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원용-
dc.contributor.author김정이-
dc.creator김정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9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사용자와 개발자에게 단말기 기능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설정을 일임하는 새로운 시장 개념의 도입으로 ‘스마트폰’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폰의 큰 특징은 기존의 휴대폰에 비해 사용자의 능동성과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로 시장의 구조가 운영되며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의 거의 모든 기능과 외형을 직접 디자인한다. 이처럼 사용자의 내재적 동기에 의한 사용이 더욱 강해졌다는 사실에 의해 사용자의 동기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디자인에 창조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에서 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인 관점에서의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내재적 동기에 관한 기본 틀로서 플로우(Flow) 이론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목적을 스마트폰 사용 과정에서 플로우를 형성하는 다양한 요인들의 관계를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인을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4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스마트폰에서 플로우를 일으키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세부 요인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문헌 고찰과 첫 번째 단계의 결과물을 가지고 전체적인 구조방정식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 모형에 나타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이를 분석하여 구조방정식 연구 모형을 검증하고 수정된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에서 플로우를 일으키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관련 변인의 하위 측정 항목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웹을 통한 자료 수집, 심층 인터뷰 그리고 399명의 온라인 설문 조사와 요인 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사용성 측면, 개인화 측면, 제품의 외형적 만족 측면, 상호작용성 측면, 미적 만족 측면, 그리고 효용성의 측면으로 정리하였다. 사용성 측면은 사용의 효율성, 학습의 용이성, 기억의 용이성, 적은 오류 등으로 구성되었다. 개인화 측면은 개인화 설정 가능성, 개인화 다양성, 미적 만족, 사용성 및 효용성으로 구체화 되었다. 제품의 외형적 만족 측면은 크기, 무게, 그립감, 감촉, 내구성 등으로 정리되었고, 상호작용성 측면은 사운드, 진동, 모션효과, 기울이기 작동방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미적 만족 측면은 아이콘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미적 만족으로 단순하게 정리되었다. 효용성의 측면은 기존의 연구가 다수 있었으므로, 유용성에 관한 내용을 참고로, 심층 인터뷰의 내용을 적용하였다. 효용성 측면은 시간적 효용, 경제적 효용, 기능적 효용성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러한 여섯 가지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하위 척정 항목은 상호 배타적인 관계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없고, 기존의 매체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 관련 연구들의 디자인 요인에 대한 일반적인 분류 방식과는 다른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실증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느끼는 스마트폰의 디자인 관점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현실적인 요인으로 도출되었다고 판단되었다. 연구 모형의 검증 결과에서는 여섯 가지 요인 중에서 효용성 측면, 사용성 측면이 사용자 경험 디자인 변인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았으며, 외형적 만족 측면, 미적 만족 측면, 상호작용성 측면, 개인화 측면의 순이었다. 그러나 사용자 경험 디자인 변인에서의 여섯 가지 하위 측정 항목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분류 관점에 따라 서로 내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더 중요하거나 덜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아니다. 둘째, 사용자 경험 디자인, 관여도, 플로우 및 플로우의 선행 변인(숙련도, 도전감, 통제감, 각성, 원격실재감)으로 구성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통제감 변인은 신뢰도 검증 과정에서 제외되었다. 사용자 경험 디자인→숙련도, 사용자 경험 디자인→도전감, 사용자 경험 디자인→원격실재감, 사용자 경험 디자인→관여도 및 관여도→플로우의 관계가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련도→플로우, 도전감→플로우 및 원격실재감→플로우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플로우는 숙련도와 도전감의 조화로 이루어진다는 칙센트미하이(Csikszentmihalyi, 1975)의 기본 이론과 스마트폰 사용에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 플로우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전제한 본 연구의 가설을 강하게 지지하였다. 그러나 플로우의 선행 변인인 숙련도→도전감, 도전감→각성, 각성→플로우의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웹 사용을 배경으로 한 선행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셋째, 배경 변인에 따른 연구 결과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성별, 제조사, 이용 동기에 따른 연구 결과의 집단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부분적으로 연구 모형이 달라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성별 집단으로 구분한 경우 사용자 경험 디자인→원격실재감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고, 제조사별(애플(Apple), 삼성) 집단으로 구분한 경우 숙련도→플로우, 도전감→플로우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목적 지향과 경험 지향 사용자 집단으로 구분한 경우 숙련도→플로우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방법론적, 실용적 측면에서 몇 가지 의의를 갖는다. 먼저 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내재적 동기에 의한 자발적인 사용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매체와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내재적 동기로서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그동안 시도된 적 없는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서 플로우를 유발하는 사용자들이 지각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 세부 요인을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서 플로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하위 측정 항목들을 실증적으로 도출하여 그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는 학문적인 의의를 갖는다. 둘째, 플로우의 인과 관계 모형은 기존의 이론을 기반으로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플로우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인의 하위 측정항목을 직접적인 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처음 도출해 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론적이기 보다는 철저하게 사용자의 관점에서 도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문헌 조사, 웹 사이트 조사, 심층 인터뷰 및 설문 조사의 네 단계의 연구 방법을 거쳐서, 실제 사용자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반영하는 방법론적 제안을 하였다. 셋째, 배경 변인을 설정하여 연구 결과의 차이를 검증하고 분석함으로써 디자인 및 마케팅의 실무 현장에서 직접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실용적 의의를 갖는다.;Smart phones have recently received much atten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introduction of new market concept. The big features of smart phones compared to those of previous phones are users' activity and rich user experience. Users' active participations enhance the market structure and users design almost all functions and appearances of their own smart phones. Prevalent uses brought by users' intrinsic motivations highlight the needs to study users' motivations. The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 research on smart phones is also require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rich user experience and users' creative participation in design. In this study, we have used the Flow theory as a basic frame of users' intrinsic motivation. The study has shown the relationship of Flow variables while using smart phone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The study process consists of 4 steps. The first step has derived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to bring about the Flow. The second step has se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literature analyses and design factors of the first step. The third step has conducted survey to verify hypotheses of the model. The final step has analysed the survey results, verif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proposed a new modified model.