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영근-
dc.contributor.author선주희-
dc.creator선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30-
dc.description.abstractDaepungnyu(대풍류, 竹風流) is a music around wind instrument and i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use into the music which of wind ensemble, for court dance(궁중정재, 宮中呈才), and of an accompaniment for dance and the music played in folk such as folk wind ensemble, for a mask dance(탈춤), for a dance in Buddhist(승무, 僧舞), and for shamanism. This research focus on musical features of Daepungnyu which was played in folk. The folk Daepungnyu can be consist of Kyunggi(Kyunggi province and Seoul) Daepungnyu and Seodo(Hwanghae province) Daepungnyu. This classification is according to the musical and cultural feature of each origin region. Through analysis Daepungnyu between Kyunggi and Seodo, the musical features are deducted like bellow: The first, the types of rhythm commonly used in Kyunggi and Seodo Daepungnyu are Dodeuri rhythm(도드리장단), Taryeong rhythm(타령장단), Gutgury rhythm(굿거리장단). However Hwimori rhythm(휘모리장단) is only used in Kyunggi Daepungnyu for Dang musical piece(당악곡, 唐樂曲). The feature can be appeared in using of the rhythm are each piece of music uses native rhythm for itself rather than using variable rhythms. The structure of beat is 3 little beat and 4 beat mainly. In other case, 3 little beat and 6 beat is used for Buddhist prayer taryeong(염불타령, 念佛) and speedy Buddhist prayer(반염불, 念佛) in Kyunggi Daepungnyu and Buddhist prayer in Seodo Daepungnyu. The second, in the musical scale, b♭ Pyeongjo(평조, 平調) is commonly appeared in both and b♭ Gyemyeonjo(계면조, 界面調) and f Pyeongjo are turned up additionary in Kyunggi Daepungnyu. Hence, Daepungnyu is identified as a music centered by Pyeongjo The third, in tonal structure case, musical features of northern kyoung-tori(경토리) and southern kyoung-tori are appeared in common. In Kyunggi Daepungnyu, a feature of northern kyoung-tori, southern kyoung-tori, and Yukjabaiki-tori(육자백이, 六字佰伊) is appeared and northern kyoung-tori and Yukjabaiki-tori are appeared evenly and southern kyoung-tori is appeared only in speedy Buddhist prayer. In Seodo Daepungnyu, northern kyoung-tori, and southern kyoung-tori is founded evenly and Sushimga-tori(수심가, 愁心歌) is appeared in Taryeong shinawi(시나위) only. Hence, it is assumed that the tonal structure of Seodo Daepungnyu has changed to Kyunggi Daepungnyu. The fourth, Kyunggi Daepungnyu has wider range and higher pitch than Seodo Daepungnyu in scale. the range of Kyunggi Daepungnyu is from b♭ to a♭'' and Seodo Daepungnyu is from c' to f''. The last, the organization of both Daepungnyu has the music of Taryeong and Gutgury. Kyunggi Daepungnyu is consist of Buddhist prayer taryeong, speedy Buddhist