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김건희-
dc.creator김건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7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737-
dc.description.abstractThe time in which everything has stopped and nothing can be recognized actually exists. Such moment that one cannot recognize can happen any time. It is direct yet ambiguous, the moment of intuition clearly rising once again. Such moment is rooted in the world of experience, which may disappear like a mirage the moment it is recognized. If such moment is to be defined, it can be referred to as a moment of ‘ecstasy’ based on high immersion in an object or opportunity. That is, it is ‘the standstill moment’ occurred by a certain opportunity at a certain moment. ‘The standstill moment’ refers to the moment in which all recognitions toward the outside of the world as well as oneself disappear. And such moment enters deeply into our mind and nestles as unconsciousness, and gives continuous shocks in our inner side to be revealed as a substance. The world of the researcher’s works rises from a mysterious childhood experience of assimilating with the cloud reflected in a well. It was the aforementioned experience of ‘the standstill moment’. Like Chuang-tzu’s ‘Butterfly Dream’, the experience of such a moment in which it is unclear whether the cloud is me or I am the cloud has led to the self-awareness that ‘the truth of my being’ does not lie in the variable body, but in invariable ‘soul’. As a result, such self-awareness made the researcher question the source of being, ‘Who am I?’. At the same time it became the opportunity to seek the answer in the world of spirit rather than body. And as a result, a virtual space embodying his own inner world is created. Therefore,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can be implied as a story about ‘my being and the world surrounding it’. The moment my being is ‘assimilated’ with the cloud, my body in the phenomenal world become meaningless. That is, the moment assimilation occurs, ‘consciousness’ of my being expressed as spirit does not have to come from a specific shape. It is because ‘consciousness’ can be assimilated as much as it likes, sometimes with a cloud and sometimes with a single stone on the road. Therefore, my present shape is merely a skin that reveals myself in the phenomenal world, and thus the truth of my being lies in spirit. But the researcher’s thought of being actually touches upon the thought of what the source of being is. That is, the researcher’s thought about ‘the truth of being’ to prove what my being is touches upon the thought discussing the source of all beings as reason and energy. Ultimately, the researcher’s thought on the truth of being is a precondition to form the researcher’s inner world, so it must be demonstrated. This is a reasonable procedure since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is to embody consciousness of being and the world, but a new issue comes to the fore: can the inner world be realized? To get straight to the point, the researcher’s answer is that it is possible to some degree based on ‘cognitive function of consciousness’.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spirit is “mind, ability or action to think and judge”; the philosophical meaning is immaterial substance that forms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erefore, spirit has no substance and thus can be characterized as a type of ‘consciousness’. Commonly, ‘losing one’s spirit (senses)’ refers to as losing consciousness, and one cannot be awake at this point. Thus, human ‘consciousness’ is through ‘cognition’ function that perceives and judges the object. Therefore, the issue of realizing spirit is realizing the object perceived by consciousness. Thus, as a result, realizing the inner world of being is an issue of what becomes the object of cognition. Such object of cognition is based on ‘the world of experience’ by humans, so it can also be realized. The researcher