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종선-
dc.contributor.author최은아-
dc.creator최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2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기를 사회적 배경으로 그 시기에 활동했던 여성 음악가들의 활동변천을 노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시기 미국은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이전 시대와 현격히 다른 거대한 사회 변화의 물결 속에 있었고 음악도 이러한 변화무쌍한 사회적 분위기로 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와 같은 급격한 사회 변화는 18세기말의 프랑스 혁명과 20세기 초의 제 1차 세계대전 등의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이들을 통해 기존의 남녀차별, 신분제 등의 봉건 사회구조는 무너지고 민주주의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사회전면에 등장해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가 가장 중요한 이념이 되었다. 자유와 평등이라는 새로운 가치관 속에서 여성의 교육기회와 사회 참여 기회는 자연스럽게 증가했고 음악 분야에서도 여성들의 활동이 서서히 많아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여성 음악가들은 남성음악가에 비해 편견 받는 경우가 많았다.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 1819-1892)이나 알마 말러(Alma Mahler, 1879-1964) 등의 뛰어난 재능을 가진 여성 음악가들도 편지나 자서전을 통해 음악이라는 예술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게 되는 보수적인 사회적 분위기를 꼬집었다. 여성 지휘자로서 활동했던 에텔 레진스카(Ethel Leginska, 1886-1970)도 역시 여성이기 때문에 남성들에 비해 음악가로서 성공하고 인정받기 어려운 남성 중심적인 음악환경을 지적하며 여성 음악가들이 개척해 가야 할 진취적인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여성 음악가들의 삶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첫째, 과거 여성 음악가들이 남성 음악가 중심적인 이데올로기 안에서 차별받지 않고 공정하게 인정받을 수 있도록 끊임없는 음악적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과 둘째, 이 여성 음악가들의 음악적 재능과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 여성 음악가들이 과거와는 달리 남녀차별이나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운 사회적 환경 속에서 음악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 마지막으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뛰어난 과거 여성 음악가들의 작품들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해서 현재 여성 음악가들 스스로가 그들의 음악 및 활동을 보다 더 다양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 논문을 통해 '여성'이라는 '다름'의 이미지를 만들어 음악사 속에 '여성'들만의 배타적인 영역을 만들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다만 과거 여성 음악가들의 삶과 그 시대를 삶았던 그들의 예술적, 문화적 감수성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조명해서 여성 음악사도 보다 풍성해 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과거 여성들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편견과 관습적 제약이 있던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도 음악을 향한 여성 음악가들의 끝없는 열정과 진취적인 노력의 모습을 20세기 초 미국 클래식 오케스트라 여성 음악가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고찰해보고, 더 나아가 이 기회를 통해 그동안 주목 받지 못했던 과거 여성 음악가들의 삶의 흔적이 담긴 다양한 작품들이 알려져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여성 음악가들이 현대적 관점에서 이들을 재해석하고 재조명하는 계기되어 현재를 살아가는 여성 음악가들에게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총체적인 그림을 보여주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lives and works of women musicians, who have been overlooked in the male-dominated history of Western classical music. By looking at historical examples of female musicians from the American Classic Orchestra perio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will examine the endless passion and efforts towards advancement shown by women musicians despite the prevailing conservative social climate and restrictions which were placed on their social participation at that time. Hopefully, this study will help to shed light on some of the neglected works which remain as testament to the lives of these women musicians and thereby provide an opportunity for women musicians in the 21st century to rediscover and reinterpret their predecessor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examination of female musicians from the early 19th century to 20th century with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at period. At that time, the U.S. was undergoing dramatic changes in the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sectors, and this ever-changing social atmosphere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music as well. This radical social change followed from events like the French Revolution at the end of 18th century and the First World War in the early 20th century. Through these events, the feudal social structure and its concomitant gender discrimination and caste system collapsed, giving way to a new democratic paradigm which held freedom and equality as its most important values. With freedom and equality embraced as essential values, women were naturally given mor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their musical activities began to increase. Yet,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female musicians were still faced with prejudice on many occasions. Brilliant women musicians such as Clara Schumann (1819-1892) and Alma Mahler (1879-1964) complained in their correspondence and autobiographies about the conservative social atmosphere and gender discrimination women suffered in musical activities. Female conductor Ethel Leginska (1886-1970) also pointed out the hurdles to gaining recognition and becoming successful that women faced in a male-dominated musical environment, and suggested a progressive course for pioneering female musicians. Several conclusions are reached through this analysis of the lives of female musicians: first, that female musicians endeavored tenaciously to be fairly recognized for their music in the male-dominated musical culture of the past second, that their musical talent and efforts paved the way for the current musical environment enjoyed by contemporary women musicians, in which they can freely perform and study music, unfettered by prejudice or gender discrimination third, that contemporary women musicians need to reinterpret and rearrange the neglected works of distinguished female musicians of the past from a modern perspective, so that they may thereby enrich and diversify their own music. To be sure, the aim of this study is not to carve out an exclusive female domain from within musical history by painting "women" as being "different". Rather, it attempts to shed a modern light on the lives of women musicians in the past as well as their artistic and cultural sensitivity, and in doing so enrich the history of women musicians. By looking closely into the efforts of female musicians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present to contemporary women musicians a holistic picture of the way forwar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음악과 여성 3 A. 여성 음악가의 삶과 활동 3 B. 여성 음악가의 발전 : 미국의 여성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10 Ⅲ. 여성 음악가들의 미래 활동 계획 20 Ⅳ. 결론 28 참 고 문 헌 30 부 록 34 Abstract 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94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근대 여성 음악가들의 지위와 활동에 대한 통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flections on Women's Contributions and Status in Modern Classical Music-
dc.creator.othernameChoi, Eun A-
dc.format.pagev, 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