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영근-
dc.contributor.author조미현-
dc.creator조미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2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의 당피리와 일본의 히치리키 두 악기의 역사 및 전승과정을 살펴본 후, 재질과 악기구조, 리드 다루기와 연주자세 및 소리 내는 법, 12율과 기본음, 음계와 안공법, 구음법과 악보 비교를 통해 두 악기의 유사성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당악기와 일본의 히치리키는 비슷한 시기에 서역에서 들어온 오보에계통의 악기로 중국에서 들어온 당악계 음악에 쓰였으며 지금도 궁중음악으로 연주되고 있고 전통음악을 계승하려는 사람들로부터 오늘날까지 계승되어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악기구조는 관(管)과 리드(reed)로 이루어진 악기로 관대는 대나무로 리드는 갈대로 재질이 같았다. 당피리의 지공은 앞면이 7개, 후면이 1개이고 히치리키는 앞면이 7개, 후면이 2개이다. 현재는 당피리와 히치리키 후면의 지공의 수가 다르지만 악학궤범에서 당피리 후면의 지공이 2개인 것을 하나로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처음에는 히치리키와 같은 지공의 수를 가졌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리드의 모양은 비슷하다. 그러나 당피리는 묶은 줄이라고 불리는 가는 철사로 서(舌:reed)를 묶고, 히치리키는 로제쯔(蘆舌:reed)를 세메(世目)라는 것으로 고정시킨다. 히치리키는 로제쯔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리드를 보호하기위한 보우시(帽子)가 있는 차이점이 있었다. 관대와 리드의 연결은 피리는 물이나 침으로 적셔 끝부분만 관대와 연결하고 히치리키의 경우 로제쯔의 아랫부분을 감싸고 있는 쓰가미(図紙)가 있어 그것을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관대에 넣어서 연결하여 연주하는 차이점이 있었다. 셋째, 연주자세 및 소리 내는 법은 허리를 곧게 펴고 팔을 60도정도 넓힌 바른 자세로 복식호흡으로 연주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리드를 무는 방법은 당피리의 서(舌:reed)는 서의 끝부분에서 묶은 줄의 앞부분을 물어 묶은 줄이 닿지 않게 연주하고 히치리키의 경우는 로제쯔(蘆舌:reed)를 고정시키는 세메(世目)부분이 닿을 만큼 가깝게 물고 연주하는 차이점이 있었다. 리드가 맞지 않을 경우 스스로 혹은 전문가에게 맡겨 리드를 손질하는 점은 두 악기가 같았다. 넷째, 두 악기의 12율명은 중국에서 건너온 것으로 처음에는 동명의 율명을 썼으나 일본이 악제개혁이후 일본의 율명을 만들었다. 따라서 오늘날 불리는 율명의 이름은 한국과 일본이 달라지게 되었다. 당피리는 12율명만 있고 히치리키의 경우 12율명과 지공명이 따로 불리는 차이점이 있다. 당피리의 기본음은 C음이 중심이 되고 히치리키는 D음이 중심이 되어있어 두 악기의 차이점이 보였다. 다섯째, 음계와 안공법에서는 당피리의 음역은 전폐음(全閉音)인 황종(黃種)이 C이고 황종(黃種,C)에서 청님려(淸南呂,A)로 약 1옥타브 반 이상의 음을 낸다. 히치리키의 경우 전폐음(全閉音)은 C보다 높은음인 제쯔(舌)는 G이다. 따라서 히치리키의 경우 제쯔(舌,G)에서부터 테이(丁,A)까지의 음을 내므로 1옥타브 정도의 음을 내고 당피리보다 음역이 짧다. 안공법은 두 악기 모두 모든 지공을 막은 상태에서 차례대로 지공을 열면서 위에 음을 내는 공통점이 있고 당피리의 경우 청중려(淸仲呂)에서 청남려(淸南呂)까지 역취로 연주하는 부분이 있으나 히치리키에는 역취가 없다. 여섯 번 째, 당피리의 구음과 히치리키의 쇼우가 모두 오래 전부터 구전(口傳)으로 공부했던 방법이고 선생님의 노래를 듣고 공부한다는 점이 같다. 구음과 쇼우가를 배워 노래하는 것에 따라 그 곡의 흐름을 이해하고, 악보 보기가 용이하고 숨표를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공통점이 있다. 당피리의 구음과 히치리키의 쇼우가의 다른 점은 당피리의 경우 황(黃)은“나”태(太)는“누”처럼 음 하나하나에“나누너노느”가 대입되어 발음 하고 히치리키의 가나문자의 경우 음에 대입되어 발음하지 않고 오래전부터 내려온 형태“테에르레에(テエルレエ)”등으로 소리 내는 것이 다르다.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악보를 비교해 보면 당피리의 경우는 박자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정간보, 율명이 적혀있는 율보를 보고, 히치리키의 경우 우리나라 고악보 중 율명이 아닌 구음을 적어놓은 육보와 비슷한 악보를 보고 있다. 악보 보는 법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보는 것은 같고 당피리의 악보는 율명이 적혀져 있 지만 히치리키의 경우 율명이 아닌 가나문자로 되어있으며 지공명(指孔名)이 옆에 적혀있는 차이점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두 악기의 자세한 연주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램이다.;This research is aimed at discovering the history and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 Korean Dangpiri(Korean-Chinese flute) and Japanese Hichiriki (double reed Japanese flute) and comparing the two instruments in terms of the material and instrumental structure, how to handle the reed, performing position and how to make the sound, 12 Yuls (temperaments) and root notes, scale and Ankong technique (the way of putting fingers to finger holes), Kuum (imitation of oral sound) and musical sco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both instruments. First, both Korean Dangpiri and Japanese Hichiriki largely similar to the western wind instrument of oboe and have been imported from the countries to the west of China. They were used in Tangak (music of Tang Dynasty of China) and are still performed today as the Royal music. Both are transmitted until today by the musicians who want to learn the traditional music and hand down it to the next generation. Second, both instruments are composed of tube and reed. They are made with the same materials with their tubes made of bamboo tree and mouthpiece made of reeds. Dangpiri has seven chikongs (finger holes of wind instrument) in the front and one chikong in the back, while Hichiriki has seven chikongs in the front and two chikongs in the back. Although the number of chikongs of Dangpiri and Hichiriki is different today, we can infer that the two instruments originally had the same number of chikongs according to the Akhak Gwebeom (music theory book) saying Dangpiri originally had two chikongs which were integrated into one chiking. The shape of reed of Dangpiri and Hichiriki is similar. However, Dangpiri ties Seo(reed) with thin wire while Hichiriki fixes rojetsu (蘆舌, reed) with seme(世目). Another difference is that Hichiriki has a boushi (帽子) to protect the reed when the instrument is not used. In terms of connection between the tube and the reed, Dangpiri players should soak the end part of the reed with water or saliva to connect it to the tube while Hichiriki players should connect the reed to the part that even Tsugami (図紙) that covers the lower part of