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02 Download: 0

1, 2주기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

Title
1, 2주기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
Other Titles
Awareness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participated for the First-year and the Second-year Kindergarten Evaluation
Authors
장태옥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원장들의 1주기와 2주기 유치원 평가의 차이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유치원 평가 참여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유치원 평가 참여과정에서의 어려움 및 요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립유치원의 유치원 평가 참여시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평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유치원 평가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1주기와 2주기 유치원 평가의 차이점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사립유치원 원장들이 인식하는 유치원 평가 참여의 긍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3. 사립유치원 원장들이 인식하는 유치원 평가 참여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4. 사립유치원 원장들이 인식하는 유치원 평가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1, 2주기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사립유치원 원장 8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인 강수경(2009), 이양지(2010), 전향임(2011)의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참고하였으며, 관련문헌과 원장들과의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연구자가 제작하였으며, 총 5개 영역, 2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필요한 경우 평균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원장들은 1주기와 2주기 평가 지표에서 평가 지표의 축소 및 새로운 항목의 추가, 교육과정 영역의 비중 확대가 가장 크게 달라진 점으로 인식하였으며, 교육과정영역의 비중 확대와 구체적 평가 항목별 평가 척도 제시가 바람직하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1주기와 2주기 평가 절차에서 서면평가 내용을 현장평가로 대체, 서류작성 준비를 줄이고 자체점검을 충실화한 점이 가장 크게 달라진 점으로 인식하였으며, 서면평가 내용을 현장평가로 대체, 서류작성 준비를 줄이고 자체점검을 충실화한 점이 바람직하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사립유치원 원장들은 2주기 평가 참여 후 대부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의 전문성 향상, 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증가, 평가에 대한 거부감 감소 및 평가에 대한 심리적 안정으로 인해 만족하였다. 그리고 평가 참여가 교사와 모두(유아, 교사, 원장, 학부모)에게 유익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2주기 평가 참여를 통해 평가를 반영하여 교육운영계획서를 작성, 발달적으로 적합한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이해 증가, 교사 간 협력 증진, 동료장학의 실시, 오전 특별수업 비중의 축소된 점 등 다양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사립유치원 원장들은 1주기 평가 참여과정에서 관계 서류 준비 및 평가 영역 및 지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주기 평가 참여과정에서는 현장 평가에 대한 부담감과 평가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 관계서류 준비의 어려움, 평가위원들의 사립유치원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립유치원 원장들은 3년 주기 평가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평가 준비 과정에서 구체적 평가 매뉴얼의 제공, 환경 보수나 교재교구 구입을 위한 재정 지원, 평가에 대한 조력자의 지원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준비 시 효과적 지원방법으로는 전문가 또는 전문기관의 지원과 평가관련 자료를 만들어 유치원과 공유하는 방법을 선호하였다. 또한 자체평가 시 평가준거 및 지침서를 제공해줄 것과 현장평가 시 중복되는 관계 서류를 축소할 것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위원의 자질로는 주관적 의견을 배제한 객관적 평가 능력과 유치원 특색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및 수용적 태도가 요구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평가 결과는 우수유치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것과 구체적 사후지도를 위한 장학지도 및 컨설팅에 참고할 것으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질적으로 개선된 지표는 축소․통합하고 개선을 요하는 지표는 강조해야하며, 설립 취지에 따른 사립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deals with awareness for the difference of evaluation on the first-year and the second-year private kindergarten conducted by directors. It also shows positive understanding of participants for assessment of private kindergarten, and difficulty and request occurred during participation process. The objective of it is to provide the solution on difficulty during participation process and to prepare the preliminary data for improvement method on the evaluation of private kindergarten. Inquirie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s. 1. What is the director's awareness for evaluation on the first-year and the second-year private kindergarten? 2. What is the positive aspect of participation realized by directors? 3. What is the difficulty during participation process recognized by directors? 4. What is the request for evaluation of private kindergarten acknowledged by directors? 89 directors have been participated for evaluation of private kindergarten and survey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used for previous researchers - Sukyoung Kang(2009), Yangji Lee(2010), and Hyangim Jeon(2011), were referred. Researcher made the lists based on relevant reference books and interviews with directors. They were composed of five areas including 26 questions. Collected data had been analyzed by SPSS 12.0 statistics program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Average was calculated and the analyzed if necessary. The summary of analyzed result are the followings: First, directors of private kindergartens recognized the reduction of evaluation measurement, the supplement of new items, and the increase of curriculum from the first-year and the second-year performance measurement. They acknowledged that the document evaluation has been replaced to the field evaluation to minimize paper work and self evaluation has been improved. Second, the directors are satisfied with the second-year assessment because they realize that teachers' specialties have been improved, the necessity of evaluation has been increased, and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on the assessment has been improved. They also recognized that evaluation is helpful to all. They understand there have been positive changes caused by the result of evaluation such that the plan for the course of study is made, proper curriculum for each level of student is improved, the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is improved, and the special morning class is minimized. Third, the directors had difficulty in preparing relevant document for the first-year evaluation, and understanding the assessment area and guideline. They felt some pressure on the field evaluation, had been in trouble to prepare the relevant document, and had been frustrated a little bit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evaluation board on private kindergarten. Fourth, the directors understand that the cycle of evaluation had better be three years. They also require that the evaluation manual is provided, the financial support for purchasing relevant books is necessary, and the volunteers are needed for evaluation. They prefer that the evaluation data and the guidelines, which are made by experts and special institute, are provided. They want that the redundant document should be decreased. They want the evaluation board members to be objective in assessment and understandable for special curriculum of private kindergarten. The result of evaluation shall be used for providing incentive on excellent private kindergarten and be reference data for encouragement of learning and consulting. Last, the directors think that guideline, which has been improved in quality, had better be integrated and minimized for proper evaluation, guideline, which needs to be improved,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standard of evaluation, which recognizes the specialty of private kindergarten, should be establish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