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물고기 형태를 응용한 도자표현 연구

Title
물고기 형태를 응용한 도자표현 연구
Authors
민혜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람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면서 자연의 조화로운 질서를 발견하고 그 속에서 끊임없이 자아를 탐구해 왔고 또한 그 속에서 얻어지는 감동을 예술 작품으로 표현해 왔다. 우리 민족은 역사적으로 수 천년 동안 농경 생활 양식에 바탕을 둔 동아시아적 보편성에 뿌리를 두고 높은 수준의 문화를 발달 시켜 왔다. 어질고 수더분한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새로운 한국 문화를 창조하고 물 맑고 공기 좋은 자연과 낙천적인 조용함이 공존하여 독창적인 문화를 발달시켜 왔다. 물고기는 예로부터 인간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중요한 식량 자원 뿐 아니라 생활에 있어서도 많은 의미를 주는 소재로 여겨져 있다. 우리 문화 속에서 물고기는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와 다산과 입신출세, 부귀 행운을 상징하는 길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상에서 물고기는 관상용으로 많이 사랑 받고 있으며 자연을 통한 교육의 일환으로 크고 작은 수족관들이 생겨났다. 이러한 일상의 자연 친화 적인 물고기를 점토라는 매체를 이용하여 생활 공간에서 자연의 여유와 활력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물고기 형태를 응용하여 물고기에 내재되어 있는 환희와 평화스럽고 한가로운 분위기를 생활의 여유와 즐거움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물고기의 아름다운 모습과 자유롭고 생명력 넘치는 모습을 연구자의 주관적인 심성을 통해 점토의 특성을 살려 독창적으로 표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사적으로 도자기에 나타난 물고기가 우리 문화와 생활에 어떻게 쓰여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형태적으로 표현된 물고기를 파악해 보았다. 물고기의 생명력과 운동 감을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점토를 이용하는 작업은 형태를 자유롭고 풍부하게 하며 표현을 극대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형태에 따라 점토의 표현 기법을 달리하며 생활 공간에서 자연의 여유와 활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형미를 연구하였다. 작품 표현에 관한 근거 제시로 물고기를 소재로 다룬 다른 작가들의 조형 사례를 수집하여 표현의 다양성을 연구하였다. 작품 제작 방법으로는 유기적 형태의 자연스러운 표현이 용이한 코일링 기법과 물레성형 후 건조되기 전에 변화를 주는 방법이나 모델링 기법, 석고 틀을 이용한 주입 성형을 하였다. 태토는 형태 변화와 건조, 소성 시 균열이 적은 석기질 점토와 유약의 발색 효과가 좋은 자기질 점토를 사용하고 일부 현대소지에서 생산된 사용하였다 물고기의 다양하고 아름다운 모습들을 표현하기 위해 초벌 후 화장토를 얇게 입히고 투명유와 불투명유에 여러 가지 산화물로 발색 효과를 주어 담금 및 분무시유 하였다. 소성은 0.5㎥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최고 온도 880℃까지 8시간 1차 소성 하였고 2차 소성은 같은 가마에서 최고 온도 1250℃까지 9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연은 인간의 내면세계에 비추어 진 또 하나의 창조물이며 자아를 표현 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극대화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물고기가 지닌 다양하고 아름다운 모습은 율동적인 이미지 속에 자유롭고 평화로움을 재인식시켜 주었다. 본 연구는 물고기라는 이름의 자연을 연구자의 심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는 신비와 생동감을 본인 자신과 일치시켜 창작 활동의 근원으로 삼았다. 점토를 매체로 하여 자아를 표출함에 있어 소박하고 진실 된 언어가 될 수 있도록 사실적인 표현에서 유기적인 의식으로 현실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이야기함으로써 존재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론적 배경을 통해 우리 전통문화의 가치와 역사 속에 나타난 물고기의 형태를 살펴봄으로서 시대에 따라 가치의식이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자연으로부터 얻은 생명의 힘과 미적 영감을 흙이라는 매체를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였으며, 새로운 도자 세계를 열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Living as part of nature, humans have learnt to understand its rhythm and to express its sensations through art. Historically, Koreans have lived thousands of years centered around cultivation. On this basis, an Asian universality was rooted to develop an advanced culture. The Korean culture is unique and it has resulted from the optimistic calmness produced by the nation's clean and fresh natural conditions along with the humble nature of its people. Fish has captured human interest since ancient times not solely as food but also as a symbol. In the Korean culture, the fish has a certain alchemy on the people's lives for it symbolizes fruitfulness, success and wealth. Today it has generally become a subject of education found in aquariums, museums and libraries that have a considerable amount of information on its different shapes and spieces. For this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t forms as subject materials for ceramic expressions. The tranquil qualities in fish were also examined in addition to a historical research on ceramic wares with fish expressions. Both functional and aesthetical aspects were considered to include both qualities. The works of other artists using this subject were also examined. The clay work was made using the wheel-throwing methods, coiling, modeling and slip-casting techniques. A white stoneware clay body was used to incorporate different colors. Most of the work was brushed in slip after the first firing. Oxides, transparent and matt glazes were applied accordingly. The first firing was conducted in a 0.5 ㎥gas kiln and it reached a temperature of 880˚C in 8 hours. The second firing reached a temperature of 1250˚C in an oxidation firing that took 9 hours. The study has shown that nature is an infinite creative resource that evokes are minds. There are abundance of ideas and expressions for us to present in art. An aspect of the diversity in shape, color and sensibility found in nature was used in this study. Here fish has been presented in both realistic and abstract expressions. Also, the research on different expressions with the fish motif was interesting because time seemed to have influenced the style and method of expression. This study is the begining to many other expressions to com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