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지역이미지 정체성 보존지역의 환경색채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지역이미지 정체성 보존지역의 환경색채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Environmental Color Features Analysis for Preservation of Regional Image Identity: Focused on #47, Okin-dong, Jongro-gu
Authors
이미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도시 안에 과거와 현재로 이어지는 시간의 층위가 다양하게 조화되며 공존될 때 그 경관은 더욱더 풍요로워지고 인간의 삶은 깊이를 더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서울 도심은 각종 건설 프로젝트와 재개발 사업 등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고 있으며 그 안에서 역사적 흔적을 가지고 있어 보존해야 할 역사문화경관자원들도 빠르게 훼손되거나 소멸되어가고 있다. 도심지 내에는 한옥주거지, 골목길, 근대 건축물 등과 같이 비록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못하였지만 도시의 역사를 증명해 주는 소중한 역사문화경관자원들이 있으며 서촌도 이러한 지역 중 하나이다. 경복궁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 하여 ‘서촌’으로 불리는 옥인동, 누상동, 사직동, 효자동 등은 개량식 한옥과 골목길, 일본식 주택, 빌라 등이 뒤섞여 근현대 서울의 고유한 주거문화를 생생하게 전달해 주는 생활문화재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재로서의 인식부족과 노후주택지역이라는 인식으로 재개발이라는 미명아래 대량소멸 될 위기에 처해있다. 서촌은 서울 내 다른 지역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경관특성을 가진 곳으로 그 고유한 지역이미지 정체성을 보존하고 유지, 관리하기 위한 연구와 계획이 필요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그 장소가 갖는 역사문화적, 경관적 중요성이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주목 받기 시작해 서촌의 지역이미지를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연구와 계획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촌, 그 중에서도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여전히 60년대~70년대 서울의 주거지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옥인동 47번지를 중심으로 환경색채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지역이미지 정체성 보존을 위한 색채실용정보를 구축하였다. 대상지의 색채현황조사는 자연경관구성요소와 인공경관구성요소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인공경관구성요소 중에서는 경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된 외벽, 담장, 지붕, 바닥, 대문, 창틀을 중심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얻어진 대상지의 환경색채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는 전체적으로 매우 유사한 색채사용현황을 보이고 있어 통일된 경관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대상지에서 보여 지는 단색팔레트는 총 44개로 정리할 수 있었다. 경관구성요소별 단색특성을 살펴보면 외벽에 사용된 색채는 총 20개의 단색팔레트로, 담장에 사용된 색채는 총 19개의 단색팔레트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외벽과 담장은 매우 유사한 색채사용현황을 보이고 있었다. 외벽과 담장에는 주로 중명도 중채도의 YR계열, 중명도 저채도의 YR계열, 고명도의 N계열, 고명도 저채도의 B계열 색채가 사용되었다. 지붕에 사용된 색채는 총 10개의 단색팔레트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주로 중명도 저채도의 YR계열, 고명도 저채도의 YR계열, 고명도의 N계열, 저명도 저채도의 RB계열 색채가 사용되었다. 바닥에 사용된 색채는 총 2가지의 단색팔레트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주로 고중명도 저채도의 YR계열 색채가 사용되었다. 대문에 사용된 색채는 총 16가지의 단색팔레트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저명도 저채도의 RB, BG, G계열의 색채가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창틀에 사용된 색채는 총 6가지의 단색팔레트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고명도의 N계열, 저명도 저채도의 YR계열 색채가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대상지에서 보여 지는 배색팔레트는 총 65개의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3색 배색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대상지에서 보여 지는 배색팔레트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 건축물들의 배색은 시각적으로 배색의 개연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색조관계에서는 동일 순색량을 갖는 The same chromaticness 배색질서가 압도적으로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특히 외벽과 지붕 간에 이 배색질서가 가장 자주 나타나고 있었다. 색상관계에서는 유사색 조화와 이색조화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특히 외벽과 대문 혹은 담장과 대문의 색채 간에 이 조화원리가 가장 자주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된 대상지의 단색, 배색정보와 같은 색채실용정보는 대상지의 지역이미지 정체성 보존을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본 연구에서 보여준 대상지 색채정보의 구축 및 체계화 과정은 경관보존이 화두가 되고 있는 도심지 내 다른 지역의 환경색채현황을 조사하고 기록, 분석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 때문에 서촌 내에서도 옥인동 47번지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추후 서촌지역 전반에 대한 환경색채현황조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류, 조직화 한다면 서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경관색채 특성을 밝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서울의 근대 주거지역 색채특성 파악에 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In the center of the city, there are precious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such as residential areas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alleys and modern buildings etc. that prove the city’s history even though they are not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and Seochon is one of the areas as well. Okin-dong, Nusang-dong, Sajik-dong and Hyoja-dong etc. that are called ‘Seochon’ since they are located at the west of Gyeongbok Palace are in danger of mass extinction under the pretense of redevelopment by lack of awareness as cultural assets and awareness as the area of old houses even though they are living cultural assets that vividly deliver modern and contemporary Seoul’s