prayer, Three strings taryeong(삼현, 三絃), Neurin Heoteun taryeong(느린허튼타령), Jung Heoteun taryeong(중허튼타령), Jajin Heoteun taryeong(자진허튼타령), Neurin Gutgeori(느린굿거리), Jajin Gutgeori(자진굿거리), and Dangak(당악). Seodo Daepungnyu is consist of Buddhist prayer taryeong, Taryeong shinawi, Taryeong, and Gutgeori. The two Daepungnyu use same rhythms but scale and melody are appeared differently.;대풍류는 관악기 중심의 음악으로 그 사용 용도에 따라 관악합주 · 궁중정재 · 무용반주음악과 민간관악합주 · 탈춤 · 승무 · 무속 등에 사용되는 음악으로 구분된다. 이 두 가지 음악 중 본고의 연구대상은 후자로 민간에서 사용되던 대풍류의 음악적 특징이다. 민간대풍류는 각 지역의 음악문화적 특징에 따라서 서로 다른 존재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서울 · 경기 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된 경기대풍류와 황해도 지방을 중심으로 형성 · 전승된 서도대풍류이다. 이들 두 지역 대풍류의 음악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음악적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장단형은 두 풍류에서 공통적으로 도드리장단, 타령장단, 굿거리장단이 등장한다. 다만 경기대풍류에서만 연주되고 있는 당악곡에 휘모리장단이 등장한다. 이는 동일한 악곡에 다른 장단이 연주되는 것이 아니라 별개의 악곡에 개별 장단이기 때문에 구성악곡 상의 차이에 의해 나타난 특성이다. 박자구조는 두 풍류 모두 3소박4박형이 주를 이루고, 그 외 경기대풍류에서는 염불타령과 반염불이, 그리고 서도대풍류에서는 염불이 3소박6박형으로 구성된다. 둘째, 음계는 두 풍류에 b♭평조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경기대풍류에서는 b♭계면조, f 평조 음계가 부수적으로 등장한다. 즉, 대풍류는 평조 중심의 음악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음조직은 두 풍류에 공통적으로 경토리권의 북부경토리나 남부경토리의 음악적 특징이 보인다. 경기대풍류의 경우에는 북부경토리와 남부경토리, 그리고 육자백이토리의 특징도 보이는데, 이 중에 북부경토리와 육자백이토리의 비중은 비슷하게 등장하고, 남부경토리는 반염불 한 곡에서만 나타난다. 서도대풍류는 북부경토리와 남부경토리, 그리고 수심가토리가 간혹 등장하는 음조직적 특징을 보인다. 이중 북부와 남부 경토리의 출현 비중은 비슷하지만, 수심가토리는 타령시나위에서만 등장한다. 이는 황해도를 근간으로 두고 있는 서도대풍류 음조직의 경기대풍류화를 시사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넷째, 음계는 경기대풍류가 서도대풍류 보다 넓은 음역(音域, range)과 음고(音高, pitch)를 사용하고 있다. 즉, 경기대풍류의 사용 음역은 b♭~a♭''이고 서도대풍류의 사용음역은 c'~f''이다. 다섯째, 구성형식은 두 풍류에 타령과 굿거리 음악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경기대풍류는 염불타령, 반염불, 삼현타령, 느린허튼타령, 중허튼타령, 자진허튼타령, 느린굿거리, 자진굿거리, 당악의 총 아홉 곡, 서도대풍류는 염불, 타령시나위, 타령, 굿거리로 총 네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풍류 악곡의 관계는 도드리장단, 타령장단, 굿거리장단으로 동일한 장단형을 쓰고 있지만 음계와 선율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선행연구검토 2 C. 연구방법 및 범위 6 Ⅱ. 대풍류 음악의 이해 9 A. 대풍류 음악의 개념 및 종류 9 B. 대풍류 음악의 전승양상 ` 10 C. 대풍류 음악의 일반적 특징 10 Ⅲ. 경기대풍류의 음악분석 13 A. 염불타령 13 B. 반염불 16 C. 삼현타령 17 D. 느린허튼타령 20 E. 중허튼타령 22 F. 자진허튼타령 25 G. 느린굿거리 27 H. 자진굿거리 30 I. 당악 32 J. 소결론 35 Ⅳ. 서도대풍류의 음악분석 37 A. 염불 37 B. 타령시나위 39 C. 타령 42 D. 굿거리 44 E. 소결론 46 Ⅴ. 경기 서도대풍류의 음악적 특징 비교 48 A. 장단형 48 B. 음계 48 C. 음조직 49 D. 구성형식 50 E. 소결론 50 Ⅵ. 결론 53 참고문헌 55 부록악보 57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231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경기·서도대풍류의 음악적 특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usical features in Kyunggi and Seodo Daepungnyu-
dc.creator.othernameSun, Joo Hee-
dc.format.pageix,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