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 내용 연구

Title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s for Text-based Grammar Education : Focusing on Double Negative Expressions in Speech Texts
Authors
문영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우리는 담화 공동체(Conversation Community) 안에서 살아간다. 말하고 듣고 쓰고 읽으며 공동체 구성원들과 대화하는 것은, 곧 우리의 삶 자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의사소통 능력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법 지식이 이를 도울 수 있는 실제적인 소통능력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전제하고, 학습자들이 자신의 언어생활 안에서 문법 지식을 생산적이고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로 문법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역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텍스트에 주목하였다. 텍스트는 실제 언어생활 속에서 끊임없이 생산되고 수용되는 의사소통의 한 장면을 말한다. 따라서 텍스트 중심의 문법교육은 실제 언어 세계 속에서 사용으로서의 언어가 갖는 특성들을 다룰 수 있다. 또한 언어 표현 주체가 언어 사용 맥락을 고려함과 동시에 자신의 발화 의도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전언을 구성하는, 언어적 실현 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어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특히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텍스트를 통해 문법 형태나 어휘가 어떤 의미기능을 담당하는지에 대해 탐구하게 하는 것은, 문법 탐구 경험으로 인해 발견하는 문법 지식이 결코 암기의 대상이자 비생산적인 규범이 아니라, 실제 언어생활을 질적으로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에서 누릴 수 있도록 돕는 생산적인 지식 체계임을 깨닫게 만들어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내용 구성을 위한 이론적 전제를 마련하였다. 먼저 A절에서는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필요성과 의의를 정리하고, 그간 국어 교육과 문법교육에서 텍스트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장 안에서 텍스트를 제대로 다루지 못한 원인을 짚어봄으로써,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B절에서는 텍스트와 의사소통 맥락의 화행적 특성을 고려한 텍스트 유형 분류 체계를 마련하였다. C절에서는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내용 구성을 위한 텍스트의 선정 원리와 문법 지식의 선정 원리를 설정하였다.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을 위한 텍스트 선정 원리는 ①실제성 중심의 원리, ②탐구 중심의 원리, ③사용 중심의 원리로, 문법 지식의 선정 원리는 ①장르성 구현의 원리, ②주관성 투영의 원리, ③범텍스트적 실현성의 원리로 구체화되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연설 텍스트와 그에 나타난 이중 부정 표현을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하였다. Ⅲ장에서는,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구체적인 내용 마련을 위해 연설이라는 의사소통의 장면 속에서 이중 부정 표현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으며 어떠한 화용적 기능을 띠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중 부정 표현은 희석하거나 강조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사용되면서 발화의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기도 하고, 동의를 구하거나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면서 발화의 설득력을 높이는 기능을 갖기도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텍스트 중심 이중 부정 표현 교육 내용의 실제를 보였다. 교수·학습을 위한 내용 구성의 틀은 ‘텍스트 경험 상기하기-문법 지식 탐구하기-문법 지식 활용하기’의 3단계로 설정하였고, 각 단계마다 성취 기준과 내용 요소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각 단계별 교육 내용을 상세화 하였다.;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mmar education has long been focused on grammar itself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s. In most of the school fields, mechanical lectures about grammars of Korean language have been delivered under the teacher’s lead. Learners perceive grammar classes as a time for memorizing and acquiring grammatical knowledge. Since grammar was especially considered as a tool for minimizing orthographical errors in a procedure for revision, education for grammar had to be practiced in a diagnostic view in order to help learners write with standards. Grammar, however, is not just a simple tool for the standard use of language, and it’s also not even close to colorlessness or odorlessness. In various contexts of language use, grammar can be a power from the very core to make the most effective expressions of one’s thought. This paper focuses on ‘text’ as appearance of communication through this point of view. Text means certain appearance of communication which is produced and received continuously in the real language using situation. Therefore, text-based grammar education could include the features the language has in language use through the aspect of usage. Also, it is worth studying for the agent who expresses to consider the context of language use, construct the message by realizing one’s intention of the expression effectively, and educate by clearing the process of language realization specifically. Especially, to make students study what kind of meaning function grammars or vocabularies are taking within texts which can be easily approached in their lives would help them know that grammar knowledge they’ve acquired through grammar researching experience could conduct as a power of expressions to escalate the level of a quality of students’ language life, not as nonproductive standards or something to memoriz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direction of text-based grammar education, define a constituting principle on contexts, and prepare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Firstly, in chapterⅡ of this paper, the concept of a text in grammar education and reestablish the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be best suited for the texts. Through this research, text includes all of the expressions that can be seen in the communication contexts regardless of lengths or whichever mode it would be either spoken or written language so that text can be enlarg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s an educational content. Also, text was considered as an intrinsic substance of language use not as fixed substance within unchanging system, by realizing fluid tex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aspect of speech-act theory. This is resulted by considering that center of speech-act can be differed according to every factors even though all the texts are written by same language form. Also, contents constituting principle for text-based grammar education could be prepared. Consequently, principle of actual use, principle of research, and principle of utilizing were used for selecting texts, and principle of genre realization, principle of subjectivity projection, and principle of whole textual feasibility were used for sorting grammatical knowledge. In chapterⅢ, the usage of double negative expressions stated in speech texts were examined through pragmatic approach. Until now, all of the double negative expressions can be interpreted as strong affirmation or even as something to be corrected by reason of cognitive confusion.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double negative expressions can be functioned as four communication strategies, which are diluting, emphasizing, consent demanding, and appropriateness assigning, focused on double negative expressions in speech texts. Upon this contents stated above, in chapterⅣ, contents outline for teaching and learning were prepared for specifying educational contents to educate double negative expressions in speech texts. The essence of grammar education is to make grammar work as driving force for expressions within various communicative contexts in actual language using life, and help learners communicative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put emphasis on stating that grammar education should be influential for students to use grammatical knowledge as a productive and strategic feature in their language using life. Thus, the grammar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not a fixed one as a part of knowledge system but a dynamic education that considers registers. Key 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mmar Education, Text-based grammar education, Genre Grammar, Double negative expressions, Speech texts, Communication strateg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