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병권-
dc.contributor.author최희정-
dc.creator최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4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482-
dc.description.abstract평면성은 시작에서 완결까지의 짜임새와 맥락 속에서 조직화를 통해 분리와 집중을 유발하는 표현 방법론이다. 밈(Meme)으로서 평면성은 논리적인 형식과 감성의 내용으로 표상되는 속성이자 정신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현대의 다양한 하이브리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평면성의 예술적 가치 뿐 만 아니라 밈으로서 평면성의 의미도 함께 고찰해야 한다. 밈은 사고, 정보, 전달의 단위, 양식, 유형, 요소로서 끊임없이 반복되고 재생산되며 문화요소를 복제하고 변이시키는 과정을 통해 그 내용을 보존하고 전파한다. 또한 문화모방의 단위라고 개념화 할 수 있는 밈은 다른 밈과 상호결합하면서 생명체와 유사하게 적응한다. 이러한 밈의 융합현상은 시각예술 분야 뿐 만 아니라 사회·문화 전반에서 모방과 복제를 반복하고 있고, 밈으로서의 평면성 역시 시간과 공간 그리고 대상과 매체에 구애받지 않고 자가 적응과정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서양예술의 오랜 전통 이였던 고전주의 입체구성이 무너지고, 문학에서는 말라르메(Mallarme)와 베를렌느(Varlaine), 미술에서는 모네(Monet)와 세잔(Cezanne) 등에 의해 새로운 구성방식으로 ‘평면성’이 등장한다.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그들의 평면성은 동양예술의 평면구성에 영향을 받았고, 이 역시 오랜 세월에 걸쳐 각 문화 공동체 구성원들 사이에서 학습되었고, 경험을 통해 형성 된 것이다. 그들의 장기기억에 저장된 문화공동체의 소산물들은 연속적인 모방을 통해 진화를 거듭하는 평면성이라는 밈의 흔적이다. 이러한 평면성의 개념에서 보면 언어나 이미지의 명시적인 형태보다는 암시적이고 상징적인 개념이나 의미가 더 중요하다. 이는 그린버그(Greenberg)가 언급한 바와 같이 인위적인 조작이 아닌 자연스럽게 융화된 이차원적 평면성이 예술의 본질에 더욱 다가가고 있다는 진술과도 일맥상통한다. 보다 적극적인 평면성 표현의 패러다임 전환은 20세기 초반 큐비즘(Cubism)화가들로부터 시작되었다. 큐비즘의 다시각적 평면표현은 추상회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고, 이는 곧 네덜란드의 데 스틸(De Stijl)로 이어진다. 데 스틸 아티스트들은 이를 순수미술 분야에만 한정하지 않고 시각디자인, 실내디자인, 건축 등 조형예술 전 분야로 확대 적용시켰다. 이러한 변화의 저변에는 산업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사회와 문화 전반의 다양한 변화가 함축적으로 내포되어 있다. 여기서 형식과 시스템이 표준화되고 융합화 된 평면성의 체계는 확장되고 자가 적응하는 평면성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문화적 유전자로서 평면성의 존재와 밈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현상적 사례를 찾아 밈으로서의 평면성의 가치를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밈 현상이 지닌 개념을 토대로 <단순화(simplication): 형태, 시간, 정의>, <압축: 부피의 압축(compact),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압축(compress) 내용의 압축(summarization)>, <중첩(overlapping)과 융합(convergence)>, <질서와 조직화(order & systematization)>이라는 네 가지 특성을 과정과 실재가 동시에 공존하는 평면성의 본질적 속성으로 전제하였다. 평면성의 밈으로서 그 첫 번째 속성인 ‘단순화(simplication)’는 핵심의 강조와 부가요소의 삭제, 드러내기와 가리기, 분류와 정리를 통한 도식양식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단순화는 대상의 형태, 시간, 정의를 강조하되 동시에 대상물 간의 공통적 특징을 유지해야한다. ‘형태’의 단순화는 사물의 외관을 강조하고 삭제하여 가장 중요한 부분만을 남기는 것이고. ‘시간’의 단순화는 기능에 따른 체계를 정리하고 분류하는 과정을 통해 과정의 길이나 결과물이 만들어 지는 물리적 공간을 조절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의’의 단순화는 현상과 그 과정을 양식화 하고 개념으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단순화된 코드는 시간을 거치며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정의와 의미가 보존되는 효율성이 있다. 두 번째 ‘압축’은 부피의 압축(compact),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압축(compress), 그리고 내용의 압축(summarization)으로 대변될 수 있다. 부피의 압축은 물리적 용적을 줄이는 것으로 여러 가지 기능이 있으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게 작고, 간편하며, 조밀하고, 다부진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압축은 반복된 부분을 제거함으로서 전체크기를 줄이며 흡사 압축화일과 같은 형태를 목표로 한다. 내용의 압축은 전체 이야기나 상호관계를 가늠할 수 있게 요약하는 개괄적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중첩(overlapping)’과 ‘융합(convergence)’인데, 중첩은 동일한 성질의 연속, 양이나 수치의 동시적 증가, 또는 정체성이 보존되는 층(layer)의 증가를 의미한다. 시간과 공간 속에서 반복적인 행동과 상황에 의해 사물이나 내용이 서로 중복되거나 포개어지는 합성(superimposition)을 통해 새로운 형태가 창출된다. 융합은 서로 다른 공간과 시간의 속성, 매체, 의미가 결합되어 하나의 덩어리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을 통해 새로운 개념과 기능이 도출되고, 스타일이라는 하나의 구조가 형성된다. 네 번째, ‘질서와 조직화(order & systematization)’는 시간, 공간, 내용 등의 흐름 구조가 혼란 없이 순조롭게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즉, 대상의 순서와 차례를 정하는 속성이다. 이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배열의 구조 그리고 리듬과 규칙으로 과정과 결과가 실체가 될 수 있게 하는 표현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밈으로서의 평면성 개념이 시각예술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회, 정보체계, 언어, 사고·철학, 문학, 음악, 건축과 디자인 분야에도 총체적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전제하였다. 개념과 형식의 모방과 복제를 반복하는 밈으로서의 평면성의 속성이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또 해석함으로써 평면성의 확대적 개념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밈의 관점에서 보는 평면성의 속성으로 그래픽의 표현방식을 해석하고 이 과정에서 평면성의 꼴을 실험하는 것이다. 다양한 평면성의 그래픽 표현 속에서 반복되는 밈의 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피보나치수열(fibonacci sequence)의 표현 소재를 선택하고 적용하였다. 피보나치수열은 1.1.2.3.5.8.13.21.34.55...와 같이 앞 두 항을 더하여 다음 항이 만들어지는 끝없이 연속된 숫자의 나열이다. 이 수열은 우연하고도 복잡하게 보이는 자연 속에서 명확하게 발견되는 수학적 규칙이며 실제로 다양한 동식물의 형태와 그 생장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피보나치수열의 앞항으로 다음 항을 나누면 황금비율(golden ratio, 1:1.618)에 근접하게 된다. 