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무용창작작품 「The Glass Ceiling」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창작작품 「The Glass Ceiling」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Creative Dance Work 「The Glass Ceiling」
Authors
홍현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산업화시대가 저물고, 컨버전스(covergence)와 크리에이티브(creative)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현대 사회는 창의성, 감수성, 다양성, 유연성 등 여성적이고 예술적인 역량을 요구한다. 이는 비단 문화 예술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경쟁사회가 우리 시대에 요구하는 핵심 성공 역량으로도 여겨진다. 이로 인해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 인재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정-재계에 영향력 있는 인사로 많은 수의 여성이 거론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남성에게 편중되어있는 사회적 인식과 제도들이 잔존해 있으며, 이는 여전히 여성들의 사회 활동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시대에 나타나는 여성의 사회적 장벽 중 특히 사회활동을 하는 여성의 유리천장 현상을 직시하고, 이를 통해 무용창작작품『The Glass Ceiling』으로 형상화 하여 청중의 인식변화를 촉구하고자하였다. 나아가 효과적인 의식 전달을 위하여 본 작품의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과 움직임, 음악, 의상과 오브제 등에 내포된 안무가의 의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창작작품『The Glass Ceiling』은 여성의 고위 관리직 진출을 가로막는 사회적 장벽인 유리천장 현상을 주제로 이를 표현함으로서 아직도 잔재하고 있는 남성 중심적인 사회를 관객에게 자각시키고, 또한 그 장벽을 극복했다 할지라도 여성으로서의 신체적 한계를 강조하는 사회적 현상을 비판하고자 하였다. 둘째, 작품의 공간구성과 움직임의 특질은 장면별로 대조를 이루며 여성의 심리적 변화를 보여준다. 1장과 3장의 주된 움직임인 수축하는 포스처(posture)는 여성의 자신감 상실과 불안함을 표현한 것이고, 2장에서는 남성 무용수가 직선 형태로 상승적인 움직임을 주로 보이는 반면 여성 무용수는 무거운 밀도를 사용하여 유리천장을 극복하기 위한 강한 의지를 나타낸다. 특히 2장 후반부에 여성 무용수를 높이 들어 올림(lift)으로 남성무용수와 평면적 차별을 둔 것은 본 작품에서 가장 역동적인 부분으로 유리천장을 극복한 여성의 모습을 이미지화 한 것이다. 1장과 3장의 이동경로는 직선위주의 단조로운 형태이며 이와 대조적으로 2장은 복합적인 마루 형태를 사용하였다. 셋째, 작품에서 사용된 음악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가 작곡한 「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 -Gustavo Duramel 버전) 중에서 3곡(1부 제1곡, 2부 제5곡, 2부 제6곡)을 선택하였다. 역동적인 사회 고발적 특성을 느끼게 해주는 이 곡은 당시대의 원시적 제사의식에 대한 것으로서 전반적으로 여성의 희생적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본 작품에서 남성의 시각으로 바라 본 전시(展示)적 목적의 여성을 드러내는데 효과를 더하였다. 넷째, 작품의 의상은 사회적인 성 정체성을 구분 짓기 위해 남녀 의상에 차별을 두고 색을 사용하였다. 여성무용수 의상은 상처받기 쉬운 헐벗은 느낌의 누드 색과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 붉은 색을 사용하였는데 첫째는 사회진출을 하고자하는 욕망과 열정의 의미를, 둘째는 출산과 양육을 상징하는 여성성을 나타낸다. 남성무용수 의상은 강인함을 보여주는 상체 탈의와 어두운 힘을 보여주는 검정색의 바지를 착용함으로서 남성성을 극대화 시켰다. 작품을 위한 오브제는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높은 계단과 가면을 사용하였는데, 계단은 사회적 성공을 의미하고 높을수록 지위가 상승됨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가면은 남성의 이중적 잣대를 보여주는 장치로서 여성을 바라보는 기존의 가부장적 시선과 현대의 평등한 시선이라는 의미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무용창작작품『The Glass Ceiling』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현 사회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여성문제를 재해석하고, 대중과 소통하고자 안무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여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관객에게 제시함으로서 작품이 주는 의미를 통해 여성의 사회적 인식 변화에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는 모티브가 될 것이다. 아울러 세상과 소통하는 사회적, 예술적 통로로서의 무용이 활성화되기 위해 앞으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With the fall of the industrial era and the rise of the era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for ideas, the modern society demands feminine and artistic abilities and skills such as creativity, sensitivity, variety, flexibility and etc. Such abilities and skills are deemed to be key characteristics required in the modern era for success not only in the world of arts but also in the business realm which is very competitive. As a result, the women’s participation in various areas of society is on the rise, and multiple numbers of women are recognized as very influential and powerful in the business and political worlds. Not with standing the foregoing, many old social and structural systems favorable to men still exist and they function as social obstacles for women from rising to the upper lungs of the corporate ladder or other career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glass ceiling phenomenon prevalent in the modern society for career women in particular and to promote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that the audience has on women by giving the art performance called 『The Glass Ceiling』a shape and form. In this report,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the intent of the performers,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such as the subject and contents of the performance, use of space and movement, music, costumes and objects used in the performance is described hereunder. First, through『The Glass Ceiling』, the performers attempt to expresses the glass ceiling phenomenon, which works as an obstacle against women from rising to the upper lungs of the career ladder, in order to remind the audience of the still existing male-dominated society and criticize the modern social phenomenon that emphasizes the physical limitation of women even if women somehow overcome such obstacle of the glass ceiling.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position and the movement contrast on each scene to show the mental changes in women. The contradicting postures mainly used in chapter 1 and chapter 3 express insecurity and loss of confidence by women. In chapter 2, the male performer frequently makes vertical rises while the female performer uses heavy dances to show women’s strong will to overcome the glass ceiling hurdle. In particular, the imposition of dimensional distinction between the female performer and the male performer through lifts is the most dynamic part of the performance, which shows the image of women who overcame the obstacle of the class ceiling. While a lineal type of simple floor patterns was used in chapter 1 and chapter 3, in contrast complex floor patters were used in chapter 2. Third, the music used during the performance were 3 pieces of music (chapter 1-1, chapter 2-5, and chapter 2-6) from「Le Sacre de printempts (Gustavo Duramel version)」 composed by Igor Stravinsky. This music piece, which is about the primitive ritual of the time, makes the audience be aware of the dynamics existing in the modern society. Since this music piece generally means and represents women sacrifice, it added the effect of unveiling the superficial layer of women existing in the men’s viewpoint. Fourth, the colors of costumes for male and female performers are different in order to show the distinctive social gender identities between men and women. For female performers, two colors were used in the performance: the fleshed-colored costume representing weak body and the red costume representing the passion and desire of women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and the image of a womb symbolizing birth and nurture. Male performers wore black pants while going topless to show toughness and manliness. Objects used in the performance were stairs and black masks that are easily found in real life. The stairs represent success which grows bigger with more steps climbed while the mask is a tool showing double standards prevalent in the men’s mind. As such,『The Glass Ceiling』re-interprets the problems faced by women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physical movements, and it was choreographed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Such study will function as motives and catalysts to bring changes in the social awareness for women by presenting new ways to view women to the audience. In addition, I hope that a variety of similar follow-up studies can be undertaken in order to make dance a communicative channel between the society and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