puts the object that is to be perceived by consciousness on ‘memory and thought’ by experience. And he also assumes ‘symbol’ that is a specific thing of the phenomenal world to embody the aforementioned. That is, in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there is ‘cloud’ that symbolizes ‘beings’ with life in the phenomenal world, and ‘rock’ and ‘stick’ that symbolize all beings without life. As such, the researcher has a few motifs to embody his own inner world, and is organizing them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world he regulated. The world created by the researcher is a world inherent in the inner space of each being, and its attribute is ‘the world with spirit’ of beings in the phenomenal world. That is, me and the beings surrounding myself are ‘the inner world’ revealed not in the form of substance but of spirit. This is similar to the moment of assimilation in which a viewer looks at a great piece of landscape and deludes himself into thinking that he is inside the landscape through a deep thought. It is like the moment the viewer is assimilated with the landscape and nature, the body is in the phenomenal world but the spirit is in the world within the painting. As such, the world created by the researcher is the ‘virtual world’ that finally unfolds when each being reaches the moment of ecstasy through the ‘standstill moment’ of ‘immersion’. Therefore, this world is like a mirage, a variable world, revealed according to the thought of being. Fundamentally, the world created by the researcher is a figment of imagination without a specific substance, so establishing the law of this world and embodying it in detail may differ depending fully on the depth of thought. Therefore, the researcher has fulfilled a few preced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flow of thought over many years in order to embody this virtual world. And as a result,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have 4 series with 2~3 years of intervals. The cloud (spirit that is my essence) is drifting. <Ⅰ- Drifting Series> It flows into the (internal) world through the gate of ecstasy. <Ⅱ- Flowing Series> As it reaches the entrance of the world upon flowing <Ⅲ- Containing Series> It will enjoy absolute freedom as a part of the world. <Ⅳ-Wonderland/Storytown Series> This follows the flow of thoughts to go to the virtual world. Thus, the world of the researcher’s works have a journey. But this journey actually does not have a specific aspect of the material phenomenal world. This is completely a fantasy within the consciousness of the researcher himself. Therefore, in the world of the researcher’s works, symbolic images of ‘time and space’ aside from the aforementioned symbol of being are transformed into specific objects The symbols in the world of the researcher’s works : ‘Clouds, rocks, and sticks’ appear as symbols of the beings, ‘stratification’ as a symbol of time, and ‘geometric line’ as a symbol of space. This will be explained further in V-B of this thesis. That is, spiritual thought is transformed into a picture as a true nature. It indicates that even if the meaning The meaning pursued by the world of the researcher’s works : Here, the world ultimately pursues the meaning of the realm of ‘absolute freedom.’ Most beings sincerely hope for the realm of ‘absolute freedom,’ but it is actually an impossible fantasy in the material phenomenal world. Thus, there was in need of the virtual world in which to enjoy it, introducing the world in which the spirit of the being stays. That is, the moment it is realized that the being is the unity of shape and spirit, it aimed to be free from shape based on the real world, restructuring space to freely leave the spirit of the being free from shape. pursued by the researcher’s world lies in metaphysical world, the realization is possible in physical world. There i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fact that realizing ‘metaphysical logic’ is only possible through ‘physical logic’. This is because it was a talking point of not only art but many philosophical arguments thus far. For instance, in the populace view of cosmology, enlightenment or reason that form the basis of living things ultimately appear as a specific visibility through energy. As such, the work of painting an invisible thing in detail requires a changeover to a visible thing. Such aspect of the world of the researcher’s works provide a reason to prove the world with the ancient concept of Jeonshinsajo Jeonshinsajo : It is a theory first stated in the scope of portrait by Gukaizhi of 5c Dongjin. It is generally referred to as Jeonshin. Jeonshin means to convey spirit, and sajo means to describe the visible shape realistically.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object to paint is not a shape but meaning, and the structure in which it is actualized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Jeonshinsajo’ that ‘conveys spirit with shape.’ The object to paint(‘memory and thought’) is deeply and thoroughly studied, restructured as esthetic imagination(symbols and the world), and actualized as a realistic shape. Thus,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concept of Jeonshinsajo as a methodological system to visualize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as a form of painting. Until now, this study has clarified that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is the ‘realization of the inner world’ and the researcher’s thought on the ‘aspect of being’ within the world, and discussed the ‘methodological aspect to visualize’ it in detail.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structure of revealing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as a visual result. This is because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is based on the inner world,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threshold requirement of the world before fully discussing the world of works itself. Therefore, this study proves Jeonshinsajo as a realization method as well as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with superb spirit and energy. Shape is needed for a work to reveal its meaning, but the actual exposure of shape is not a specific story but a sense; thus, the researcher’s sense (consciousness) revealed face-to-face with his works is actually an exposure of superb spirit and energ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issue of discussion by dividing into three stages.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of Jeonshinsajo in the structural aspect to directly realize the researcher’s inner world. Here, to clarify the concept of Jeonshinsajo, that of Gukaizhi and SuShi will be discussed. Next, to discuss superb spirit and energy, it studies superb spirit in traditional paintings of portraits and landscapes, while studying energy with connection to clouds, which is the core symbol of the researcher’s works, and start from the traditional meaning to the point where it reaches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Yet, at this point, this study discusses a few genres (Western paintings, Korean paintings, photography) of Korean modern art prior to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This is necessary reference to prove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in today’s modern view, while building a bridge across the path to go from traditional painting to the researcher’s works. Finally, as a precondition to build the researcher’s inner world, the aspect of being in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will be explained by ligiron --- theory of reason (li) and energy (gi). This is because the researcher’s thought of proving what my being is touches upon the thought system of ligiron, where the origin of all living beings is discussed through reason and energy. That is, putting aside the genetic meaning of ligiron and seeing just the issue of the origin of being, the researcher’s thought of the