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낙기-
dc.contributor.author정연경-
dc.creator정연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31-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an analysis on George Frideric Handel (1685~1759)’s oratorio “Alexander’s Feast”, HWV 75 from the point of a choral conductor. Handel was renowned as an Italian opera writer in England. However, as the popularity on Italian opera declined in England, Handel changed his works from opera to oratorio. Different from other trendy oratorios at that time, Handel gave more emphasis on chorus which is his unique style of oratorios. In 1707 and 1708, Handel composed 2 oratorios. By 1730s, Handel knew that his operas could not hold its popularity and began writing oratorios. With the success of oratorio “Alexander’s Feast”, Handel changed his works from Italian operas to oratorios. As such “Alexander’s Feast” is one the most important works in his early oratorios. “Alexander’s Feast” was written in 1736 based on the seventeenth century English poet John Dryden’s “Ode Alexander’s Feast” (The Power of Music) which Newburgh Hamilton referred. This oratorio is composed of 2 parts. The first part is 19 movements, and the second part is 8 movements. The work is composed of orchestra (ViolinⅠ∙Ⅱ, ViolaⅠ∙Ⅱ, Violoncello, Contrabbasso, OboeⅠ∙Ⅱ, FagottoⅠ~Ⅲ, FlautoⅠ∙Ⅱ, CornoⅠ∙Ⅱ, Timpani) and continuo (Cembalo, Organo, Fagotto, Violoncello, Contrabbasso) with 4 soloist (soprano, alto, tenor, bass) and 4 part chorus (soprano, alto, tenor, bass). Handel used more Da Capos in “Alexander’s Feast” than other oratorios. Arias and chorus were connected more closely in dramatic side. Also Handel has maximized dramatic expression by using many choral methods, such as word painting, counterpoint and melisma. This thesis analyzes how various choral methods have been used in “Alexander’s Feast”. Analyzing the Baroque performance practices and dramatic expressions, a practical guide for conducting “Alexander’s Feast” is given. Additionally, all the movements of the oratorio are analyzed by Julius Herford (1901~1981)’s method which shows the context of the score in one view.;본 논문은 오라토리오라는 장르를 독창적으로 발전시킨 헨델 (George Frideric Handel, 1685~1759)의 오라토리오 중의 하나인 「알렉산더의 향연」 (Alexander’s Feast HWV 75)을 합창연주를 준비하는 지휘자의 입장에서 분석, 연구 한 것이다. 헨델은 영국에서 활동하며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로 명성을 얻었으나 영국에서 이탈리아 오페라가 쇠퇴하기 시작하자 오페라에서 오라토리오로 작품의 방향을 바꾸어 기존의 오라토리오와는 달리 합창에 대한 비중을 더 크게 둠으로써 그 만의 독창적인 오라토리오를 만들어낸 작곡가이다. 헨델은 1707년과 1708년에 2개의 오라토리오를 작곡 한 바 있으나 1730년에 들어서자 자신의 오페라들이 더 이상 인기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본격적으로 오라토리오를 작곡하기 시작 하였고 「알렉산더의 향연」이 성공한 것을 계기로 이탈리아 오페라에서 오라토리오로 작품의 방향을 바꾸게 되었다. 따라서 「알렉산더의 향연」 은 그의 초기 오라토리오 중 가장 주목할만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7세기 후반 최고의 문인이며 영국 신고전주의 문학의 개척자인 존 드라이든(John Dryden, 1631~1700) 이 “성 세실리아의 날” 을 기념하여 쓴 송시 「알렉산더의 향연 또는 음악의 힘」 (Alexander’s Feast or The Power of Music, 1697)을 뉴버그 해밀턴 (Newburgh Hamilton, 1691~1761) 이 인용하여 오라토리오 대본을 만들었고 헨델은 이 대본을 바탕으로 1736년에 오라토리오 「알렉산더의 향연」을 작곡하였다. 이 오라토리오는 전체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19곡, 두 번째 부분은 8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의 악기편성은 오케스트라 (바이올린Ⅰ∙Ⅱ, 비올라Ⅰ∙Ⅱ, 첼로, 콘트라베이스, 오보에Ⅰ∙Ⅱ, 바순Ⅰ~Ⅲ, 플루트Ⅰ∙Ⅱ, 호른Ⅰ∙Ⅱ, 팀파니)와 콘티누오(챔발로, 오르간, 바순, 첼로, 콘트라베이스)로 구성되어있으며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세 명의 독창자와 소프라노Ⅰ, Ⅱ, 알토, 테너Ⅰ, Ⅱ, 베이스로 이루어진 합창 성부로 편성되어 있다. 헨델은 이 오라토리오에서 다른 오라토리오에 비해 다 카포 형식의 아리아 보다 그렇지 않은 아리아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아리아와 합창이 극적인 면에서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도록 하였다. 그 외에도 가사그리기 기법(word painting), 대위법, 멜리스마 등의 다양한 합창기법 들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극적인 표현을 최대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헨델의 다양한 합창기법들이 「알렉산더의 향연」에서 어떻게 쓰였는지 알아보고 이 오라토리오에 나오는 합창곡들을 바로크 시대의 연주 관습과 극적 표현을 위주로 연구하였으며 각각의 합창곡 분석 결과는 저명한 합창분석가인 줄리어스 허포드(Julius Herford 1901~1981) 의 방법으로 작성, 첨부함으로써 곡의 내용이 한눈에 보이도록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18세기 영국의 시대상과 헨델의 오라토리오 4 A. 18세기 영국의 사회적, 문화적 상황 4 B. 헨델의 생애와 오라토리오 6 III. 바로크 연주 관습과 헨델 합창음악의 특징 15 A. 바로크 연주 관습 15 B. 헨델 합창음악의 특징 28 IV.알렉산더의 향연(Alexanders Feast)의 분석연구 33 A.곡의 구성 및 배경 33 B. 합창 분석 37 V. 결론 68 참고문헌 70 부록 (허포드분석표) 73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172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헨델 (G. F. Handel)의 오라토리오 「알렉산더의 향연」(Alexander’s Feast)의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바로크 연주관습과 극적 표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G. F. Handel’s Oratorio Alexander’s Feast (HWV 75) : Focusing on Baroque Performance Practice and Dramatic Expression-
dc.format.pagev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