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말복-
dc.contributor.author최윤정-
dc.creator최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14-
dc.description.abstract순조조(純祖祖)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 대리청정시기(代理聽政時機, 1827~1830)의 연향은 양적ㆍ질적으로 발전하여 정재사의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리청정 3여년의 기간 동안 연향횟수가 증가하고 레파토리의 양적 확장이 시도되었다. 뿐만 아니라 심미관의 변화로 문화예술이 한층 성숙한 단계로 들어섰다. 본 논문은 예술사의 발전에 기여한 당대의 궁중무용을 효명세자의 영향력과 사회-문화라는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즉, 연향에서의 궁중무용이 반향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던 이유로 효명세자의 탁월한 예술성과, 그의 재능이 당시 사회와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의 연향(宴享)과 정재(呈才)에 드러난 예술적 지향성(志向性)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순조조 주요상황을 사회개혁사상으로서의 실학, 새로운 예술 수용층의 등장, 그리고 효명세자의 정치적 행보로 분류하였다. 또한 효명세자의 문예관을 통해 그의 예술적 소양을 가늠하였다. 이후 연향과 정재의 구성을 살펴보고 인접 예술과의 상호관계성을 고려하여 표현양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효명세자의 연향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가 왕실의 위상을 높이려한 하나의 통치방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경당(延慶堂) 진작(進爵)으로부터 예술지향적이고 성숙한 정재스타일이 확립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새로운 양식의 도입과 자주성의 강화는 진경시대의 문화적 기류에서 발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과도적 표현양식’에서는 효명세자의 예술적 감각과 당시 사회문화적 풍토가 창작에 기저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통속적 구성’에서는 무용을 구성하는 각 영역이 지시적 기법과 사람의 본질적인 감정인 ‘쾌(快)’를 추구하는 작품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대중과 공감하기위한 방향으로 나아갔음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당시의 사회 문화적 특성이 후대의 문화인식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는 점과 연향과 정재에 열성적인 지지를 보낸 효명세자가 안무의 기획ㆍ제작 과정에서 멘토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19세기초반 문화전성의 원인을 문화 사회적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따라서 그 시대의 감각을 일깨움과 동시에 정재를 해석하고 수용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시각의 지표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정재의 내적 가치에 대한 후속연구의 밑바탕이 됨으로써, 본 연구가 전통의 올바른 계승과 성공적인 무용예술의 탄생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The court banquet(宴享) in the period of the crown prince Hyomyung(孝明世子, 1809~1830) acted as regent of King Sunjo reign(純祖祖) had progressed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so that it is evaluated as a significant turning point of the history of court dance(呈才). Three years of regency(代理聽政時機, 1827~1830), the number of banquets had increased and expansion of repertoire was attempt. Furthermore, cultural art entered into a mature stage since the aesthetic perspective had changed. This article examined the court dance of the regent period, which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art history, in two ways- influence of Hyomyung and correlation with culture of the society. In other words, the reasons that court dance created a sensation were the exceptional artistic talents of Hyomyung and the association between his talents and society of the day. Through this, the directivity of art which is represented in the court banquet and court dance was researched. In this paper, essentials that affected the court dance in King Sunjo reig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Silhak(實學) as an idea for social reformation, emergence of new class which appreciated art, and political movement of the crown pince Hyomyung. Through his literary viewpoint, artistic accomplishment of Hyomyung was estimated as well. With these examinations, compositions of the court banquet and court dance were researched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representation were analyzed by considering interrelation with adjacent arts. In 'compositional aspect,' it was confirmed that a considerable support of Hyomyung towards court banquet was one of the governing styles to soar the royal prestige. It is defined from Yeonkeong-Dang(延慶堂) Jinjak(進爵) that a mature sense of art established a new style of court dance. Also, it was recognized that introduction of the new style and reinforcement of initiative were progressed from cultural atmosphere of Jinkyung(眞景) era. In 'transitional idiom,' it was identified that creation of court dance were based on the artistic sense of Hyomyung and cultural climate of those days. In 'common constitution,' it was discovered that each parts which constitutes dance moved forward to arouse sympathy of the public by accommodating denotative technique and art works which seek pleasure, an essential sentiment of human-being. To conclude, it is confirmed that cultural features of the period affected cultural awareness of posterity significantly. In addition, it is also apprehended that Hyomyung who was an earnest supporter of the court banquet and court dance took a crucial role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making of the choreography.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dealt with the causes of the cultural golden age in the beginning of nineteenth century from the sociocultural aspect. Therefore, there is a significance that it provides a new indicator needed to interpret and accept court dance as well as arouses the sense of the tim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paper would contribute to inherit the traditional heritage and to create the successful Art of Dancing by underlying post-research towards intrinsic value of court d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7 Ⅱ. 효명세자 대리청정 시기의 정치와 예술 10 A. 효명세자의 정치적 입장과 사상체계 11 B. 효명세자의 저술과 문예관 20 C. 문화의 새로운 동향 30 Ⅲ. 효명세자 대청시 정재의 실현 양상과 예술적 지향 44 A. 연향의 구성 45 B. 정재의 구성 56 C. 과도적 표현양식 65 D. 통속적 구현 76 Ⅳ. 결론 85 참고문헌 89 부록 94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998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효명세자 대청시(代聽時) 정재의 실현양상과 예술적 지향성(志向性)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alization of Court Dance and its Directivity of Art in Hyomung Regency-
dc.creator.othernameChoi, Yun Jeong-
dc.format.pageviii,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