truth of being touches upon ligiron. This does not embrace all of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but is only to prove the thought of the researcher’s being. It is a process of explaining what the spirit of being living in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is. The researcher’s demonstration of realizing his world of work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s proving the process of realizing ‘consciousness’, which is the same as realizing the ‘inner world’. In fact, the inner realization in a painting only has a choice between objective expression or subjective expression of a painter; the issue of delivering the inner side itself is inevitable. Works embodied regardless of the subject’s intention are already products of consciousness. Therefore, if the subject’s ‘consciousness’ here is defined as an artistic sense to discuss the inner world in paintings, such view will cause an issue of universality. Thu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ims to clarify the fact that such theme of argument has distinctiveness beyond universality, by proving that ‘exposure of the inner world’ within tradition of Oriental paintings is a tradition that connects ideological and pictorial legacy. Also, this study will clarify how such aspect of revealing the ‘inner world’ is shown in the researcher’s works by disassembling and interpreting them. Also, it will focus on the fact that the researcher’s world of works lies within the traditional context revealing the inner world. As a result, what is revealed at the end of these studies is fragmentary; yet, there is significance in finding how the realization of superb spirit and energy is revealed regarding the realization of the traditional inner world in modern Korean art. The researcher focuses on this study because, considering that a work of art is the crystal of an artist’s act and the fruit of his spirit, the realization of the inner world is certainly the value to be pursued beyond all fields of art.;어떠한 것도 인식 할 수 없고 모든 것이 멈춰진 시간이 실제로 존재한다. 자기 자신마저도 인식할 수 없는 이러한 순간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직접적인가하면 모호하고 그런가하면 다시금 명확하게 떠오르는 직관의 순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순간은 경험의 세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를 인식하는 찰나엔 마치 신기루처럼 사라져버리기도 한다. 만약 이러한 순간을 규정짓고자 한다면, 어떤 대상이나 계기에 대한 고도의 몰입을 전제로 한 ‘망아(忘我)’의 순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어느 한 순간 어느 계기에 의해 일어나는 ‘정지된 순간’인 것이다. 여기서 ‘정지된 순간’이란 자신뿐만이 아니라 세상 밖을 향한 모든 인식이 사라지는 순간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순간은 우리의뇌리에 깊숙이 들어와 무의식이란 이름으로 자리 잡으며 하나의 실체로서 드러나기위해 우리의 내면에서 지속적인 충격을 가하고 있다. 연구자의 작품세계는 연구자의 유년시절에 겪은 우물에 비치는 구름에 동화되었던 신비로운 경험으로부터 발원한다. 그것은 바로 앞서 말한 ‘정지된 순간’에 대한 경험이다. 마치 장자의 ‘호접몽’에서처럼 구름이 나인지 내가 구름인지 모호해지는 그러한 순간의 경험은 문득 ‘나라는 존재의 眞’은 가변 하는 육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불변하는 ‘정신’ 즉 ‘내면’에 있는 것 이라는 자각을 하게 하였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자각은 연구자로 하여금 ‘나는 무엇인가?’ 라는 존재의 근원에 의문을 갖게 하였으며 동시에 이러한 의문의 답을 육체가 아닌 정신의 세계에서 구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물로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형상화한 가상의 공간을 창출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작품세계는 ‘나라는 존재와 이를 둘러싼 세계’에 대한 이야기로 함축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라는 존재가 구름으로 ‘동화(同化)’되는 순간엔 현상계에서의 나의 形象(육체)은 무의미 하다. 다시 말해 동화가 일어나는 순간엔 神이라 표현한 나라는 존재의 ‘의식’은 사실상 특정한 形象에 기인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의식’이란 때론 구름으로, 때론 길가의 돌 하나로도 얼마든지 同化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의 나의 形象이란 현상계에서 나를 드러나게 하는 외피에 불과한 것이며 그러므로 나라는 존재의 眞은 내피인 神에 있는 것이다. 그런데 존재에 대한 연구자의 이러한 사유는 사실상 존재의 근원이란 무엇인가 하는 것에 대한 사유와 맞닿아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나라는 존재란 무엇인가를 논증하기위한 ‘존재의 眞’에 대한 연구자의 사유가 만물의 존재의 근원을 理와 氣로서 논한 사유와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존재의 眞에 대한 연구자의 이러한 사유는 연구자의 내면세계를 구성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므로 마땅히 논증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연구자의 작품세계가 존재와 세계에 대한 의식을 형상화하는 것이므로 당연한 절차인 것이나 이로서 새롭게 대두 되어지는 것은 과연 내면세계란 구현될 수 있는 것인가? 