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종진-
dc.contributor.author박준라-
dc.creator박준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25-
dc.description.abstract산조(散調)는 19세기 말엽에 형성된 음악으로 허튼 가락 또는 흩은 가락이라는 말로 남도지방의 무속음악(巫俗音樂)과 관련이 있는 시나위를 기조(基調)로 하여 판소리의 영향을 받아 정립(政立)된 민속악의 가장 대표적인 기악 독주곡(器樂獨奏曲) 형식이다. 김창조로부터 그 틀이 짜여 졌는데 가야금 산조를 시작해 거문고, 대금, 단소, 피리, 해금, 아쟁 등으로 이어지고 대체로 판소리의 장단을 사용하며 그 장단에 의하여 악장이 구분된다. 단소 산조는 창시자로 알려진 전추산 단소산조 이외에 최옥삼제 한시준류, 이생강류 등이 있는데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소산조의 창시자로 알려진 전추산의 제자 이생강의 호는 죽향(竹香)이고 본명은 이규식(李圭植)이며 1937년3월16일 일본에서 태어났다. 현재 우리나라 중요무형문화제 제45호 대금산조예능보유자이고 관악기의 명인으로 알려졌으며 그의 대금산조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생강 단소산조에 대해서는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오선보로 이생강 단소산조 음악을 채보한 후 단락을 구분지어 선율연구를 하고 그의 스승인 전추산의 단소산조와 비교하여 전승과정과 새로운 창작가락을 살펴보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생강 단소산조의 진양조는 6박(♩. ×6 )을 한 장단으로 하여 총 64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율의 본청(淸)과 선법의 변화로 총 11개의 단락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이생강 단소산조 진양조에서 사용된 선법에는 f본청 계면선법, ab 본청 우조선법, ab본청 평조선법, db본청 우조선법, bb본청 계면선법으로 총 다섯 가지의 선법이 쓰였는데 전추산에 비하여 평조선법이 더하여 졌다. 셋째, 이생강 단소산조 진양조에 출현한 음은 c, d♭, e♭, f, a♭, b♭ 등 여섯 음이었고, 이들 음은 선법 고유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전추산에 비하여 잔가락이나 경과음 등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넷째, 이생강 단소산조 진양조는 단소산조의 원형이라고 하는 전추산 단소산조 진양조의 제1장단부터 제20장단까지 유사한 선율의 형태를 보였고 그 형태를 비교하면 유사선율은 25%이고 변형선율도 25%이며 상이선율은 50%이다. 이는 이생강 단소산조가 전추산의 단소산조 선율을 그대로 연주하지는 않고 꾸밈음을 더하고 리듬을 세분화하면서 더욱 화려한 시김새를 첨가하여 음악을 발전 확대시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이생강 단소산조의 제21장단부터 제64장단에서는 변형선율은 9.09%이고 상이선율은 90.91%로 이생강의 창작선율을 선보였다. 다섯째, 이생강 단소산조 전체 장단 중 유사선율은 7.81%를 차지했고 변형선율은 14.06% 그리고 상이선율은 78.13%를 차지하였다. 특히 이생강 단소산조 진양조의 제21장단 이후 가락은 전추산 단소산조와 구분이 되는 이생강의 창작선율이 더하여 발전된 단소산조 음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즉 이생강은 전추산에게 전승받은 가락을 바탕에 두고 있으나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시김새를 화려하게 첨가시키고 시가와 리듬을 세분화시키며 기교와 조성의 다양한 변화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장단을 확대하는 등 자신의 음악적 해석을 첨가, 발전시켜 단소산조를 연주한 음악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런 이생강의 단소산조는 전추산의 타계이후 직접전승이 거의 단절된 단소산조를 후대에 재해석하여 연주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고, 다양한 단소산조 음원을 제공하여 후학들에게 새로운 단소산조 류파를 형성하는 단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결국 본 논문에서는 이생강류 단소산조를 고찰하고 그의 단소산조 음악을 전추산과 비교분석하여 전승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단소 악기의 구조적인 한계를 극복한 전추산과 전승에만 그치지 않고 자신만의 음악세계로 새로운 단소산조 류파를 형성한 이생강의 예술세계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생강 단소산조 진양조 이외에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엇모리, 등살풀이, 휘몰이와 북한의 단소산조인 최옥삼제 한시준류의 음악 연구는 후일로 기약하며, 본 연구가 단소산조의 음악적 특징을 응용한 국악 창작기법 활용과 새로운 류파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Sanjo, which was formed towards the end of the 19th century, means a Heoteun or Hoteun tune and is a form of instrumental solo music most typical of folk music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Pansori on the basis of Sinawi related to shaman music in the southern province. It was got into shape by Kim Chang-jo, beginning with Gayageum Sanjo, followed by Geomungo, Daegeum, Danso, Piri, Haegeum, and Ajaeng, mostly using the beat of Pansori, which divides movements. In addition to that of Jeon Chu-san, who is known as its originator, Danso Sanjo includes the Choe Ok-sam style, the Han Si-jun style, and the Lee Saeng-gang style, which have actually failed to be activated. As a pupil of Jeon, who is known as the originator of Danso Sanjo, Lee Saeng-gang has a pen name of Jukhyang and a real name of Lee Gyu-sik and was born in Japan on March 16, 1937. He is now the 45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Korea as an expert in Daegeum Sanjo and is known as a mater of wind instruments; while research on his Daegeum Sanjo has been conducted on a continuous basis, there is no research on his Danso Sanjo. This study collected pieces of Lee's Danso Sanjo in staff notation, which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melody