결국 수열에 의해 만들어진 유기적 형태는 보이지 않는 자연의 질서이며 최고의 미적 비밀코드임을 알 수 있다. 자연의 본질적인 아름다움에서 출발한 피보나치 열과 황금비율은 고대 미술에서 현대건축 및 디자인에 이르기 까지 형태의 기본원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보나치수열이 형태의 기본원리라는 가정 하에 근원적 밈적 작용이 이 형태에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파보나치 수열의 표현 방식에는 앞서 제시한 평면성의 네 가지 속성을 모두 적용하며 해석하였다. 일상에서 우연히 혹은 매우 불규칙적으로 드러나는 코드를 찾아 그 내재된 규칙을 밈이라는 유전자로 인식하고, 그 번식과 변이의 확장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신성한 자연섭리의 패턴, 삶의 코드, 질서와 조화의 우주가 되는 피보나치수열은 밈으로서의 평면성을 표현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보나치수열을 바탕으로 한 14개 작품을 통해 밈으로 본 평면성을 시각화하고, 그 속성에 대한 표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평면성 밈의 개념으로 사회/문화현상과 예술을 고찰하는 일련의 시도이다. 함축, 융화, 합일, 차용, 반복, 보편화 등을 통해 내부구조를 변형, 복제하며 진화하는 평면성 밈의 사례를 찾아 그 개념과 속성을 분석하였다. 단순화, 압축, 중첩과 융합, 질서와 조직화는 평면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속성임이 확인되었고, 피보나치수열을 적용·실험하여 지속되는 다양한 표현 속에서 밈으로 본 평면성의 의미와 개념이 타당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밈으로 본 평면성이 지적/감성적/물질적 가치와 의의를 확인하는 개념임을 증명할 수 있었고, 평면성 표현이 논리와 감성을 담고 있는 본질적인 사고 단위의 연속체이며 개념과 관계를 만드는 플랫폼이 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평면성은 다양한 대상과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결합과 복제가 삶의 모든 국면에 침투해서 우리의 자연스러운 세계가 되어온 것처럼’, 미래에도 표현의 일반적인 패턴과 원칙으로 작동하는 강력한 밈으로 개념화 할 수 있다. KEY WORDS: 밈(meme), 평면성, 피보나치수열(fibonacci sequence), 그래픽 표현;Plane property could be called an expression methodology inducing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through systemiz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context from start to completion. Plane property as Meme could be interpreted as the attribute and spirit that can be symbolized in the theoretical form and emotional content. Thus, the author of this thesis would think that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artistic value of plane property but also the meaning of plane property as meme in order to comprehend various modern hybrid phenomena. Meme would be continuously repeated and reproduced as elements of thought, information, unit of transfer, pattern, and style, etc. In addition, contents of meme shall be preserved and spread through the reproduction and modification of cultural elements. Meme that can be conceptualized a unit of cultural imitation can be connected to another meme mutually adapting to living things. This fusion phenomena of meme would repeat imitation and reproduction not only in video art field but also in social and cultural fields, too and plane property as meme would accelerate self-adaptation process regardless of not only the limit of time and space but also the object and media. Classicism space composition that would be a long tradition of western art collapsed in late 19th century and early in 20th century and owing to the influence of Mallarme and Varlaine in literature and Monet and Cezanne in fine arts, ‘Plane Property” appeared as a new composition method. Their plane property that would seek naturalness would be influenced by plane composition of Oriental art and this would be learned between the members of each cultural community throughout a long time and formed by various kinds of experiences. Products of cultural community that are stored in their long memory could be the trace of meme that would repeat evolution through continuous imitation. In the viewpoints of plane property, suggestive and symbolizing concepts could be more important than evincive patterns of languages and images. Considering this concept, we can understand that as Greenberg would say, 2nd dimensional plane property fused each other naturally not in artificial manipulated method could approach to essence of art and that this phenomena would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Paradigm conversion of more progressive plane property expression would start with the appearance of the painters of Cub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Multi-optical plane expressions of cubism would open a new chapter of abstract paintings, which would be connected immediately to De stijl in Netherlands. De Stijl artists would not limit this tendency to pure art but they would expand this to all the relevant fields of visual design, interior design, architecture and other forming arts. On the sidelines of these changes, various changes of social and cultural fields originated from industrial and scientific development would be contained by implication. Here, we can understand patterns and systems could be standardized and fused plane property would be expanded to be