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1 Download: 0

高麗時代 密敎史 硏究

Title
高麗時代 密敎史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istory of Esoteric Buddhism in Goryeo Dynasty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미
Abstract
본고는 고려 불교사의 한 축을 구성하는 밀교를 통해 고려시대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밀교는 현세구복적 신앙으로 대표되는 만큼, 불교사상 가운데 사회와의 소통이 가장 활발하다. 고려시대에는 밀교가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었기 때문에, 밀교는 고려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 가운데 하나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밀교사상과 신앙을 바탕으로 조직된 밀교종파, 그 내용을 전파하는 밀교경전, 구체적 신앙 행위인 국가적 밀교의례를 개별적으로 천착하고 이를 고려시대사의 전개 속에 위치 지움으로써 고려사회와 밀교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고려전기에 성립한 神印宗과 摠持宗이라는 밀교종파가 존재하였다. 신인종은 국가적 밀교의례인 文豆婁道場을 개설하여 외적의 침입을 기양하였고, 그 종찰인 賢聖寺는 鎭兵道場으로 이름이 높아 국왕이 자주 친행하였다. 신인종은 唯識思想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원 간섭기에 접어들면서는 티베트불교의 瑜伽行中觀思想을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총지종은 다라니 염송을 통한 治病이 주요 활동이었다. 또한 늦어도 고려후기에 총지종 승려들은 궁중 내도량에서 다라니와 관련된 업무를 보는 전문가 집단을 이루고 있었다. 수행의 측면에서는 『大日經』에 입각한 阿字 觀法修行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 밀교경전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高麗大藏經 및 義天의 『新編諸宗敎藏總錄』에 포함된 밀교경전과 신앙 경향을 보여주는 單本 밀교경전이다. 고려재조대장경에는 총 355部의 밀교경전이 수록되어 있다. 그 특징으로는 宋代에 새로 번역된 밀교경전이 입장되어 있다는 것과 遼 대장경의 영향이 보인다는 것 등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또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을 통해서는, 의천으로 대변되는 고려중기 불교계의 밀교경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수 있었다. 『신편제종교장총록』에는 밀교경전 5部에 대한 章疏가 총 18종 수록되어 있다. 그 가운데 『대일경』을 『華嚴經』에 버금가는 경전으로 인식하였다는 점이 가장 주목된다. 이와 같은 인식은 요 불교계의 영향이었다. 單本 밀교경전의 간행과 유통은 고려시대 밀교경전에 대한 신앙 경향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현재 10종 35건의 단본 밀교경전 유물이 남아있다. 이들 밀교경전의 간행과 유통 경향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淨土信仰과 관련된 경전도 있지만, 현세구복적 신앙이 주류를 형성하였다. 둘째, 같은 경전이라도 간행 주체에 따라 내용이 변화하였다. 이는 『梵書摠持集』의 다라니 비교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셋째, 활용하기 용이한 형태로 간행되었다. 염송보다 더 쉬운 방편으로, 佩用을 하면 다라니의 공덕을 받을 수 있다거나, 경전 가운데 필요한 부분만을 발췌하여 조성하는 축약본 경전이 등장하였다. 고려시대 밀교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국가적 밀교의례의 개설이다. 고려시대에는 총 17종의 밀교의례가 있었다. 이들 밀교의례는 즉위의례로서의 灌頂道場을 제외하면 모두 재난을 기양하기 위해 개설된 것들이었다. 고려시대에는 星變, 자연재해, 전염병, 전쟁이 ‘공인된 재난’이었는데, 비단 밀교의례뿐 아니라 고려시대의 기양의례는 모두 이들 네 가지 재난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통해 고려시대 밀교의례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다른 불교의례들과 차별화되지 않으며, 통치기제의 하나로 받아들여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다라니를 받들면 영험을 얻을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고, 낯선 다라니를 외우는 장엄한 밀교의례는 불보살의 위신력으로 재난이 없어질 것이라는 믿음을 고취시키는 데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국가적 밀교의례가 개설되었다. 17종의 밀교의례 가운데 고려시대사의 성격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세 가지 의례에 대해서는 별도로 분석하였다. 우선 消災道場은 성변 기양을 위해 개설된 의례로, 고려시대의 天文災異觀을 응축해 보여주는 사례이다. 고려시대의 성변 해석은 유교에 근거하며, 소재도량도 이를 공유하였다. 그런데 유교의 성변 기양책은 군주의 修德으로, 이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시적이지 않은 방법이므로, 밀교의례인 소재도량을 개설하였다. 佛頂道場은 『佛頂尊勝陀羅尼經』을 소의경전으로 개설되었다. 이 경전은 지옥에 떨어질 罪障을 소멸시켜 준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공덕을 설하지만, 儀軌를 활용해 국가적 의례로 개설하였다. 灌頂道場은 전란 기양을 위한 관정도량과 즉위의례로서의 관정도량의 두 가지가 있다. 전란 기양을 위한 관정도량은 『灌頂經』 권4를 소의경전으로 개설되었다. 즉위의례로서의 관정도량은 轉輪聖王의 권위를 빌려 왕의 신성함을 수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상과 같은 밀교의 여러 요소들은 고려시대사의 흐름 속에서 사상적·정치적·사회적으로 작용하며 고려시대 밀교사를 형성하였다. 밀교교학의 경우 자료가 불충분하지만, 고려전기부터 교학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일경』 연구, 총지종의 아자 관법수행, 신인종이 티베트불교로부터 받아들인 유가행중관사상이 모두 밀교교학의 흐름과 관련이 있다. 종교적 정치행위인 밀교의례는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부침을 겪었다. 고려전기에는 밀교의례가 새롭게 개설되고 국가적 의례로서 정비되었다. 고려후기 무신집권기에는 정치·사회적 혼란과 대몽항쟁 속에서 밀교의 재난 해소 기능이 부각되어 다양하게 활용되었으나, 원 간섭기에 접어들어 원과의 정치외교적 이유 때문에 밀교의례는 대부분 개설이 중지되었다. 