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5 Download: 0

비정규근로자와 정규근로자의 노동현황에 관한 비교 연구

Title
비정규근로자와 정규근로자의 노동현황에 관한 비교 연구
Authors
정현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철희
Abstract
The labor policy for welfare of workers is more important to irregular workers because the ratio of irregular workers in labor market of Korea is over 50 percent, and they are usually working in poorer labor situation than regular work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ctual labor situation such as occupational category, working hours, terms of a labor contract, labor form, and whether or not owed by social insurance and the particulars about job life such as employment situation, and to present the basis of the political alternative plan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situations in point of view of social welfare. Consequently this research started in the purpose to search the intervention plan in a viewpoint of social welfare for betterment of irregular workers' working situation by compare employment status and labor surrounding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First of all, I studied the established research papers and literature in economic, labor, and academic circles about the actual state for use of irregular labor. And after I raised some point at issue based on research about actual state of irregular workers that Korea Labor Research Institute made, I made efforts to grope a remedy of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reform measure of system supplementa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related law in force for betterment of life quality. The summary of result is following About general situation of object, they are usually work in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and in classification by industry, the tertiary industry has highest ratio. And that means the growth of tertiary industry required much irregular labor that do not have special skill and technique. The case that the term of irregular job is shorter than 6 month has high ratio, and it is concluded that this is caused by frequent change of occupation and short-term contract. In the distinction of sex, the ratio of female i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male. In the degree of education, the ratio of university graduates shows higher. By an age group, irregular workers have concentration in their thirtieth and fortieth as well as their twentieth. Needs of enterprise such as structural reform and business rationalization make them irregular labor.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many workers work simple job. So this mean that the interruption of career by frequent change of occupation make them lose an opportunity of having clerical work About labor system and social welfare, regular workers have high ratio of taking major social insurance but few irregular workers take social insurance, so it shows that they are in bad situation from the point of a welfare program. About the term of labor contract, 62.3% of irregular workers have the term of labor contract for a definite period, and it is concluded that many corporations intend to solve costs problem occurred by the seniority and life employ system with this. About formality of labor contract, more irregular workers agree on a contract in imperfect form(by a verbal contract) than regular workers. About working situation, irregular workers work 27 days and regular workers work 26 in average, so irregular workers work more day. In addition, about the mean work time, irregular workers works more. Regular workers work 53 hours a week, on the other hand, irregular workers works 61 hours a week. It is over legal work time in force. It is found that irregular workers work more regardless the category of industry. About comparison of average income by wages system, although the relative amount of an annual salary or hourly wages is larger than that of regular labor, it is concluded that the absolute amount is smaller because of incompleteness of employment. In the mean time, in the result about difference of labor system and job satisfaction, the feeling of satisfaction for working situation of irregular workers is slightly lower. Irregular workers thought that they had a high standard of education and skill considering the degree that their job needed. So it is showed that irregular workers have a lot of desire for increase of wages and more often change of occupation that regular workers. Also 29.6% of irregular workers answered that they are obliged to work irregular labor because they cannot look for full-time job. This shows the contrary realities to the insistence of the company side such as 'Kyeong Chong'. The strategy of using irregular labor based on The Flexibility Theory in the companies may make the labor market dual structure, finally increase income differential and eternize underemployment. The difference showed above between regular workers and irregular workers suggests the New Liberalism that emphasis flexibility, efficiency and acceleration of employment actually induce mass dismissal, decrease of real wages, reduction of welfare and so on.