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말복-
dc.contributor.author신하라-
dc.creator신하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46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브레히트의 서사극적 구조와 소외개념이 내재되어진 피나 바우쉬의 무용극을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현 시대에 새로이 창작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표현적 안무 방향에 있어서의 그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론적 연구를 뒷받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푸른수염」을 크게 ‘사회적 불안의 형상화’, ‘자연을 지향한 휴머니즘’, ‘제시(提示)를 통한 극의 전달’로 나뉘어 살펴보고, 극의 흐름 안에서 음악, 움직임, 주제, 무대소품 그리고 관객과 수용으로 세분화 시켜 면밀히 알아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피나 바우쉬의 작품「푸른수염」에는 무용과 연극이 접목되어져 언어와 대사, 주제적 의미를 내포한 무대소품, 독자적으로 활용되어진 음악, 인간의 사회적 위치와 형상을 내포한 게스투스 신체 연기법 그리고 극의 흐름에 맞춰 진행되어진 극적인 상황 연출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된 점은 브레히트의 서사극적 구조와 소외개념이 피나 바우쉬 작품들에서 일관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브레히트는 이전의 전통극과의 차별화를 만들기 위하여 그의 서사극에서는 무대 소품, 음악, 무대 장치 그리고 게스투스 신체 연기법을 통하여 소외 효과와 연극을 접목하였고, 이는 관객들의 극중 몰입과 감정이입을 막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 사용되었었다. 이는 관객들이 현실적이고 비평적인 자세로 극을 평가하고 더 나아가 극이 끝난 이후엔 연극을 통하여 새로이 정화되기를 바라는 교육적인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지닌 브레히트의 서사극적 구조와 소외 개념 이론은 피나 바우쉬의 작품들 중에서도 1977년에 탄생된「푸른수염」에서 더욱 그 형태를 현저하게 나타낸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브레히트의 서사극적 구조와 소외개념 기법을 활용하여 그녀만의 독특한 무용극 형식을 선보인 피나 바우쉬의 작품은 인간의 고독, 사랑과 불안, 폭력과 파괴, 슬픔과 기쁨의 감정들을 다루며 당시의 기계문명과 자본주의 문명으로 얼룩진 사회의 부조리한 상황을 표현해 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그녀만의 메시지 전달 방식으로 그녀는 ‘무용극’을 통하여 혁신적이며 획기적인 작품들을 창작해 내었다. 본 논문은 무용극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무용세계의 이해를 돕고, 현대 무용 안무형식의 다양한 방향을 모색하는데에 그 기반이 되길 바란다. 또한 이를 통하여 이론과 감상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혁신적인 한국의 무용극 발전을 기대해본다.;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not only to set the value of the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which have been created in this contemporary age but also to support their theories with analyzing the alienation technique theory and the epic theatre of Bertolt Brecht which influenced Pina Bausch’s dance theatre works.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after analyzing Pina Bausch’s work, “BlauBart” which expresses “humanism toward nature” and “social anxiety” in her dramatic style, the researcher carefully observes her unique style, a blend of movements, sounds and prominent stage properties which made her possible to reach a wider audience. In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articulates that her work, “BlauBart” is constructed of short units of dialogue, stage properties which includes its theme, eclectic music, Gestus which makes visible a character’s social relations and the manner of performance which enhances her work, “BlauBart.”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the alienation technique and the epic theatre of Bertolt Brecht consistently influenced her works; Bertolt Brecht in his epic theatre used stage properties, various sounds, stage settings and Gestus to compound his epic theatre with the alienation technique. In other words, these various tools were used for audience not to be empathized with drama because Bertolt Brecht wanted them to criticize his theatre in reality as well as to learn something for an educational purpose. This study shows that the alienation technique theory and the epic theatre of Bertolt Brecht had an effect on Pina Bausch’s work, “BlauBart” which was created in 1977 Pina Bausch’s dance theatre works in her unique style, with using Bertolt Brecht’s alienation technique theory and epic theatre, reveal a variety of human feelings such as solitude, love, anxiety, violence, destruction, sorrow and joy. By doing so, she wanted to criticize machine civilization and capitalism which produced the social absurdities of her age. In this situation, she created her unique and innovative dance theatre works that became her communication tools with which she kept sending her message to the world. This dissertation will help people better understand the world of dance in terms of “dance theatre,” and will become a foundation of searching a variety of new choreographic settings and tools in this contemporary society. Throughout this effort,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e Korean dance theatre constantly and innovatively improves itself to gain worldwide recogni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10 A. 피나 바우쉬의 생애 10 1. 피나 바우쉬의 예술관과 활동 11 2. 탄츠테아터(Tanz Theatre) 15 B. 피나 바우쉬에 나타난 브레히트의 기법 22 1. 브레히트의 서사극적 구조 22 2. 브레히트의 소외개념의 정의 36 3. 게스투스 신체 연기법의 응용 41 Ⅲ. 피나 바우쉬 작품「푸른 수염」분석을 통해 보여지는 무용극 고찰 48 A. 「푸른 수염」(1983) 49 1. 사회적불안의 형상화 49 2. 자연을 지향한 휴머니즘 57 3. 제시(提示)를 통한 극의 전달 65 Ⅳ. 결론 75 참고문헌 79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31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푸른 수염 (BlauBart)」에 내재된 피나 바우쉬의 무용극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베르톨트 브레히트 소외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Characteristics of Pina Bausch's Tanz Theatre Which Is Embeded in BlauBart : With Bertolt Brecht's Alienation Technology Theory-
dc.creator.othernameShin, Ha Ra-
dc.format.pagevi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