에는 비디오 집단, 비디오와 강의를 병행한 집단, 강의집단 그리고 통제집단 모두 음주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음주예방교육을 한 후 사후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비디오 집단, 비디오와 강의를 병행한 집단, 강의집단의 점수는 모두 상승한데 반해 통제집단의 점수는 그렇지 않아 프로그램별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통제집단을 제외한 세 가지 방법 모두 효과성이 입증되었고, 강의와 비디오를 병행한 프로그램이 수치상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나, 어떠한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인지는 통계적으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음주예방교육 후 성별에 따른 효과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주 예방교육을 실시하기 전에는 성별에 따른 음주 지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음주 예방교육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음주 지식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음주 지식과는 달린 사전 사후 의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인식 및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성별에 따른 음주 지식은 차이가 있었으나 인식 및 태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음주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향상이 언제나 인식 및 태도의 향상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과학적 지식의 향상과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지역에 따른 음주예방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주예방교육을 실시하기전의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를 살펴보면, 사전에는 지역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예방교육을 실시한 후 사후조사 결과 W시와 서울간에는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음주 예방교육 후 지역간에는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한 청소년 음주예방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에게 적합한 형태로 음주예방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도 보여지듯이 성별, 알코올 의존도 유무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달라졌다. 즉,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교육 후 음주 지식이 높게 향상되었고, 알코올에 의존하고 있는 청소년에 비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이 좀 더 높은 폭으로 음주 지식이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성별과 알코올 의존유무에 따른 음주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방프로그램의 지속기간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일회성 프로그램이 아닌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음주예방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1회성 프로그램으로 음주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집중적으로 교육하여, 음주에 대한 과학적 지식, 인식 및 태도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음주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향상이 곧 행동의 변화를 의미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시청각 교재를 활용한 음주예방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위의 결과에서도 보여지듯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각각의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평균적으로 음주에 대한 과학적 지식에 있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집단은 강의와 비디오를 병행한 집단이었다. 그러므로 다양한 시청각 교재를 활용한 음주예방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 is a trend that the starting age of alcohol use in students is younger and the numbers are more increasing, especially in middle school period. Thu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given by researcher to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im of investigation their knowledge of alcohol, recognition and attitude to alcohol. The subjects were 255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2th to May 22, 2001. The questionnaire of pre-test was composed of the knowledge, recognition and attitude to Alcohol, and then one sessions of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were given to the students. The groups to be studied were including video group, lectures group, video and lectures group, and control group. A post-test which was as same as the pre-test questionnaire was given on two-weeks after the education was complete.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ere the knowledge scale and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scale on alcohol prevention by BACCHUS(Boosting Alcohol Consciousness Concerning the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KODCAR(Korea Drinking Culture and Alcohol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general, the scores on knowledge, recognition and attitude to alcohol might be higher after receiving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And experimentation group's scores on knowledg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alcohol would be higher after receiving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On the contrary, that of control group was not changed. 2. Scores of video group, lectures group, video and lectures group were increased on knowledge, recognition and attitude to alcohol. Video and lectures group is highest in scores but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ose groups. 3. There is no sex distinction between male a female; The scores on knowledge of alcohol is higher in female after prevention education, but scores on recognition and attitude of alcohol were not changed in both groups even if receiving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4. All scores of Seoul is higher than that of W city,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ose groups after receiving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In conclusion, alcohol prevention education might be an useful tool to prevent alcohol use for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청소년 음주예방 교육 = 4 1. 청소년 음주예방의 개념 = 4 2. 음주예방교육의 접근법 = 5 B. 청소년 음주예방 이론 = 9 1. NIDA 모델과 NIAAA 모델 = 9 2. 또래집단 이론 = 10 3. 음주행위 관련 이론 = 13 4. 음주예방교육 프로그램 = 16 III. 연구방법과 설계 = 22 A. 연구설계 = 22 B. 연구대상 및 표집 = 22 C. 연구 방법 = 23 D. 연구도구 및 연구절차 = 23 1. 연구도구 및 내용 = 23 2. 연구 절차 = 24 E.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25 IV. 연구결과 분석 = 26 A. 청소년 음주실태 현황 = 26 1. 인구학적 특성 = 26 2. 음주실태 = 27 3. 음주예방교육 = 37 B. 음주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결과 분석 = 43 1.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점수 분포도 = 43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 비교 = 45 3. 교육방법의 특성에 따른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 비교 = 48 4. 성별·지역에 따른 음주 지식, 인식 및 태도 비교 = 51 5. Post-Hoc Analysis = 54 V. 결론 및 제언 = 57 A. 결론 = 57 B. 제언 = 61 참고문헌 = 65 [부록 - I] 사전 설문지 = 73 [부록 - II] 사후 설문지 = 81 영문초록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75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청소년 음주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W시와 서울시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