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감성적 합리성을 도입한 토론 교수-학습 방안 연구

Title
감성적 합리성을 도입한 토론 교수-학습 방안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Teaching Debate Based on Emotional Rationality
Authors
조인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 토론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토론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감성적 합리성을 도입하여 토론 교수 - 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개발된 토론 교수 - 학습 모형은 경쟁적이고 승패의 결과론적 토론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그동안 토론 교육의 철학적 바탕에는 이성적 합리성이 자리 잡고 있었다. 이는 토론 교육의 절차와 규범, 논거의 명확성이 주장의 첨예한 대립을 정당하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이성적 합리성의 강조로 마련된 토론 교육은 토론의 결과인 승패의 집착으로 인해 이기기 위한 토론으로 토론 교육이 변질되어 가고 있었다. 현재의 토론 문화는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소통의 기제로서 역할보다는 우격다짐과 독선적 비판이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필자는 현재의 토론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토론 문화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감성적 합리성을 새롭게 제시하고 이를 토론 교육에 도입하였다. 감성적 합리성은 감성도 정당한 판단의 근거로 작용 가능하다는 것으로 그 구성 요소로 직관과 공감을 제시하였다. 직관과 공감이 이성적 합리성에 바탕 한 토론 교육과 결합했을 때 토론자는 새로운 관점으로 논제를 바라 볼 수 있는 확산적 사고가 가능해질 뿐 아니라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여 설득적 소통이 원활해지면서 토론의 깊이가 더 깊어질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이성적 합리성과 감성적 합리성을 조화한 토론 교육은 상호 협력과 상호 존중, 배려와 창조적 의미를 생산할 수 있는 토론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이는 토론 교육에 대한 기존의 관점 변화가 불가피함을 말해준다. 토론 교육에 감성적 합리성을 새롭게 도입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토론의 준비, 실행, 마무리 과정으로 나눈다. 준비 과정에서는 2인 토론을 통해 토론 실행 전에 토론의 긴장감과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실행 과정에서는 CEDA 토론을 변형하여 제시하고 학생들의 협의 하에 각 토론 단계 시간을 스스로 배분하도록 하였다. 마무리 과정에서는 논거 나누기와 협의하기, 토론 일지 작성으로 구성하였다. 토론의 실행 과정보다 토론 준비와 마무리 시간이 더 길다. 이는 토론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세워 충분히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고 근거를 탄탄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마무리 과정에서는 자신의 토론 태도를 점검하고 부족한 점을 채울 수 있는 시간으로 학생들이 상대방을 이해하고 논제의 갈등 양상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며 합의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 작용으로 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소통의 확대를 원하는 현대 사회에 토론은 갈등 해결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토론 교육의 사회적 요구는 높아질 것이며 우리는 그에 대비하여 토론의 질적 향상을 고민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성적 합리성과 감성적 합리성의 조화를 통해 토론 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understanding problems of teaching debate and suggesting a new class model by applying emotional rationality to carry out the new teaching debate. The developed teaching debate class model proposes the direction by which competitive and only outcome-oriented teaching debate could be supplemented. So far, reasonable rationality has been placed 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teaching debate, and this has performed as the evidence to rightfully judge the procedure, norm, clarity of the basis of the argument, and the sharp conflict of assertions of teaching debate. However, the educational value of debate is more than only argumentative characteristic. Through debate, students could learn how to negotiate well and listen courteously. They also could learn the significant values such as consideration and mutual respect. To achieve this, emotional rationality is proposed in a new point of view and applied to teaching debate in this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rationality was found. Emotional rationality could be performed as the evidence of right judgement, and intuition and sympathy are suggested as the components of it. When these components are combined with the teaching debate based on previous reasonable rationality, it could be expected that divergent thinking would arise and communication would be more smoothly. Developed class model of this study has been formed by newly introducing emotional rationality to teaching debate. Debate consists of preparation process, administration process, and finishing process,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emotional rationality appears in dividing grounds for an argument, debate, and writing debate record in the finish process. In finishing process, we encouraged students to cooperate each other through the process of looking at conflict situation in a new perspective and reaching an agreement. The implications of developed model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aching debate, not competition and dispute but agreement and conversation could be chosen as the education contents. Second, the proposed model could be applied to classes flexibly. Third, the quality improvement of debate culture could be expected in communication expansion. In the future, the debate would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solve conflicts of the modern society. Thus, teaching debate would be more expanded, and its educational value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o discuss. This study suggests a new direction to teaching debate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asonable rationality and emotional rationality, and this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debate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