하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에 대한 연구자의 답은 ‘의식의 인지 작용’을 근거로 해서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정신의 사전적 의미는 “마음 또는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이나 작용”을 말하는 것이며 그 철학적 의미는 우주의 근원을 이루는 비물질적 실체이다. 따라서 정신이란 실체가 없는 것으로 일종의 ‘의식’으로 규정 할 수 있을 것 이다. 흔히 ‘정신을 잃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곧 의식을 잃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이 때의 현상은 깨어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의 ‘의식’이란 결국 대상을 지각하고 판단하는 ‘인지’기능을 통한 것이다. 그러므로 정신을 구현하는 문제는 결국 의식이 감지한 대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존재의 내면의 세계를 구현한다는 것은 무엇을 인지의 대상으로 삼느냐의 문제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지의 대상은 인간이 가진 ‘경험의 세계’에 기초한 것이므로 또한 구현가능하다는 것이다. 연구자의 경우 의식이 감지할 대상을 경험에 의한 ‘기억과 사유’에 두고 있다. 그리고 이를 형상화하기 위한 현상계의 구체적 사물인 ‘상징체’ 또한 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연구자의 작품세계에는 현상계에서 生이 있는 ‘존재자’들을 상징하는 ‘구름’과 生이 없는 일체의 존재들을 상징하는 ‘돌’과 ‘막대’가 등장하고 있는데 이처럼 연구자는 자신의 내면의 세계를 형상화하기 위한 몇 가지 모티브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자신이 규정한 세계의 속성에 따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자가 창출한 세계는 각각의 존재들의 내면의 공간 안에 내재되어 있는 세계이며 그 속성은 현상계의 존재들의 ‘神이 머무는 세계’이다. 즉 나와 나를 둘러싼 존재들이 실체가 아닌 神의 형태로 드러나게 되는 ‘내면의 세계’란 것이다. 이는 감상자가 한 폭의 훌륭한 산수화를 보면서 깊은 사유를 통해 마치 자신이 그 산수 안에서 居하는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同化의 순간과 흡사한 것이다. 감상자가 산수자연에 同化된 순간 몸은 현상계에 있으나 그 神은 그림 안에서 열리는 세계 안에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인 것이다. 이처럼 연구자가 창출한 세계는 존재들 각자가 ‘몰입’이라는 ‘정지된 시간’을 통해 일종의 망아(忘我)의 순간에 이르게 되면 비로소 펼쳐지는 ‘가상의 세계’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세계는 신기루와 같은 세계로서 존재의 사유에 따라 드러나는 가변적 세계라 할 수 있다. 근본적으로 연구자가 창출한 세계는 구체적 실체가 없는 상상의 산물이므로 이 세계의 법칙을 세우고 구체적으로 형상화 한다는 것은 전적으로 사유의 깊이에 따라 그 모습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와 같은 가상의 세계를 형상화하기위해 수년에 걸쳐 사유의 흐름에 따른 몇 가지 선행조건을 충족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물로서 연구자의 작품세계의 구조적 측면은 약 2년~3년 간격으로 4가지 시리즈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雲(나의 본질인 神)이 표류하고 있다. <Ⅰ-표류시리즈> 이내 忘我의 관문을 통해 (내면의)세계로 흐른다. <Ⅱ-흘러가다 시리즈> 흘러가다 세계의 입구에 다다르면 <Ⅲ-담아내다 시리즈> 세계의 일부로서 절대적 자유를 누리게 될 것이다. <Ⅳ-Wonderland/Storytown 시리즈> 이는 가상의 세계로 가기위한 사유의 흐름을 따른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자의 작품 세계는 하나의 여정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여정은 사실상 현상계의 구체적 양태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이것은 전적으로 연구자 자신의 의식 속 환상인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작품세계엔 앞서 논한 존재에 대한 상징체 이외에도 ‘시간과 공간’에 대한 상징적 이미지들이 구체적 물상1)으로 전환되어 등장한다. 즉 정신적 사유를 실체로서 전환하여 그림으로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연구자의 작품세계가 추구하는 뜻2)이 형이상(形而上)의 세계에 있다 할지라도 그 구현은 형이하(形而下)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형이상의 논리’를 구현하자면 결국은 ‘형이하의 논리’로만 가능하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이것은 비단 예술뿐만이 아니라 그간의 수많은 철학적 담론의 화두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우주론의 창생적 입장에서도 만물을 생성하는 근본인 道나 理도 결국은 氣를 빌어 구체적 가시체로서 드러나는 것처럼 결국 보이지 않는 것을 구체적으로 그리기 위한 작업은 보이는 것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작품세계의 이러한 측면은 연구자의 작품 세계를 고대의 傳神寫照3)란 개념으로 논증할 빌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자 하는 대상이 寫形이 아니라 寫意라는 면에서 이를 구현해내는 구조는 ‘형상으로서 정신을 전한다’는 ‘전신사조(傳神寫照)’의 개념과 일맥상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연구자가 그리고자 하는 대상(기억과 사유)을 깊게 궁구하고 이를 미적 상상(상징체들과 세계)으로서 재구성하며 핍진(逼眞)한 형상으로서 구현해낸다는 면에서 그러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傳神寫照의 개념은 연구자의 작품세계를 그림이라는 하나의 형상으로 가시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적 체계’로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제까지는 연구자의 작품세계가 ‘내면의 세계를 구현한 것’이라는 것과 그 세계 안 에서 ‘존재의 양태’에 대한 연구자의 사유를 밝힌 것이며 이를 구체적으로 ‘형상화 하기위한 방법적 측면’을 논한 것이다. 그런데 이 연구는 연구자의 작품세계를 가시체인 결과물로서 드러내는 구조에 논의의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다. 이는 연구자의 작품 세계가 내면의 세계를 근원을 하고 있기에 본격적으로 작품세계 자체를 논하기에 앞서 세계의 성립조건을 충족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의 작품세계 자체는 神韻과 氣韻으로서 논증할 것이다. 