self-adapted plane property. Thus, the author of this thesis would aim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plane property as a cultural gene and concept of meme and furthermore to comprehend the value of plane property as meme. In this thesis, on the base of the concept of meme phenomena, the four features and processes of < Simplification : pattern, time, and justice >, <Compression : compact of volume, compression of program and process and summarization of contents >, < Overlapping and convergence >, and <Order and systemization > would be presented as a premise as the essential attribute of plane property that the processes would exist with the real existence. First, simplification that is the first property as a meme of plane property would mean the strengthening of core and deletion of additional elements, revelation & hiding, and pattern & style through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Here we should think that simplification should strengthen patterns, time and justice of the objects basically and maintain the common features between the objects simultaneously. Simplification of figures would strengthen and delete outer appearance of things for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m to be left. Simplification of time would mean to arrange the length of the processes and physical space where the outcome would be produced through the arrangement and classification of the relevant systems according to the functions. Lastly, simplification of justice would mean systemization of the phenomena and process and substitute of the related concepts. Codes that would be simplified in this method would have the effectiveness to preserve the justice and meaning even when they would continue a fixed pattern through elapse of time. Second, ‘Compression’ could be represented as compact as volume, compression of programs and processes and summarization of contents. Compact of volume would mean reduction of physical volume, which would have various kinds of functions and could be used conveniently and this function should be simple, smart and compact. Compression of programs and processes would mean to remove the repeated parts to reduce the total size and it would aim to reduce into compressed files. Compression of contents would mean the comprehensive arrangement of the contents so that total stories and mutual relationship can be understood. Third, regarding ‘Overlapping’ and ‘Convergence’, overlapping would mean the continuity of same property, simultaneous increase of quantity and numbers, or increase of layers where the identity could be preserved. New patterns would be created through the mutually repeated or overlapped superimposition of the things and contents by the repeated behaviors and situations in time and space. Convergence would mean the production of a lump through combination of property, media and meaning of mutually different space and time. Through this process, new concepts and functions would be drawn and a structure of style could be formed. Fourth, ‘Order and systematization’ would mean the harmonious connection of the flowing structures of time, space, and contents, etc. without confusion. That is, it would mean the property that designates order and turn of the objects and that it would be the expression method where the process and result could be reality through the effective and productive arrangement structure and the rhythm and rules. In this study, the author would present the premise that plane property concept as meme would be applied not only limitedly to visual art but also all the other fields of society, information system, language, thoughts & philosophy, literature, music, architecture and designs, etc. totally and comprehensively. That is, the author would like to confirm and interpret how the plane property could exist as meme that would repeat imitation and reproduction of concepts and styles and to interpret the practical and true meaning of it so that we can attempt expanded conception of the plane property. As for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aims to interpret the graphic expression methods as the plane property and to make experiments of the forms of plane property in the viewpoints of meme. Thus, the expression materials of Fibonacci sequence was selected and applied to grasp the repeated functions of meme repeated in the graphic expressions of various kinds of properties. Fibonacci sequence can be explained as endlessly continued enumeration of 1, 1, 2, 3, 5, 8, 13, 21, 34, 