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increase of irregular labor just bring about dual structure of labor.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agement that use irregular labor, it has been insisted that irregular labor have to be activated for flexibility of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it is rightful for irregular workers to want to work and be treated in same situation as regular workers. For the line of policy for irregular labor is no other than realization fair labor welfare. The following is a few suggestion about the line of policy to be improved for irregular worke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got by comparison of labor situation between regular workers and irregular workers. 1. Firming up protection of labor situation For irregular workers, firming up protection of labor situation is the most urgent necessity and two programs of practice can be presented. They are realization of equal treatment rule and compulsory written contract of labor. 1) Realization of equal treatment rule Judging form the synthetic facts about wages, it is concluded that irregular workers are generally underpaid in connection with their degree of labor than regular workers, regardless of the type of business. It is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Same work, Same pay'. So a standard have to be made. If the job counselors, in Employment stability center, subsidiary administrative organ of Ministry of Labor, take care of career of workers by using network of employment insurance that shows the employment career of workers, it can be realized that the career of irregular workers is proved objectively and the principle of 'Same work, Same pay' is executed. 2) Compulsory written contract of labor To draw up the contract of labor is needed for administrative control. The clear statement about labor situation make the contract not deviate from common sense, and it can be the grounds to use to refuse orders that infringe the contract. So compulsory written contract of labor is needed when they conclude a fixed-term labor contract to guarantee the minimum labor situation. Public information like distribution of the standard labor contract and promotion campaign can be presented for it. 2. Active employment recommendation by network of public employment stability Now, about 120 Employment Stability Center of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agency of a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result, the major cause of irregular labor is the impossibility of taking full-time job. So strengthening specialty of counselors and efficient using Work-net that The Central Employment Intelligence Agent manage and Employment Stability Center use, can prevent the number of irregular workers increase. 3. To intensify the social security The basic purpose of the social insurance is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security of living in time of emergency not like individual insurance and pension. So to make away with irregular workers in it for the reason of cost deviates from impartiality. It is rightful to vest irregular workers with each kind of social security by reflection of work days, hours, and pay. In addition, programs for human resources is needed to prevent a chain reaction of being irregular. 4. New recognition and regularizing irregular workers The increase of irregular labor decreases stability of regular employment and makes wages and labor situation of them race to bottom for the reason of the possibility to be replaced by irregular labor. If part-time workers want full-time job, they have to given priority in an opportunity of application, that is, "priority employment mutuality conversion system" is needed. But, most of all, the recognition of corporation, that loyalty of workers and contribution by long service in regular labor have an big influence on prosperity of business, is very important. 