intrinsic residential culture since they are mixed with improved Korean traditional houses, alleys, Japanese style houses and villas. Seochon is an area that has unique landscape character which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regions within Seoul and even though it is an area that researches and plans are necessary to preserve, maintain and manage its intrinsic regional image identity, the real situation is that researches and plans to preserve and manage regional images of Seochon are very insufficient since historical and cultural and landscape importance that the area has relatively only recently starts to draw public atten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lor practical information was established for the preservation of regional images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environmental color focusing on #47, Okin-dong that keeps well images of residential areas of Seoul in 1960s to 1970s since there was little development among others in Seochon. The survey on the status of color of the area to be investigated was processed by dividing it into natural landscape elements and artificial landscape elements and by focusing on outer walls, fences, roofs, floors, gates and window frames that were evaluated t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landscape among artificial landscape elements. As a result, the acquired environmental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o be investigated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area to be investigated showed the status of using very similar colors overall, it had an uniformed landscape image. Second, the solid color palette that was shown in the area to be investigated could be arranged into total 44 units. Looking into the features of solid colors by landscape elements, the colors used for outer walls were total 20 solid color palettes and total 19 solid color palettes for fences and outer walls and fences showed the status of using very similar colors. Colors of YR order with medium brightness and medium chroma, YR order with medium brightness and low chroma, N order with high brightness and B order with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were mainly used for outer walls and fences. The colors used for roofs could be arranged into total 10 solid color palettes and colors of YR order with medium brightness and low chroma, YR order with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N order with hight brightness, RB order with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were mainly used. The colors used for floors could be arranged into total 2 solid color palettes and the colors of YR order with high and medium brightness and low chroma were mainly used. The colors used for gates could be arranged into total 16 solid color palettes and colors of RB, BG, G order with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were being used with high frequency. The colors used for window frames could be arranged into total 6 solid color palettes and colors of N order with high brightness and YR order with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were being used with high frequency. Third, the coloration palette that is shown at the area to be investigated could be arranged into total 65 types and the arrangement of 3 colors were being us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general.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oration palette that is shown at the area to be investigated, it could be known that the coloration of buildings in the area to be investigated had probability of coloration visually. In tone relationship, the same chromaticness coloration order that has the same color content was dominantly shown with high frequency and this coloration order between outer walls and roofs was shown most frequently. In hue relationship, the harmonization of similar colors and different colors was shown with the highest frequency and especially this harmonization principle was shown most frequently between colors of outer walls and gates or between fences and gat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actical information of colors such as solid color and coloration information deduced from the area to be investigated could be utilized for the preservation of regional image identity of the area to be investigated, and in additio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systematization of color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investigated shown in the study could be utilized as reference data to survey, record and analyze the status of environmental colors of other regions in the center of the city in which the preservation of landscape becomes a top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