이는 하나의 작품이 그 뜻을 드러내는 데에는 형상이 필요하지만, 드러난 형상이 실제로 드러내 보이는 것은 구체적 형상이 아니라 韻이라 여기기 때문이다. 실제로 연구자 작품과 대면하여 해석되는 연구자의 意(의식)는 결국 神韻과 氣韻의 드러남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논의의 쟁점을 삼단계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연구자의 내면의 세계를 직접적으로 구현해내기 위한 방법적 측면에서 傳神寫照의 개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에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연구자 작품세계 자체의 논증이 아닌 의식을 형상으로 전환하는 구조적 측면에서의 연구인 것이다. 따라서 이때엔 傳神寫照의 개념을 분명히 하기 위해 顧愷之와 蘇軾의 傳神寫照를 함께 논할 것이다. 다음으로, 神韻과 氣韻을 논하기 위해 전통회화인 초상화와 산수화에 드러난 神韻을 연구하는 한편, 氣韻을 연구자 작품의 핵심 상징체인 구름과 관련지어 전통적 의미에서부터 출발하여 연구자 작품세계에 이르기까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다만 이때에는 연구자 작품세계에 앞서 한국 현대 미술의 몇 장르(서양화, 한국화, 사진)를 논하고자 한다. 이는 연구자의 작품세계를 오늘날의 현대적 관점에서 논증하기위한 전거로서 필요함과 동시에 전통적 회화에서 연구자 작품으로 이르는 길에 다리를 놓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내면의 세계를 구성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연구자의 작품세계 내에 있는 존재의 양태를 理氣論을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나라는 존재란 무엇인가를 논증하기위한 연구자의 사유가 만물의 존재의 근원을 理와 氣로서 논한 理氣論의 사유체계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즉 理氣論의 발생적 의미는 접어두고 존재의 근원을 어디에 두는가의 문제만을 놓고 본다면, 결과적으로 존재의 眞에 대한 연구자의 사유는 理氣論과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이는 연구자의 작품세계 전체를 아우르는 것이 아니라 단지 연구자 자신의 존재에 대한 사유를 논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의 작품세계에 居하는 존재의 神이란 무엇인가를 설명하기위한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자신의 작품세계를 구현하는 것을 논증하는 것은 ‘의식’을 구현하는 과정을 논증하는 것이며 이는 곧 ‘내면의 세계’를 구현하는 것과 같다. 사실 회화에 있어서 내면의 구현은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 객관적 표현방법을 택할 것인가 주관적 표현방법을 택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한 선택이 있을뿐이지 내면을 전한다는 문제 그 자체는 필연적인 것이다. 주체의 의사와 관계없이 형상화 되어진 작품은 이미 주체의 의식의 소산이므로 그렇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의 주체의 ‘의식’을 예술적 意 라고 규정하고 회화에서의 내면의 세계를 논한다면 이러한 견해는 보편성의 문제를 야기 시키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서, 적어도 동양회화의 전통 안에서 ‘내면의 세계의 드러남’이란, 하나의 전통으로서 사상적, 회화적 맥을 이어오고 있다는 것을 논증함으로서 이러한 논제가 보편성을 넘어 특수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내면의 세계’를 드러내는 이러한 측면이 연구자 작품에서 어떻게 녹아 있는지를 연구자 작품을 분해하고 해석함으로서 밝히는 한편 연구자의 작품세계가 결국 내면의 세계를 드러내는 전통의 맥락 안에 있음을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들 연구의 끝자락에서 드러나는 것은 비록 단편적이라 할지라도 현대한국미술에서 전통적 내면의 세계의 구현과 관련하여 神韻과 氣韻의 구현이란 어떤양상으로 드러나는가? 라는 것에 대한 의미일 것이다. 연구자가 이러한 연구에 주안점을 둔 것은 예술 작품은 예술가의 행위의 결정체이며 결국 예술가의 정신의 소산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내면세계의 구현이야말로 예술의 각 분야를 뛰어넘어 지향되어야할 가치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기 때문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내면 세계에 대한 형상화 7 A. 이론적 측면 : 傳神寫照 7 B. 방법적 측면 : 遷想妙得 14 C. 전통회화에서 내면의 형상화 : 조선 회화에서의 傳神 중심으로 18 Ⅲ. 전통회화에서 神韻의 드러남 27 A. 神韻의 개념 27 B. 肖像畵에서의 神韻 29 1. 傳神에 의한 神韻의 드러남 29 2. 전통 肖像畵에 드러난 神韻 33 3. 자화상에서의 神韻 : 연구자 작품 我를 중심으로 45 C. 山水畵에서의 神韻 49 1. 송대 산수화에 드러난 神韻 50 2. 조선시대 산수화에 드러난 神韻 55 Ⅳ. 전통회화에서 氣韻의 드러남 62 A. 상서로운 雲과 氣 : 회화에 있어서 雲의 기원 63 B. 전통회화에 있어서 雲과 氣 : 산수중심으로 69 C. 여백으로서의 雲과 氣 72 Ⅴ. 연구자 작품 분석 79 A. 내면세계의 형상화를 위한 선행과정 79 1. 존재의 근원으로서의 理와 氣 : 사상적 연원 중심 81 2. 주희 철학에서의 理와 氣 86 3.한국현대 미술에 나타난 氣韻 93 4. 연구자 작품에서 氣韻의 양태 109 가. 氣의 응집-나(我) 112 나. 氣의 작용-세계(Wonderland) 115 B. 내용면에서 寫意的 : 神韻의 형상화 121 1. Wonderland의 개념 121 2. 작품세계 내에서의 존재양태(樣態) 123 가. 장자와 하이데거식 해석 123 나. Wonderland식 해석 126 3. 존재의 神을 위한 세계의 설계 : Wonderland 130 가. 관념의 세계로의 진입 130 ⑴. 인식의 경계 : 境界 131 ⑵. 몰입의 순간 : 忘我 134 나. 관념의 세계에 대한 재구성 136 ⑴. Wonderland의 구성 체계 136 ⑵. Wonderland의 형상화 : 현상계- 표류 140 중간계- Storytown/담아내다 142 초월계- Wonderland/Storytown 144 C. 형식면에서 形似的 : 神韻의 형상화. (존재의 4가지 초상) 145 1. 나-존재에 대한 상징 : Wonderland/표류 시리즈 147 2. 나-존재의 사유 : Wonderland/흘러가다 시리즈 162 3. 나-존재의 드러남 : Wonderland/담아내다 시리즈 172 4. 나와 세계에 대한 사유 : Wonderland/Storytown 시리즈 179 Ⅵ. 맺음말 185 참고문헌 189 ABSTRACT 1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6627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神韻과 氣韻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연구자 작품 ‘Wonderland’ 중심으로-
dc.format.pagexv, 20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