5. Statistics improvement and periodic a fact-finding survey Grasping about the situation of irregular workers is very important to correspond politically well. So this research made good use of the sample survey that Korea Labor Research Institute made directly for grasping the actual situation to the exclusion of existing statistical research form. If the articles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labor are inserted in economic census, and the third representative interested institutions participate in making out the data, the statistical date can win public confidence more. 6. Requirement of a negotiation body When the wages of regular workers increase by collective bargaining, it is not or partially applied in most irregular workers. And the wages of regular workers increase every year, on the other hand, the occasion of irregular workers are same degree during a long term. At this case, a negotiation body may be useful. A place for mutual communication such as talkfest and distress management committee must be established permanently to speak for irregular workers.;우리 나라 노동시장에서 비정규직 노동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과반수를 넘고 있고, 이들은 대체로 정규직 노동자들에 비하여 열악한 노동조건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복지를 위한 노동정책은 정규직에서보다 비정규직 근로자들에게 더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규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종, 근무시간, 근로계약 방식, 근로형태, 사회보험혜택 여부 등 전반적인 근로실태와 고용상태 등 직장생활과 관련된 사항 등을 알아보고, 정규근로자와의 비교를 통해 이들의 근로여건 및 처우 개선을 위한 사회복지차원에서 정책적 대안의 근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규근로자와 비정규근로자간의 고용상태나 근로조건 등 근로상태의 비교를 통하여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비정규근로의 활용실태를 기존의 연구문헌들과 경제계 및 노동계와 학계의 연구보고서 등 문헌자료를 살펴보고,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비정규근로자의 실태에 관한 조사를 바탕으로 그 문제점을 살펴본 후, 현행 관련법 아래서 관리·운영상의 개선안과 제도보완상의 개선 안을 모색하여 비정규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노력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에 있어서 업체규모로는 두 근로형태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근로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업종별 분포는 기타서비스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3차 서비스의 발달로 특별한 숙련이나 기술 없이도 손쉽게 업무수행이 가능한 주변적 업무의 성격으로 인하여 비정규 노동력의 이용이 많아진다는 것이 의미한다. 또한, 비정규직의 고용기간이 6개월미만인 경우가 높은 비율을 보여 잦은 이직과 단기 계약적 성격으로 인한 것으로 추론 할 수 있다. 근로형태와 인구학적인 특성으로는 성별의 경우, 여자의 비율이 약 2배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정도에 있어서는 대졸 이상의 고학력이 비정규근로자가 더 많았다. 연령별 비율은 비정규근로자는 20대 이외에도 30대와 40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별이나 교육정도, 연령이 구조조정과 경영합리화, 노동시장 유연화 등의 기업 요구에 따라 비정규근로자로 흡수되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직종은 비정규직이 단순노무인 경우가 많았고, 사무종사자의 경우 그 차이가 큰데, 이는 비정규근로자의 잦은 이직으로 인한 경력 단절이 곧 사무직에 대한 취업기회의 상실을 의미한다. 근로형태와 사회적 보호 관련사항으로, 정규직은 4대 사회보험 모두 높은 가입비율을 보이고 있었으나 비정규직의 경우는 저조한 가입율을 보여, 비정규직 근로자가 사회보험에 배제되어 복리후생이 열악한 사각지대에 처해 있음을 반영한다. 그리고 근로계약기간의 유무에 있어서, 비정규근로자의 62.3%가 근로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이 연공적 임금체계, 종신고용 등에 따른 비용 문제를 비정규 유기근로계약을 통해서 해결하려 했음을 추론할 수 있고, 근로계약 방식에 있어서는 비정규직의 경우 정식 서류에 의한 계약보다는 불완전한 형태(구두로 근로계약)로 근로계약을 맺는 경우가 정규직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근로형태와 근로상황 비교로 평균 근로일수가 정규직은 평균 약26일, 비정규직은 평균 약27일로 정규직에 비해 약1일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평균근로시간 역시 비정규직이 약61시간, 정규직이 53시간 근로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행 법정 근로시간인 44시간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비정규직이 정규직에 비해 업종을 불문하고 상대적으로 근로일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형태별 평균 소득을 비교해 보면, 정규근로자에 비해 연봉제와 시간급제 임금형태에서 상대적 급여액은 높을지라도 근로형태 자체가 불완전한 상황이기 때문에 절대적인 급여액에서는 매우 취약한 구조에 놓여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한편, 근로형태와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정규직이 근로조건에 대한 만족도가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평가 비교에서 비정규직은 필요한 교육수준보다 자신의 교육수준이 더 높은 편이라고 응답하였고, 기능수준에 있어서도, 자신의 가치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비정규근로자가 임금상승 기대에 대한 근로의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직횟수가 늘어날수록 정규근로자보다는 비정규근로자의 비중이 컸다. 또한 비정규근로자의 29.6%가 전일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마지못해 하는 경우로 응답하여 경총을 비롯한 기업측의 주장과 상반된 실태를 반영하고 있으며, 결국은 유연화 이론에 따른 기업의 비정규 고용형태 전략은 노동시장을 이중 구조화하여 소득분배를 악화시키고 비정규 근로자의 빈곤과 고용불안정을 영속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는 결론을 유추할 수 있다. 이렇게 살펴본 정규근로자와 비정규근로자의 비교실태는 노동의 탄력성과 효율성, 고용창출의 기능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가 현실적으로는 대량해고, 실질임금의 감소, 복지 축소 등을 유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고용창출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노동 유연화 정책을 통해 저임금의 비정규 고용을 확대시키고 있을 뿐이다. 