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철균-
dc.contributor.author최예슬-
dc.creator최예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2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267-
dc.description.abstract디지털 시는 시 문학과 매체 예술의 경계를 탐험하며 혼종적인 질서를 형성한다. 디지털화 된 텍스트는 컴퓨터와 디지털 네트워크 상에서의 언어와 기호체계를 기초로 한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를 시(poetry)에 적용한다. 프로그래밍(programming), 멀티미디어(multimedia), 애니메이션(animation),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 넷 커뮤니케이션(net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하는 언어 예술이며, 창조적이고 실험적이고 유희적인 특징을 가지는 장르이다. 디지털 시는 전통적인 시에 대한 대안적이고 확장적인 총체적 언어 예술이다. 컴퓨터 기반의 언어 예술은 실험 문학, 기술,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분야의 요소들이 혼종적으로 공존하고 중첩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시는 ‘시(poetry)'의 영역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들은 디지털 기술이 본질적으로 서정 문학을 통해 보다 잘 구현될 수 있다고 보았다. 디지털 이미지는 고정적이지 않고 유동적이며 가변성을 띈 채로 존재하는 운동하는 이미지이다. 또한 디지털 기술은 멀티미디어를 구동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다. 따라서 보다 감각적이고 가변적인 디지털 텍스트를 실현하기 위해, 시 문학을 디지털화 하는 텍스트 실험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디지털 시를 시 문학의 하위 장르로 간주하고, 디지털 시를 전통적인 시 문학의 범주를 확장하는 입장으로 논지를 전개하고자 한다. 디지털 시는 시의 본령인 은유(metaphor)적인 속성을 내포한다고 보았고, 전통적인 시에서 나타나는 형식들을 멀티미디어 요소들이 대체하고 보충하며 시 텍스트가 형성된다고 보았다. 은유는 말하고자 하는 원관념을 숨기고 보조 관념을 통해 빗대어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시의 기법이다. 본문에서는 데리다의 보충의 은유(메타포) 개념을 통해 대안적 문학의 성격을 가지는 디지털 시의 은유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시는 디지털화된 자질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시의 영역에 속한다. 디지털 시는 미디어 아트의 영역에 속하지도 않으며, 하이퍼픽션이나 인터랙티브 픽션과 같은 서사 장르의 전자문학에도 흡수되지 않은 채 독립된 장르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디지털 시의 선행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의 장르적 특징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시를 서정의 장르에 속하게 하는 기본적인 자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디지털 시는 다양한 속성을 가진 텍스트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텍스트들에 몇 가지의 기준점을 제시하여 이들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시를 다매체적 서정문학으로 간주하였고, 알라스테어 파울러(Alastair Fowler)의 장르 구분에 따라 서정문학의 본령을 계승하는 하위 장르로서의 디지털 시의 자질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디지털 시는 데리다의 보충의 메타포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데리다는 모든 언어는 메타포를 내포한다고 보았다. 보충의 메타포란, 교환이나 자본에 의한 보충적인 생산이라는 의미·언제나 대체될 수 있다는 속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즉, 디지털 시는 다매체적 요소들을동원하여 텍스트에 시·청각적 오브제들을 결합하여 작품의 주제의식을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디지털 시에 나타나는 멀티미디어성은 인쇄 문학과 문자 언어의 고정성을 해체하고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시 문학의 텍스트성을 보완하고 대안적으로 기능하며 문학의 가능성을 확장하려는 시도이다. 디지털 시는 사용자의 참여도에 따라 정적(static) 텍스트와 동적(kinetic) 텍스트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생성 방식에 따라 절차적(procedure) 텍스트와 유희적(ludic) 텍스트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분류에 따라 정적(static) - 절차적(procedure) 계열, 동적(kinetic) - 절차적(procedure) 계열 , 정적(static) - 유희적(ludic) 계열, 동적(kinetic) - 유희적(ludic) 계열로 유형화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시의 각 유형에 해당하는 작품 분석을 통해 각 텍스트들이 시·청각 오브제들을 어떤 방식을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Digital poetry is exploring the boundaries of art, literature and media, and at the time of the hybrid-order form. Digitized text on computers and digital networks are based on the system of language and symbols of communication changes apply to poetry. Digital poetry is an alternative is extensive and comprehensive language arts. Computer-based language arts experimental literature, technology, media art elements of various fields such as hybrid ideally coexist and overlap. Nevertheless, digital poetry has been researched as the area of poetry. These are digital technology essentially lyric literature saw that could be implemented through better. Digital images are not flexible and fixed a glaring variability while exercising is an image that exists. In addition, digital technology is capable of driving conditions for multimedia, therefore, trying to experiment with poetry, digitizing text, more sensuous and variable to realize digital text. In this paper, digital poetry has been considered multimedia lyric literature. Depending on the Alastair Fowler's distinction of genre, to succeeding as a sub-genre about the qualities of digital poetry. Depending on the user's participation, digital poetry can sort as static texts and also kinetic texts. Depending on how the generated text, digital poetry can sort as procedure texts and ludic texts. Depending on each of classification, it can type at series: static - procedure series, kinetic - procedure series , static - ludic series, kinetic - ludic series. Here is the work of each type of digital poetry, analysis of each of the text are: hearing what people look at a way metaphorically expre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 제기 및 연구사 검토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5 Ⅱ. 디지털 시 장르의 특성 8 A. 다매체적 서정 문학 8 B. 텍스트의 심미화와 조형성 강화 16 C. 혼종적 대안 문학 23 Ⅲ. 디지털 시의 유형 분류 29 A. 사용자의 참여도에 따른 분류: 정적(static) 텍스트와 동적(kinetic) 텍스트 29 B. 텍스트 생성 방식에 따른 분류: 절차적(procedure) 텍스트와 유희적(ludic) 텍스트 36 Ⅳ. 디지털 시 유형에 따른 특성 분석 42 A. 정적(static) - 절차적(procedure) 계열 43 B. 동적(kinetic) - 절차적(procedure) 계열 47 C. 정적(static) - 유희적(ludic) 계열 51 D. 동적(kinetic) - 유희적(ludic) 계열 59 Ⅴ. 결론 67 참고문헌 70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12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디지털 시의 유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ypes of Classification in Digital Poetry-
dc.creator.othernameChoi, Ye Seul-
dc.format.pagevii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