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we derived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observed variables) to bring about Flow while using smart phones via literature analyses, data collection on the web, in-depths interviews, online survey of 399 persons and factor analysis. The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usability, personalization, physical property, interaction, aesthetic satisfaction, and utility. Usability consists of efficiency, learnability, remembrability, errors and so on. Personalization is materialized into personal configurability, personal diversity, satisfaction, usability and utility. Physical property is made up of size, weight, feeing of grip, feeling of touch, durability. Interactivity is composed of sound, vibration, motion effect, tipping etc. Aesthetic satisfaction is simply summarized by satisfaction with icon and interface. Utility is specified into time utility, economic utility and functional utility. The 6 design measures are different from general categories of previous media and interface design researches, but they are based on empirical data and realistic factors which reflect design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s. Our results show that utility and usability have the highest scores for design variable and the third, the fourth, the fifth and the sixth go to physical property, aesthetic satisfaction, interactivity and personalization respectively. Secondly, we defined research model with user experience design, involvement, Flow and antecedants of Flow (skill, challenge, control, arousal and telepresence) and verified relationship. The results show that user experience design to skill, user experience design to challenge, user experience design to telepresence, user experience design to involvement and involvement to Flow are positive relationship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skill to Flow, challenge to Flow and telepresence to Flow are significant and strongly support Csikszentmihalyi's basic theory that Flow results from a proper balance between skills and challenge and this study's hypothesis that design is the major factor of Flow. But skill to challenge, challenge to arousal, and arousal to Flow are insignifica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y about the use of web. Thirdly, we checked up the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gap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 manufacture and the purpose of use. If we classify users into gender groups, user experience design to telepresence is not significant. If we classify users into manufacturers, skill to Flow and challenge to Flow are not significant. If we classify users into goal-oriented group and experience-oriented group, skill to Flow is not significan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Firstly, the study described smart phones are different from other media with the idea that smart phones are voluntarily used by intrinsic motivation. The study also proposed user experience design is the major factor influencing Flow and empirically derived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which users perceive. The study showed user experience design plays a major role to bring about Flow with smart phones offering rich user experience and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design, which are academic contributions of this study. Secondly, this study empirically derived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of smart phones from user surveys to affect the process of Flow formation for the first time. The results are from users' view rather than from a theory. We also proposed a methodology reflecting real user's voice with a 4 step study of literature analysis, data collection on the web, in-depths interview and on-line survey. Thirdly, the study offered data which can directly be used in the user experience design and marketing field by verifying the difference of study results between various background variab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문제의 제기 1 B.연구 목적 4 Ⅱ.이론적 배경 6 A.개인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스마트폰의 특성과 디자인 6 1.스마트폰의 정의 6 2.스마트폰의 사용과 확산 12 3.스마트폰 사용의 확산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과의 관계 14 B.매체 이용에 있어서의 플로우 19 1.플로우의 개념 19 2.플로우의 개념적 모델 25 3.플로우의 측정 방법 30 4.매체 사용 과정에서의 플로우 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 32 5.사용자 경험 디자인과 플로우의 관계 36 Ⅲ.연구 설계 41 A.연구 모형 및 연구 문제 41 1.연구 모형 및 연구 문제 41 B.연구 절차 45 1.연구 절차의 개요 45 C.연구 방법 47 1.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변인 구체화를 위한 사전 조사 47 2.플로우의 척도 및 선행 변인 도출 61 3.매개 변인 및 결과 변인 도출 65 4.배경 변인 도출 65 5.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의 개발 66 6.문항의 구성과 사전 테스트 74 Ⅳ.연구 결과 76 A.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변인 구체화를 위한 사전 조사의 결과 76 1.설문 조사를 통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변인 구체화의 결과 76 B.스마트폰 사용 과정에서 플로우 형성에 관한 모델 검증의 결과 84 1.조사의 개요 84 2.측정 도구에 대한 평가 89 3.스마트폰 사용 과정에서 플로우 형성 모형 검증 98 4.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모형 검증 결과의 분석 120 5.단말기 제조사에 따른 사용자의 플로우 경험에 대한 차이 131 Ⅴ.결론 141 A.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141 B.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146 참고문헌 149 부록-1 160 부록-2 165 부록-3 172 Abstract 1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61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스마트폰 사용과 플로우(Flow)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인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mart Phones Uses and Flow Formation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dc.creator.othernameJung-Yi Kim-
dc.format.pagexi, 18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