55, … that could be made by addition of the former two items. This sequence could be said as a mathematic rules that could be clearly found by chance and complexly and it can be confirmed in various kinds and of animals and plants. When the former item is divided by the next item in Fibonacci sequence, golden ratio (1:1.618) can be approached to. In conclusion, we can understand that organic patterns produced by Fibonacci sequence would produce the invisible order of nature and they should be the highest esthetic secret code. Fibonacci sequence and golden ratio that is originated from the essential beauty of nature would be the basic principle from the ancient art to the modern architecture and design. In this study, the author has confirmed that fundamental meme functions would have functions these patterns under the assumption that Fibonacci sequence is the basic principle of patterns. Regarding the expression method of Fibonacci sequence, the author would interpret the mea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foregoing four properties of the plane properties. Thus, the author would like to seek very irregular codes or other phenomena by chance and recognize them as the genes of meme so that I can find out the expansion of the breeding and change. It was judged that Fibonacci sequence that is the pattern of holy natural providence, code of life and universe of order and harmony could be a proper tool to express the plane property as meme. As for this study, the plane property that was seen in meme through 14 works based on Fibonacci sequence has been visualized and whose properties have been analyzed. In this study, the author attempted to consider the social / cultural phenomena and arts in the meme concept of the plane property. Through implication, fusion, unity, borrowing, repetition, and generalization, etc., the author would change and reproduce the internal structures and seek the practical cases of the evolving plane property meme and then analyze the concepts and properties. The author has confirmed that simplification, compression, overlapping and fusion, order and systemization would be the plane properties that would be showed commonly and the author attempted to present the meanings and concepts of plane properties seen in the viewpoint of meme in the various expressions continued in the application and experiments of Fibonacci sequence. Through the study, the author could certify that the plane property seen in the viewpoint of meme could be the concepts that confirm intelligent / emotional / and material values and meanings and that expression of plane property could be the continuous entities of essential thinking units containing theories and emotions and they could be platforms to produce the relevant concepts and relations. As plane property could be applicable to various kinds of objects and fields and ‘combination and reproduction have penetrated all the phases of our life and they have become our natural and harmonious world’, we can conceptualize various kinds of things around us in the future as well with the strong meme tha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general patterns and princip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B. 연구와 작품의 범위 2 C. 연구의 플로우 차트 3 II. 본론 5 A. 밈(meme)과 평면성의 이론적 배경 5 1. 밈의 개념의 이해 5 1.1 밈의 개념 5 1.2. 밈의 원리와 현상 9 2. 평면성 개념의 이해 13 2.1. 평면성의 개념과 이론 13 2.1.1. 힐데브란트의 평면성 14 2.1.2. 볼링거의 평면성 15 2.1.3. 데 스틸의 몬드리안과 반 두즈버그의 평면성 15 2.1.4. 그린버그의 평면성 16 2.2. 평면성 현상의 사회적 배경과 맥락 17 B. 밈(meme)으로 본 평면성 현상과 사례 연구 19 1. 밈의 관점에서 본 평면성 현상과 그 영향 19 1.1. 사회문화적 평면성 현상과 그 영향 19 1.1.1. 사회 구조와 정보 매체 19 1.1.2. 언어사고와 철학적 측면 21 1.1.3. 문화 23 1.1.3.1. 문학 23 1.1.3.2. 음악 25 1.1.4. 사회문화적 평면성의 밈 개념 28 1.2. 시각예술 분야에서의 평면성 현상과 밈 영향 31 1.2.1. 미술 31 1.2.2. 사진 50 1.2.3. 영화 61 1.2.4. 건축 67 1.2.5. 디자인 사고 76 1.2.6. 그래픽디자인 82 1.2.7. 시각예술에서 평면성의 밈 개념 105 C. 밈으로 분석한 평면성 표현의 특성 114 1. 밈으로 분석한 평면성의 속성 114 1.1 단순화 115 1.2 압축 121 1.3 중첩과 융합 129 1.4 질서와 조직화 143 2. 밈으로 분석한 평면성의 개념과 의의 146 III. 작품 연구 및 분석 147 A. 작품제작 배경 147 B. 작품의 의미와 형식론 149 IV. 결론 227 참고문헌 230 Abstract 2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282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밈(meme)현상으로 고찰한 20세기 이후 평면성 표현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피보나치 수열의 그래픽 표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lane Property after 20th century considered in Meme phenomena: Focused on Graphic Expression of Fibonacci sequence-
dc.creator.othernameChoi, Hee Jung-
dc.format.pagexix, 24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