rojetsu is not visibly seen. Third, there are also similarities in the performing position and how to make sound. The players of the both instruments play with their waist straightened up and arms bent at 60 ° and play the instruments with abdominal breathing. In terms of how to bite the reed, Dangpiri players bite the front part of the string that is tied at the end part of the reed so that they do not touch the string with their tongue, while Hichiriki players bite to almost touch seme(世目) that fixes rojetsu. When reed is not appropriate, both instruments needs experts to repair the reed. Forth, 12 Yuls (temperaments) of both two instruments have come from China. At the beginning, they used the temperaments with the same name, but Japan made their own temperaments after they reformed the music structure. As a result, the names of temperament played today are different in Korea and Japan. Dangpiri has 12 names of temperament only, while Hichiriki has chikong name as well as names for 12 temperaments. The root note of Dangpiri is C code while that of Hichiriki is D code. Fifth, the two instruments ar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ale and Ankong technique (the way of putting fingers to finger holes). The range of Dangpiri is from the lowest key of Hwangjong C which is played when all the chikongs are blocked to the highest key of Chungnamryeo A, meaning the total range is about an octave and a half. The range of Hichiriki is from the lowest key of Jetsu(舌)G which is a little higher than C to Tei(丁)A, meaning that the total range if an octave. This shows that Hichiriki’s range is narrower than that of Dangpiri. As for Ankong technique, both can be played by opening chikongs in order after all the chikongs are blocked. Dangpiri has a part that can be played from Chungjoongreo to Chungnamreo with Yukchwi (high register) while Hichiriki does not have such a part. Sixth, Kuum of Dangpiri and Showga of Hichiriki were compared. Both are an old method of studying through imitation of oral sound. The similarity is that students learn the music through listening to teacher’s singing. The similarity includes that both Kuum and Showga helps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 music, easily read musical scores and clearly know the rest. The difference is that the keys of Dangpiri are equivalently substituted by ”na nu neo no nue” as Whang is substituted by “Na” and Tae by “Nu”, while Gana letters of Hichiriki are not pronounced by substitution to key but by “Te e roe re e” which has long been handed down. Seventh, the musical scores of Dangpiri and Hichiriki have been compared in this study. Players read Jeongkanbo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al notation) which shows the exact rhythm or Yulbo that writes the name of temperaments. However, players of Hichiriki need to read the musical scores similar to Yukbo which writes not the names of temperaments but oral sound. Players of both instruments should read from right to left when they read the musical score. Names of temperaments are written in the musical scores of Dangpiri while Gana(カナ) letters accompanied by names of chikong are written in the musical scores of Hichiriki with no names of temperaments. The study discovered the differences of Dangpiri and Hichiriki. More research has to be conducted to the detailed level on the playing techniqu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2 Ⅱ. 본문 4 A.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역사 및 전승과정 4 1. 당피리의 역사 및 전승과정 4 2. 히치리키 역사 및 전승과정 8 3.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역사 및 전승과정 비교 12 B.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재질과 악기구조 13 1. 당피리의 재질 13 2. 히치리키의 재질 13 3. 당피리의 악기구조 14 4. 히치리키의 악기구조 15 5. 당피리의 서다루기 17 6. 히치리키의 로제쯔 다루기 18 7.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재질 및 악기구조와 리드 다루기 비교 19 C. 연주자세 및 소리 내는 법 21 1. 당피리의 연주자세 21 2. 히치리키의 연주자세 22 3. 당피리서 물기 및 소리내기 23 4. 로제쯔 물기 및 소리내기 24 5.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연주자세 및 소리 내는 법 비교 25 D.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12율, 기본음 26 1. 당피리의 12율 26 2. 히치리키의 12율 28 3.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12율 비교 29 4. 당피리의 기본음 30 5. 히치리키의 기본음 31 6.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기본음 비교 31 E.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음계, 안공법 32 1. 당피리의 음계와 안공법 32 2. 히치리키의 음계와 안공법 33 3.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음계와 안공법 비교 35 F.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구음, 쇼우가와 악보비교 37 1. 당피리의 구음(口音) 37 2. 히치리키의 쇼우가(唱歌) 38 3. 당피리의 구음과 히치리키의 쇼우가 비교 39 4. 당피리의 악보 39 5. 히치리키의 악보 42 6. 당피리와 히치리키의 악보 비교 45 Ⅲ. 결론 46 참고문헌 49 ABSTRACT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300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당피리와 히치리키의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Dangpiri and Hichiriki-
dc.creator.othernameCho, Mee Hyun-
dc.format.pageix,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