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정-
dc.creator박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6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8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6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도심지 수변의 보행자 가로 공간 활성화의 필요성을 보여주기 위한 환경 디자인 모형사례 연구이다. 인간에게 있어 물과 보행은 가장 원초적인 인간 환경과 행위인데 현대사회가 도시화되어 가면서 인구 과밀화와 교통혼잡, 환경오염, 도심지 공간 확보를 위한 하천의 복개와 보행공간의 침해 등으로 가장 기본적인 인간형태의 지원성이 위협받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도시환경에서 버려진 땅으로 인식되어진 하천변 공간을 도심 속의 중요한 오픈 스페이스로서의 기능을 부여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서 현대 도시민에게 필요한 다양하고 활력있는 공간으로의 변모 가능성을 제시하여 새로운 유형의 보행자 가로 공간 개발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인간의 기본적 가치와 자연적 가치를 회복하고 인간이 자연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자연의 생태적인 면을 고려하는 개발과정을 거치는 자세를 지킬 때 오히려 인간에게 이로운 긍적적인 환경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례를 보여주는 데 연구 의의를 두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방법에 대해 언급한다. 2장에서는 도시 공간에서 수변의 의미를 살펴보고 수변 보행공간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수변 보행공간 개발로 인해 얻게 되는 이점에 대해 언급한다. 3장에서는 기본 수변공간 개발사례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각 유형의 수변공간 개발 과정에서의 문제 해결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한다. 4장은 디자인 단계이다. 4.1에서는 디자인을 위한 대상지를 선정하고, 대상지 현황(기후·보행자가로·이용자행태·경관등)을 통해 개선해야 할 문제점들을 파악한다. 4.2에서는 4.1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디자인 프로그래밍 단계로 디자인 기본 방향을 정하고 여기에 맞게 대상지의 공간배치와 동선계획을 세우며, 디자인을 풀어나가기 위한 패턴언어를 수집한다. 4.3에서는 디자인 과정을 거쳐 대안을 제시하고 그 대안에 맞게 세부 디자인을 전개해 나간다. 4.4에서는 최종 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한다. 4.5에서는 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한다. 5장에서는 연구 결과에 대한 결론을 정리한다. 인간 생활환경의 변화에 맞추어서 개선되어지는 오픈 스페이스의 개발은 그 공간을 이용하는 보행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며 이것은 공간 이용의 활성화와 쾌적성을 증대시킨다. 개발 잠재성이 높은 수변공간과 연계된 보행자 가로공간의 개발은 인간 환경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해 주며 또한 자연 생태계와 인간이 조화를 이룰 때 더 좋은 도시 환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는 수변과 육역의 접경지대가 미개발된 채로 방치되어 있는 지역이 많다. 이러한 수변 공간을 오픈 스페이스로 개발하는 것에 대해 관심을 돌리는 사례를 제시한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한다.;This is a case study of the environmental design model tha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necessity for the utilization of watersides in urban areas to the benefit of pedestrians. Although human beings' access to water and walking is the most primary environment and behavior, the urbanization of modern society has caused various problems such as overpopulation, traffic jam, environmental pollution, the covering of waterways, and decreased walker areas for securing urban space. These ultimately lead to the situations in which this most fundamental support for human behavior becomes seriously threate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ase of developing a new type of pedestrian roadside space, a model that provides the possibility that the idle riversides so far recognized as abandoned in the city environmen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ed and lively places necessary for modern urbanites, with a new understanding of such areas as the function of substantial open space in metropolitan area and through the creation of them into an ecologically healthy city environment. This research intends to demonstrate that when we attempt to steadily carry out city improvements based on the ecological aspects of the nature while considering the restoration of basic natural worth of human beings and keeping the nature intact, we can work out favorable results of city development to the benefit of us. With this purpose in mind, it is conducted as the following procedure: Chapter 1 refers to the purpose, scope,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Chapter 2 discusses the possible benefits from the development of pedestrian passages in urban areas, by rethinking the implications of watersides in the city environment and making theoretical examination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walking space by the waterways. Chapter 3 aims to gather sources of data for redevelopment design of those areas in the future, by classifying waterside development cases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analyzing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each type. Chapter 4 is the design phase. Section 4.1 discusses the selection of the candidate for waterside development design and also specifies problems to be solved on the basis of the states of the selected site - including climate, roadsides, pedestrian behavior, and scenery. Section 4.2 decides on the basic direction of design as the programming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specified in Section 4.1, makes a plan for the spatial arrangement and moving lines of the development area according to the design, and collects pattern language for implementing the development design. Section 4.3 presents an alternative through the design process and develops the design in detail based on the alternative. Section 4.4 shows an exemplary model of the completed design. And Section 4.5 carries out the evaluation on the final design. Finally, Chapter 5 draws a conclusion abou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udy. The improvements of open space in the urban area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human living environment make pedestrians convenient, increase their satisfaction and comfort with such improved open space, and promote the utilization of open space. The development of pedestrian avenues in connection with watersides of high developmental potential creates the agreeable environment to human beings, and also indicates that a better urban environment can be brought when the ecological system and people harmonize with each other. Korea, with its three border surrounded with sea, has many untapped regions where water and land border.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s a representative model that will direct attention on the redevelopment of such watersides into open spa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i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2 2. 수변보행공간의 이론적 고찰 = 4 2.1 도시공간과 물 = 4 2.2 수변 보행공간의 개념 = 6 2.3 수변보행공간의 특성 = 8 3. 유형별 사례분석 = 10 3.1 Harbor-Canal형 수변보행로 = 10 3.2 수변공원(Waterfront Park)보행로 = 12 3.3 수변산책테라스(Promenade Terrace)공간개발 = 19 3.4 Architectural Landmark Model = 22 4. 수변 보행공간 디자인 = 27 4.1 대상지 분석 = 27 4.1.1 대상지 설정배경 = 27 4.1.2 대상지 현황분석 = 28 4.2 디자인 프로그래밍 = 42 4.2.1 디자인 기본 방향 = 42 4.2.2 공간배치 및 동선계획 = 44 4.2.3 패턴언어 = 49 4.3 디자인 전개 = 53 4.3.1 디자인 1단계 = 53 4.3.2 디자인 2단계 = 53 4.3.3 디자인 3단계 = 68 4.4 최종디자인 = 87 4.5 디자인 평가 = 110 5. 결론 = 113 참고문헌 = 114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4324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도심지 수변의 보행자 가로공간 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