according to paragraphs and compared with that of his teacher Jeon to see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a new creative tune as follows: First, Jinyangjo in Lee's Danso Sanjo is composed of a total of 64 beats with sextuple rhythm (♩. ⨉ 6 ) as one beat, and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11 paragraphs on the basis of Bon Cheong of melody and the change of modes. Second, Jinyangjo in Lee's Danso Sanjo used a total of five modes―f Bon Cheong Gyemyeon mode, ab Bon Cheong Ujo mode, ab Bon Cheong Pyeongjo mode, db Bon Cheong Ujo mode, and bb Bon Cheong Gyemyeon mode―with the Pyeongjo mode added to Jeon's. Third, Jinyangjo in Lee's Danso Sanjo had six notes, such as c, d♭, e♭, f, a♭, and b♭, which had a function specific to a mode and were more frequently used as Jangarak or a passing note than those of Jeon. Fourth, Jinyangjo in Lee's Danso Sanjo showed similar types of melody from the 1st to 20th beat of Jinyangjo in Jeon's Sanjo, which is considered the original form of Danso Sanjo, with 25% similar melody, 25% transformational melody, and 50% different melody. It is probably because Lee's Danso Sanjo didn't perform the melody of Jeon's Sanjo as it was but added ornaments, segmented rhythms, and added more splendid Sigimsae to develop and expand the music. Lee's Danso Sanjo had 9.09% transformational melody and 90.91% different melody, showing his creative melody, from the 21st to 64th beat. Fifth, all the beats in Lee's Danso Sanjo included 7.81% similar melody, 14.06% transformational melody, and 78.13% different melody. In particular, tune after the 21st beat of Jinyangjo in Lee's Danso Sanjo was composed of Danso Sanjo music in a developed form with the addition of his creative melody differentiated from that of Jeon. In other words, Lee shows music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Danso Sanjo in the developed form with the addition of his musical interpretation by not just following the beat handed down from Jeon as it is, though based on the beat, adding splendid Sigimsae, segmenting poems and rhythms, and varying techniques and harmonies to expand the beat in general. This Danso Sanjo of Lee is significant in that he reinterpreted and performed Danso Sanjo, direct transmission of which almost ceased to exist after Jeon's death, in the next generation, and is valuable in that he provided various sound sources of Danso Sanjo and became the foundation for younger students to form a new school of Danso Sanjo. This study investigated Danso Sanjo of the Lee Saeng-gang styl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his Danso Sanjo music and that of Jeon Chu-san to see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nd understand the artistic world of Jeon, who overcame the structural limits of the instrument, Danso, and Lee, who formed a new style of Danso Sanjo with his own musical world instead of being confined to transmission. In addition to Jinyangjo in Lee's Danso Sanjo, research on Jungmori, Jungjungmori, Jajinmori, Eonmori, Deungsalpuri, and Hwimori and on music of Choe Ok-sam and Han Si-jun styles, which are Danso Sanjo of North Korea, will be conducted later,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se a method of creating Korean classical music by applying musical features of Danso Sanjo and activate a new scho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및 범위 4 C. 선행연구의 검토 5 Ⅱ. 전추산과 이생강의 삶과 예술 8 A. 전추산의 생애 8 B. 이생강의 생애 및 전추산과의 만남 12 III. 이생강 단소산조 진양조 분석 16 A. 음악구성 17 B. 출현음의 기능 21 C. 진양조 선율 진행 25 Ⅳ. 전추산과 이생강 단소산조 비교 분석 43 A. 전추산과 이생강의 1장단20장단 44 B. 전추산의 21장단47장단과 이생강의 21장단64장단 54 Ⅴ. 결론 61 참고문헌 63 <부록악보 1> 68 <부록악보 2> 73 <부록악보 3> 80 <부록악보 4> 84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318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생강 단소산조 진양조 선율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전추산 단소산조와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lody of Jinyangjo in Lee Saeng-gang's Danso Sanjo : Centering on Comparison with Jeon Chu-san's Danso Sanjo-
dc.creator.othernamePark, Jun-la-
dc.format.pagex,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