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고려 청동은입사향완의 당초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고려 청동은입사향완의 당초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Authors
이상이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복식디자인은 복식이 갖고 있는 그 자체의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더 나아가 아름다움을 표출하는 미적 가치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모든 조형 디자인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식에 있어서도 미의 추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다. 이를 위해 인간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장식이라 할 수 있다. 복식디자인의 장식적인 측면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장식문양인데, 이 문양은 각 시대와 지역에 따라 그 민족의 특성과 환경에 영향을 받았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인간이 사용해온 문양 중 당초문양은 자연에서 출발하였으나 인공적인 장식문양의 하나로 그 기원은 같아도 전해진 지역과 민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 발전되어 왔다. 또한 당초문양은 인간이 가장 많이 애용해온 보편적인 문양인 동시에 그 시대와 지역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가지는 특수성을 발견 할 수 있다. 이는 장식문양의 사용에 있어서 전통의 재현에서 그치지 않고 그 시대 나름대로의 끊임없는 조형 의지를 보여주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당초문양은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이래로 계속 사용되어져 왔으며 오랜 세월을 통해 우리나라의 미의식과 부합되는 전통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금속공예품 중 특히 고려시대의 독특한 형태인 청동은입사향완에 시문 되어진 당초문양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분석하여 복식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과거의 전통을 재해석하고 이를 현대디자인에 접목하여 전통의 현대적 활용으로서의 바람직한 디자인 창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는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보존 유물의 실증적자료를 통해 고려청동은입사향완에 시문 된 당초문양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먼저 입사공예와 고려청동은입사향완, 그리고 당초문양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해보았고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에 나타난 당초문의 특징을 분석했다. 또한 현대 예술품에 응용된 당초문양과 현대복식에 있어서의 당초문양의 표현기법 등을 알아보았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한 당초문양의 특징을 복식에 도입하여 총 8벌의 실물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제작에 사용된 당초문은 청동은입사향완에 나타난 형태를 단위모티브로 삼았으며 색상은 패션트렌드를 바탕으로 전통문양의 표현에 적합한 색상을 선택하였다. 소재는 이중톤의 수직실크를 주로 사용하였다. 아플리케자수와 퀼팅기법의 응용으로 단위문양의 반복을 통해 당초문양의 율동감을 표현하였으며 그 위에 비즈 장식을 통하여 더욱 화려한 장식미를 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살펴보면먼저 고려시대의 청동은입사향완에 나타난 당초문양은 파상연속곡선의 구성을 통해 주로 향완의 전면을 메우는데 사용되었으며, 당초문양의 구성에 있어서 단독적 사용뿐만 아니라 다른 문양과 결합된 결합문계 당초문의 사용도 많음을 알 수 있다. 현대 디자인에 나타난 당초문양은 전통적인 당초문의 화려함을 유지하면서 보다 단순화되어 곡선의 율동성을 부각시켜 표현되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당초문양의 표현기법도 다양한데 주로 자수기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여기에 화려함을 더하기 위하여 비즈장식을 하였다. 또한 레이스, 쟈가드와 컷워크, 번아웃 된 소재 등을 사용하였으며 오뜨꾸뛰르 작품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작품제작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초문양은 파상곡선의 자유로운 율동성으로 인해 복식에 활용함으로써화려하고 풍부한 표면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곡선적 단위 형태로 인해 문양의 반복적 적용과 복식의 전면(全面)구성이 용이한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려 청동은입사향완에 사용된 쌍구법으로 표현한 당초문양의 이미지를 자수, 아플리케, 컷워크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단위문양을 반복 구성 표현하였다. 이러한 기법의 활용은 인체의 곡면을 절개선 없이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곡선적 실루엣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단위문양의 결합으로 인한 투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단위 문양의 제작에 있어서 자수기법에 퀼팅을 활용함으로 인해 문양 자체에 부조적 입체감을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수실과 소재와의 색상 구성의 변화와 비딩 등의 방식을 통해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전통문양의 도입을 통해 현대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전통적인 미의 현대화를 가능케 하며 특히 우리민족의 독창성을 세계에 알리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전통에 대한 관심과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이를 현대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 기법들의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Fashion Designs should consider aesthetic aspects to express their beauty as well as essential functions of clothes themselves. Like all other formative designs, fashions have also pursued constantly ideal beauty. For that reason, human beings have made their effort to achieve it in many ways, and one of them is the very decoration. One of representatives in decorative aspects of fashion designs is the decorative pattern and especially, the arabesque pattern among various patterns that human beings have used have been applied and developed variously according to inherited areas and nations as an artificial decorative pattern, although they all originated from nature. In addition, while the Dangcho is a general pattern that human beings have used the most frequently, they show the propertie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times and area. This study tried to reinterpret the past tradition, apply the results to modern fashion designs and to suggest potential to create desirable designs as a modernistic application of tradi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applying them to fashion designs, focused on the Dangcho pattern which was carved on the Incense Burner bronze inlaid with silver as characteristic forms in the Koryo Dynasty, among the Korean metal-handicraft works, in order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to develop them in future. For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works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analytic data through positive data of the preserved remains. First, the inlaying-craft, the Koryo Incense Burner Bronze Inlaid With Silver and Dangcho pattern were examined generally and characteristics of Dangcho shown in the Koryo Incense Burner Bronze Inlaid With Silver were analyzed. Also, Dangcho applied to the modern works of art and its techniques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were investigated. Total eight suits of clothes were produced by applying characteristics of the Koryo Incense Burner Bronze Inlaid With Silver, which was analyz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theoretical examinations, to the fashion designs. The unit motif of the Dangcho used in producing the works was a unique form shown in the Koryo Incense Burner Bronze Inlaid With Silver, and silk was used as a key material. Rhythmical beauty of the Dangcho was expressed through repetition of the unit pattern by application of embroidery, applique and quilting techniques, and more brilliant decorative beauty was intended through beading on the surf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angcho makes brilliant and abundant decorative effects embodied in the fashion by rhythmical freedom of the wavelike curv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urvilinear form of units facilitates repetitive application of patterns and full composition of the fashion design. Third, the image of the Dangcho expressed by means of the Ssanggu Technique which was used in the Koryo Incense Burner Bronze Inlaid With Silver was expressed by repetitive composition of the unit pattern with embroidery, applique and cutwork techniques, which can express various curviliner silhouettes, since it can compose curved surfaces of the human body without any cut line. Forth, embossed voluminous effects of the pattern itself could be expressed by applying embroidery and quilting techniques in producing the unit pattern, and changes in color composition of embroidery thread and materials and beading enabled more diverse expressions to be displayed in the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