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0 Download: 0

한국전통건축의 생태학적 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연구

Title
한국전통건축의 생태학적 특성에 의한 환경디자인연구
Authors
최선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environmental destruction deepens due to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paradigms are being emphasized. Humanbeing and environment must coexist through each other's interactions. Problems from combining Western views of nature with Korea's natural environment have made us reinterpret our ecological views of the world. This perceptional switchover has led ecology to discard narrow perspectives for harmony with nature and to function as a new paradigm that can adapt itself to, change with and sustain against modern urbanization. We shouldn't stick to our understanding of Western civilization as only mechanized and scientific one but select elements adequate to us, develop them and explore schemes to introduce them to our traditional views of environment. Also we should prevent further damage of our ecological environment by utilizing and developing each environmental resources in each area in spite of having been destructed already. This study starts with realization of problems from the expansion of the western tastes by globalization such as loss of the regional, traditional and natural features of our country. However the lapse of time and the change of natural environment are too great to substitute our ecological way of thinking of the past for modern times. Therefore, the author of this study tried to introduce new ecological design concepts based on the present regional and natural environments. Presentation of designing methods for a city park in which modernized facilities and the traditonal cultural assets coexist in harmony was aimed at, and the procedure to achieve this aim was taken as follows: 1. Realization of present problems in the aspect of environmental ecology and next description of the purpose of and methodology for this study. 2. Investigation of the environment-oriented adaptive elements in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s well as ecological environmental designs. And extraction of compositional design principles for adaptation through this investigation. 3. Establishment of directions of design through the structural principles in the outdoor spaces closed related with nature. and a case study to grasp the formative principles to construct environment-oriented outdoor spaces. 4. Making clear the meaning of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his design study. Experiment of the adaptive possibility of design samples through application of the extracted design principles to the subject area. Provision of alternatives to problems by selecting a proper subject area and applying spatial designs to it in various ways. 5. Evaluation of this study for designing an environment-oriented city park in which cultural traditions and conveniences of modern times coexist. And proving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6. Clarifying the limitedness of the results and affirming the meaning of this study to calculate upon the expected effects of the results. Through this procedure, the author could realize again that the artificial conquer of nature by science and civilization has certain limits. It is clear that we should establish harmonies on the basis of our traditional views of nature and environment-oriented designs while utilizing science and civilization properly. Therefore an environmental design for harmonizing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 modern construction on the basis of ecological world views is not to exclude our natural environment but to supplement it. The author of this study believes this design method can lead the cultural context and regional peculiarity of one area to adapt themselves to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the future environmental changes.;도시화, 산업화에 따라 환경파괴현상이 심화되면서 환경에 관한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인간과 환경은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공존해야 할 대상이다. 우리의 자연환경에 서양의 자연관을 접목시키면서 생긴 많은 문제들은 우리의 생태학적 세계관을 재해석하게 만들었다. 이런 인식의 전환은 생태학을 자연과의 조화로만 보는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 현대 도시화에 따라 적응, 변화, 지속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기능을 하게 만들었다. 이에 서양 문명을 단지 기계와 과학의 문명으로만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우리에게 맞는 면을 선택하고 발전시켜 전통적인 환경관에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미 파괴된 자연환경안에서 그 지역에 맞는 방법으로 환경자원을 이용하고 개발함으로 더이상의 생태환경의 훼손를 막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세계화에 의한 서구적 취향의 확산과 더불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역성·전통성·풍토성 등의 고유성 상실에 대한 문제점의 인식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과거 우리가 가진 생태학적 사고방식을 현대에 대입하기에는 시간흐름과 자연환경의 변화가 너무 크다. 이런 결과로 현재의 지역과 자연환경을 기본조건으로 생태학적 디자인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도시 속의 자연공간인 현대적 도시공원과 과거의 전통공간인 문화재가 조화를 이루는 도시공원디자인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1. 현재 발생한 환경생태학적 측면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서술하였다. 2. 생태학적 환경디자인의 연구와 더불어 한국 전통건축에 나타난 환경순화적인 적응방식을 고찰한다. 생태학적 환경디자인의 고찰을 통하여 적용가능한 디자인 구성원리를 도출한다. 3. 자연과 밀접한 외부공간의 구조원리를 통하여 디자인 방향을 설정한다. 환경 친화적인 외부공간 형성과 조형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사례조사를 한다. 4. 디자인의 의미와 본 디자인연구의 전개방향을 밝힌다. 도출된 디자인원리들을 대상지에 적용시켜 디자인적용 가능성을 실험한다. 연구목적에 적합한 대상지를 선정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디자인을 도입함으로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5. 문화적 전통성과 현대의 편리성이 공존하는 환경친화적인 도시공원 디자인연구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연구과정을 통해 내린 결과의 타당성을 밝힌다. 6. 연구결과에 한계성을 밝히고 의의를 확인하므로 연구성과에 대한 기대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과학과 문명에 의한 자연정복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과학과 기계문명을 잘 운용하면서 우리의 전통적 자연관인 환경 순화적인 디자인을 토대로 조화를 이루어야 함을 인식했다. 따라서 생태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전통건축공간과 현대건축의 조화를 이룬 환경디자인 연구는 시대의 흐름을 거부하지 않고, 우리의 자연환경을 배제하지도 않는 상호보완적인 디자인 방법이다. 이로써 문화적인 맥락과 지역적 특수성이 시대상황과 미래의 환경변화에 적응될 수 있는 디자인 접근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