결국 비정규직의 확대는 노동의 주변화, 이중구조화를 초래하고 있음을 추론 할 수 있다. 비정규근로를 사용하는 경영계측의 입장에서는 고용의 유연화를 위하여 비정규근로를 활성화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겠지만, 차별과 고용불안을 안고 있는 비정규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정규근로자와 동등하게 대우받고 동등한 조건 속에서 근로하기를 바라는 것은 당연하다. 비정규근로를 위한 정책방향은 곧 정당한 근로복지의 실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규근로자와 비정규근로자와의 근로상태 비교를 통하여 얻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정규근로자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정책적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근로조건 보호 강화 비정규근로자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근로조건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 실천방안으로는 두가지를 제시할 수 있는데, 균등 대우 원칙의 실질화와 서면근로계약의 의무화가 그것이다. 1) 균등 대우 원칙의 실질화 임금관련 사항들을 종합해 볼 때 비정규근로자는 이들이 제공하는 노동에 대한 보상과 관련하여 정규근로자에 비해 업종이나 직종, 연령을 불문하고 전반적으로 불리한 대우를 받고 있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것은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에서 벗어나는 상황이다. 따라서 근로에는 정규근로자와 비정규근로자에게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근로자의 고용이력을 알 수 있는 고용보험의 전산망을 이용하여 노동부 행정기관인 고용안정센터에서 직업상담원의 지도 아래 근로자의 경력을 관리하는 기능을 실시한다면, 비정규근로자의 경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게되어 『동일노동, 동일임금』원칙이 실현되는데 발판이 될 것이다. 2) 서면근로계약의 의무화 근로계약서의 작성은 행정적인 규제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서면으로 명확하게 근로조건을 명시함으로써, 한편으로는 계약내용이 일반적인 사회적 통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게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계약 내용을 위반하는 근로지시를 거부할 수 있는 근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최저근로조건을 보장하고, 근로기준법 상의 근로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기근로계약 체결 시 근로계약을 서면으로 작성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표준근로계약서를 배포하는 등의 홍보 작업과 서면근로계약을 촉진하는 캠페인 등을 개최하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공공직업안정망에 의한 취업알선 기능의 활성화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전국 120여개의 노동부고용안정센터와 시·군·구의 취업정보실에서 취업알선의 기능을 하고있다. 결과에서 보면 비정규 파트타임을 하는 이유로, 전일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마지못해 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므로 직업상담원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 중앙고용정보원에서 운영하고 고용안정센터에서 이용하고 있는 고용안정정보망(work-net)을 보완·이용하여 취업알선의 기능을 더욱 확충하게되면, 비정규근로자의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사회보장의 강화로 사회안전망 확충 사회보험은 일반 사적보험이나 개인연금과는 달리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유사시에 근로자의 생계를 보장하는 것이 그 본래의 목적이다. 따라서 비용부담이나 행정적인 자격절차의 문제로 비정규근로자를 적용범위에서 배제한다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 따라서 비정규근로자에게도 각종 사회보장 혜택을 부여하여야 함은 당연하고, 근로일수·근로시간 수·수입 등을 반영하여 비정규근로자도 사회보장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잦은 이직과 쇠사슬근로계약(Kettenarbeitsvertrag)으로 인한 연쇄적 비정규직화를 예방하기 위한 사회적 안전망을 확충하기 위해 능력개발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넷째, 새로운 인식과 비정규근로자의 정규화 비정규 고용의 확산되면 정규고용의 안정성조차 확보할 수 없고 오히려 비정규근로자들의 대체가능성으로 인해 임금 및 근로조건이 하향경쟁(race to bottom)을 하게 된다. 따라서 비정규근로자의 문제는 곧, 자신의 문제이기도 한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고용하고 있는 임시직근로자중 동종의 전일제근로자로의 전환을 원할 경우 응모기회를 우선 부여하여 비정규직의 정규화를 도모화 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 즉,『우선 채용 상호전환제도』를 두어야 한다. 가령, 현재 고용하고 있는 시간제근로자중 동종의 전일제근로자로의 전환을 원할 경우 응모기회를 우선 부여하는 방안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주요한 것은 동일한 근로자를 동일한 업무에 수년간 사용해야 할 일이라면 처음부터 정규직으로 채용하여 근로자의 충성심과 장기근속으로 인한 기여도가 기업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기업의 인식이 필요하다. 다섯째, 비정규 고용관련 통계 정비 및 정기적인 실태조사 비정규직 고용에 대한 정책적인 대응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이 비정규근로자의 실태에 대한 명확한 파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접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통계조사 방식에서 탈피하여 직접적인 조사를 수행한 한국노동연구원의 표본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현재 비정규근로와 관련되어 많이 이용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 정규-비정규직을 더욱 구체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문항을 삽입하여 임시 및 일용근로자의 추이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대표성을 띄는 제3의 관련기관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통해 자료를 작성한다면 통계자료의 신뢰성은 높아질 것이고, 이에 근거한 합리적인 대안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여섯째, 대변할 단체의 필요 정규근로자의 경우, 노동조합이 단체협약을 맺어 정규근로자들의 임금이 인상되어도 임시·일용직에게는 적용되지 않거나, 적용되어도 부분적으로만 적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정규근로자는 임금인상이 매년 이루어지는 반면, 비정규근로자들은 몇 년째 임금이 묶여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대변할 수 있는 단체가 있다면 비정규근로자의 상황이 오늘과 같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것은 상호 이해 충돌을 조절하는 문제로, 간담회, 고충처리위원회 등의 기회를 양성화하여 비정규근로자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