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미-
dc.contributor.author권혜인-
dc.creator권혜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4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4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공연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무용공연에서 소셜미디어의 활용방안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를 단지 정보전달의 매체로만 사용 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과 소통하기위한 매체로써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무용공연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를 위해 소셜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단체인 국립발레단, 국립현대무용단, NOW무용단, 서울시무용단, 서울발레시어터를 인터넷 조사지를 통해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의 조회 수가 높지 않다. 둘째, 소셜미디어가 공연단체의 주도로 운영된다. 셋째, 유튜브 등의 소셜미디어 공식채널이 부족하다. 넷째, 공연감상과 관련된 실시간 반응이 부족하다. 위에서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무용공연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실정에 맞는 소셜미디어 활용이 필요하다. 국내 무용공연단체의 소셜미디어는 1만명 내외의 낮은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다. 공연 관람객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활발한 교류의 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려면 국내 네티즌들의 인터넷 사용에 맞는 소셜미디어를 사용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네이버, 다음과 같은 자주 이용되는 검색엔진에서 개발한 네이버 블로그, 다음의 요즘과 같은 소셜미디어 사용을 통해 국내 네티즌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촉진할 수 있다. 둘째, 소셜미디어의 이벤트 활용이 필요하다. 공연단체의 주도하에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주객전도식의 소셜미디어가 아닌 무용 관람객들이 스스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교류하게 하는 방안으로서 이벤트의 활용이 요구되어 진다. 이러한 이벤트는 단순한 퀴즈 형식이 아닌 장기적인 참여를 통해 무용공연단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이벤트가 필요하다. 셋째, 예술극장과의 공동 소셜미디어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활용사례 분석결과 유튜브 등의 소셜미디어 공식채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무용공연단체는 무용의 공연과 오프라인을 통한 홍보, 티켓 판매 등에 관한 지원인력이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홍보 관련 담당 부서가 있을 리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예술극장과의 제휴를 통한 공동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실시간 업데이트를 위한 앱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무용공연단체의 소셜미디어는 실시간 즉각적인 반응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무용공연은 단기간 공연하고 종료되는 시간적 제약을 갖기 때문에 단기간에 공연에 대한 평가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셜미디어의 특징인 실시간성을 통한 즉각적인 공연에 대한 정보, 평가 등이 업데이트 되어서 활발한 교류의 장을 만들어야 하는 무용공연단체는 이러한 실시간성 확보를 위한 앱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의 무용공연단체는 대부분 홈페이지나 카페,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나 소셜미디어를 운영하는 무용단체는 많지 않다. 하지만 공연예술의 특성상 일회성, 즉시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무용공연에 대한 이해와 참여를 촉진하여 침체되어있는 무용공연의 활성화를 위해 소셜미디어의 사용은 불가피하다. 또한 소셜미디어의 활용은 안무가에게 관객과의 소통을 통해 예술작품의 영감을 얻고 교류를 통해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다. 본 논문 외에도 무용공연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 무용공연의 발전에 훌륭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dance companies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 use of social media and analyzed how to better use. In this paper, social media, just used as a measure of information delivery, rather than a tool for communicating with the audience, and investigated ways to take advantage of this. In this paper, we study the use of Korea dance companies social media, commonly used for the National Ballet, the National Contemporary Dance Company, NOW Dance Company, Seoul Metropolitan Dance Company, Seoul Ballet Theater whether the Internet through the use cas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views of social media is not high. Second, the social media audience, led by a non-performance companies are used. Third, the official social media channels such as YouTube are lacking. Fourth, the show lacks real-time response associated with listening.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ed local dance companies presenting ways to use social media are as follows. First, Korea's Free to use social media for your needs. Korea dance companies of around 10,000 people in the social media has recorded a low number of views. The interactive performance through social media to create a forum to exchange vigorous Korea netizens use the Internet should be used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In other words, Naver, the following frequently used search engine, developed by Naver blogs, social media, such as the following days through the use of local netizens can facilitate the use of social media.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cial media event. Performing companies under the chairmanship of the shopping cart before the horse to provide information unilaterally conducting an expression that is not social media dance and exchange visitors to form their own community as an event of the utilization measures are required. This event is not just a quiz format with long-term participation in dance events that may be of interest companies is required. Third, the Arts Theatre in collaboration with the social media content need to be developed. YouTube social media, such as use case analysis showed that lack of formal channels. In fact, dance companies dance through performances and offline advertising, ticket sales are very low regarding the support staff. Therefore, they can not have public relations departments. Therefore,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via a partnership with the Arts Theatre of the content need to be developed jointly. Fourth, the real-time updates for the apps need to be developed. Traditional dance companies of social media in real time showed that lack of immediate reaction. However, dance performances and a short time because it has termin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constraint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updated in real time. Thus, the hallmark of social media with real-time availability information for immediate performance, evaluation and update to create opportunities for active exchanges doeeoseo dance companies and real time, these apps need to be developed to attract. Most of Korea's dance group home page, or cafes, blogs and social media to operate, but there are not many dance companies. However, a one-off nature of the performing arts, and dance performances to overcome the limits immediately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has stagnated and dance performances for the activation of the use of social media is inevitable. In addition, the use of social media to communicate with an audience through a choreographed works of art inspired by the flow can lead to gonggam. In addition to this paper, dance organizations on ways to leverage social media, research, and these efforts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evolution of dance seems to be a great pav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및 제한점 4 II. 국내 무용공연단체 현황 및 소셜미디어의 개념 6 A. 국내 무용 공연 단체 6 1. 국립도립시립 무용단 7 2. 사설개인 무용단 8 3. 무용공연단체 현황 13 B. 소셜미디어 15 1. 소셜미디어의 개념 및 특성 15 2. 소셜미디어의 유형 17 3. 소셜미디어의 현황 28 4. 기존매체와의 차이점 33 III. 국내 무용공연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사례분석 35 A. 연구 절차 36 B. 연구 대상 37 1. 국립발레단 37 2. 국립현대무용단 48 3. NOW무용단 58 4. 서울시무용단 62 5. 서울발레시어터 66 C. 조사 도구 72 1. 인터넷 조사지 72 D. 자료처리 74 1. 자료 수집 74 2. 자료 분석 75 E. 결 과 77 IV. 국내 무용공연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방안 81 A. 한국의 실정에 맞는 소셜미디어 활용 81 B. 소셜미디어의 이벤트 활용 83 C. 예술극장과의 공동 소셜미디어 콘텐츠 개발 84 D. 실시간 업데이트를 위한 앱 개발 85 V. 결 론 86 참고문헌 89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01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내 무용공연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방안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icient Use of Social Media for Dance Company in Korea-
dc.creator.othernameKwon, Hae In-
dc.format.pagexii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