그러나 밀교의례 자체는 종파적으로나 계층적으로 확산되어, 선종·천태종 승려들이 사찰에서 밀교의례를 개설하는 사례들이 보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Goryeo through esoteric Buddhism, which makes an axis of Buddhism history of Goryeo. esoteric Buddhism engages in the most active communication with society among all the Buddhist ideologies. In Goryeo, it had influence on all the aspects of society, which means it is one of the important key-words to understand Goryeo society. The study individually examined the sects, scriptures, and rituals of esoteric Buddhism and placed them in the development of Goryeo history to figure ou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Goryeo society and esoteric Buddhism. There were two sects of esoteric Buddhism in Goryeo, namely Shinin School(神印宗) and Chongji School(摠持宗) formed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Shinin School set up Munduru-doryang(文豆婁道場), a national ritual of esoteric Buddhism, and deterred invasions by other countries. It was based on Vijnana-vada Thought(唯識思想) and started to accept Yogacara-Madhyamika Thought(瑜伽行中觀思想) of Tibetan Buddhism once the period of Yuan(元)'s intervention began. Chongji School's main activity was healing a disease through dharani recitation. Its priests formed an expert group in charge of dharani affairs at the Naedoryang(內道場) of the royal court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As for self-discipline, they seem to have performed observation for letter A(阿字 觀法修行) based on Mahavairocana Sutra(『大日經』). In Goryeo Dynasty, there were two types of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They were the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contained in Tripitaka Koreana and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新編諸宗敎藏總錄』) by Uicheon(義天) and the separate-volume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demonstrating religious trends. Tripitaka Koreana contains total 355 types of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newly translated during Song(宋) Dynasty and the influence of the tripitaka of Liao(遼) Dynasty.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by Uicheon opens a window to the perceptions of the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in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middle Goryeo represented by him. It contains total 18 commentaries on the five types of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It is the most noteworthy that he regarded Mahavairocana Sutra as an equal to Avatamsaka Sutra(『華嚴經』), which indicates the influence of Liao Buddhist community.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separate-volume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directly shows religious trends during Goryeo Dynasty. There are total 35 separate volumes of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of ten types. An examination of the trends in their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identified the thre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mainstream was faith of pursuing good fortune in this world even though some were related to belief of Pure Land(淨土信仰); secondly, even the same scriptures varied in content according to the subjects of publication; and finally, they were transformed into the forms of easier utilization. They would say one could benefit from dharani merits just by carrying the scriptures instead of memorizing and reciting them. And they even made an abridged version by extracting only necessary parts from the scripture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esoteric Buddhism of Goryeo Dynasty wa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rituals of esoteric Buddhism. There were total 17 rituals of esoteric Buddhism in Goryeo, and they were all established to deter a disaster except for Gwanjung-doryang(灌頂道場), which is an enthronement ceremony. In Goryeo, "officially recognized disasters" included constellation abnormalities, natural disasters, epidemics, and wars. Goryeo's rituals to dispel misfortune and pray for fortune all intended to prevent and overcome those four disasters, let alone the ceremonies of esoteric Buddhism. In that sense, Goryeo's rituals of esoteric Buddhism are not differentiated from other Buddhist rituals in terms of functions and seem to have been accepted as a ruling mechanism. Of the 17 rituals of esoteric Buddhism, three were separately analyzed which exhibited the nature of Goryeo history well. First, Sojea-doryang(消災道場) was established to deter a constellation abnormality, being a case demonstrating the perceptions of disastrous astrological phenomena. In Goryeo Dynasty, interpretations of constellation abnormalities were based on Confucianism, and Sojea-doryang shared them too. Since the Confucian method of deterring constellation abnormalities was the monarch's ascetical virtue, took long time, and was invisible, they set up Sojea-doryang, a ceremony of esoteric Buddhism. Secondly, Buljeong-doryang(佛頂道場) was established based on Usnisavijaya-nama Dharani(『佛頂尊勝陀羅尼經』), which covers individual merit and virtue to nullify a sin that would lead to hell. Buljeong-doryang expanded merit and virtue discussed in the scripture and set it up as a national ceremony by utilizing a ceremony guide. Finally, Gwanjung-doryang(灌頂道場) had two types; one was for deter a war, and the other was for enthronement. The former was established based on Volume 4 of Abhseka Sutra(『灌頂經』), while the latter was to embellish the king's sacredness by the authority of Cakravartin. Those various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 had ideological, political, and social functions in the flow of Goryeo history and formed the history of esoteric Buddhism of Goryeo. Even though there are not enough data on the Gyohak of esoteric Buddhism, it is estimated that research had been conducted on it on an ongoing basis since the former half of Goryeo. Research of Mahavairocana Sutra, Chongji School's observation for letter A, and Shinin School's acceptance of Yogacara-Madhyamika Thought from Tibetan Buddhism were all related to the Gyohak flow of esoteric Buddhism. The rituals of esoteric Buddhism, which were religious political acts, underwent ups and downs according to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former half of Goryeo, they newly established the ritual of esoteric Buddhism and arranged them as national ceremonies. During the rule of military officials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the disaster alleviation functions of esoteric Buddhism were highlighted in the middle of political and social confusion and resistance against Yuan Dynasty, which led to the diverse uses of its ceremonies. Once the period of Yuan's intervention started, however, most of its ceremonies were suspended due to political and diplomatic reasons in relation to Yuan Dynasty. The dharani faith of esoteric Buddhism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pursuit of profit in this world and belief of Pure Land. The dharani faith, which pursues fortune in this world, makes the most fundamental basis of esoteric Buddhism. In the latter half of Goryeo when social confusion escalated, the dharani faith of pursuing fortune in this world was further highlighted and diversified. Belief of Pure Land through dharani emerged prominently in late Goryeo, when the Buddhist community promoted belief of Pure Land by talking about hell and heaven, which atmosphere was shared by esoteric Buddhism. Even though the sects and national ceremonies of esoteric Buddhism gradually disappeared during Joseon, the dharani faith, which pursues fortune in this world, rebirth in Pure Land, and no falling to hell, was absorbed in Buddhist faith and continues on tod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