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요약문 쓰기 활동이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요약문 쓰기 활동이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Summary Writing Activity on the University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in English
Authors
이문수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주
Abstract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어휘는 가장 기본이 된다. 영어의 4가지 능력인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의 언어 기능들도 어휘에 기초하며 충분한 어휘 지식이 없이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영어교육에서 의사소통교수법이 대두됨에 따라 표현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어휘 학습의 현실은 암기위주의 어휘 학습 상태에 머물러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학습자들의 경우 수용적인 어휘 지식(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은 상당한 양을 가지고 있지만 그 지식을 생산적인 어휘 지식(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으로 가지고 쓰기나 말하기를 통해서 표현하기가 쉽지 않다. 많은 한국 학습자들이 수용적인 학습 위주에 의한 어휘 학습으로 말하기 및 쓰기의 기회가 많지 않았을 뿐 아니라 연습 부족 등 이유들로 어휘를 표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 자신이 알고 학습한 어휘들을 사용해 볼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생산적인 활동들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어휘 사용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하고 학습자들이 이전의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자세로 수용적인 어휘 지식들을 생산적인 어휘 지식들로 발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영어 독해 지문을 접하게 된 목표 어휘들이 요약문 쓰기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어휘 학습과 관련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독해 지문을 통해 접한 어휘를 목표 어휘로 한다. 이 목표 어휘를 이용하여 학습한 독해 지문에 대한 요약문 쓰기 활동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대상은 8명의 한국 대학생들이며 실험 기간은 한 달 동안 3차시의 수업을 통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이전에 사전 어휘 평가를 실시하여 8명의 실험 학생들의 어휘 능력을 수준별로 상위와 하위의 두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어휘 학습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실험 이후에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여 요약문 쓰기 활동이 어휘 학습에 어떠한 효과를 미쳤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 1주일 후에 지연 어휘 평가를 실시하여 요약문 쓰기 활동을 통한 어휘 학습이 학습자의 어휘 지식의 기억과 보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어휘 학습의 지연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사후 설문지를 통하여 요약문 쓰기 활동을 통한 어휘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위에서 논의한 요약문 쓰기 활동을 통한 어휘 능력에 대한 변화와 요약문 속 목표 어휘 사용의 차이 및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후행 활동으로 목표 어휘를 사용하여 요약문 쓰기 활동을 했을 때 요약문 쓰기 활동이 학습자들의 단기 및 지연 어휘 학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집단 학습자들과 하위 집단 학습자들 모두 요약문 쓰기 활동에 따른 사후 및 지연 어휘 평가 점수를 사전 어휘 평가 점수와 비교한 결과 큰 어휘 점수 향상을 보였다. 특히, 하위 학습자들의 향상이 상위 학습자들의 향상보다 더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요약문 쓰기 활동이 상위 학습자들과 하위 학습자들의 단기 어휘 학습 및 지연 기억효과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한 목표 어휘를 가지고 요약문 쓰기 활동을 할 때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 집단 별 목표 어휘를 사용함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목표 어휘를 사용하여 요약문쓰기를 하면서 목표 어휘가 사용된 표현들의 어휘의 형태, 의미-관념 연합, 활용-문법적인 형식과 연어의 네 가지 요소들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상위 학습자들이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보다 요약문쓰기 활동 시 목표 어휘를 더 많이 표현했고,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 목표 어휘의 형태를 기억하지 못할 때 목표 어휘와 비슷한 의미의 다른 어휘를 사용하기도 하고 목표 어휘를 사용함에 있어 꼭 목표 어휘의 기본형에 의존하지 않고 그 형태를 문맥에 맞게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목표 어휘의 형태를 잊어버렸을 때 목표 어휘가 표현되어야 할 자리에 한국어로 그 의미를 대신 적어 놓았고 때때로 목표 어휘의 품사와 상관없이 그 의미가 이해되는 범위 안에서 목표 어휘의 품사를 올바르지 않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목표 어휘의 형태에 관한 어휘 학습에 있어서 일관성 없는 학습의 경향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들 모두 목표 어휘를 가지고 요약문 쓰기 활동을 했을 경우 목표 어휘뿐만 아니라 그와 함께 부가적으로 함께 나오는 표현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되고 우연적으로 학습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사전 설문 시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휘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을 뿐 아니라 그 중요성에 대해서도 인지하고 있었지만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어휘 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또 어휘 학습의 경향을 살펴볼 때 어휘의 형태나 사용보다는 보통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후 설문에서는 요약문 쓰기 활동을 통한 어휘 학습이 어려웠지만 흥미를 느꼈고 비교적 효과가 있다고 느꼈다. 영어 어휘 학습의 형태, 의미, 활용의 세 가지 측면에서의 요약하기 활동의 효율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은 세 가지 측면에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특히 어휘 활용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영어 학습 상황에서는 어휘를 학습함에 있어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어휘의 수용적인 지식 측면에서만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입시 환경 속에서 암기위주의 어휘 학습을 하는 경우가 많고, 또 수능 형식에 맞추어 영어 학습을 하다 보니 어휘를 눈으로만 학습하여 비슷한 형태의 서로 다른 많은 어휘들을 혼동하기도 하며 그 어휘들을 사용하여 짧은 문장을 만드는 것조차 힘들어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읽기 활동을 하고 난 후 학습한 어휘들을 가지고 간단하게라도 읽은 지문을 요약해 봄으로써 목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어휘 학습이 보다 깊이 있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고 수용적인 지식의 형태에 머물러 있던 많은 학습한 어휘들을 보다 깊이 있는 생산적인 지식의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듣기와 읽기에서 뿐 아니라 말하기와 쓰기를 통해서 그 어휘들을 보다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Vocabulary is considered essential to learn the foreign language. Four skills of English,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re based on vocabulary so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without enough vocabulary knowledge. With the rise of communicative approach in English teaching, new emphasis has been to the importance of expression, but rote learning and memorization still take the central place in vocabulary learning. That is the reason why many learners have difficulty in expressing themselves with the learned vocabulary in speaking or writing even though they have a large receptive vocabulary of English. Many Korean learners do not have enough opportunity to use the learned vocabulary through speaking or writing because of receptive-centered vocabulary learning and lack of practice. It is necessary for learners to use the learned vocabulary through various productive activities and teachers should lead their learners to move from passive to active and leading attitude in learning vocabula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ummary writing with target words on vocabulary learning. In this study, the words learned in the reading passages are the target words. Participants carried out summary writing activity with the target words about the text. The study was conducted three classes for a month with 8 university students. The pre-vocabulary test was carried out before the experiment an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high or low English proficiency level, based on the test results. Also, they conducted pre-questionnaire about their attitude on vocabulary learning. After the experiment with summary writing activities, post-vocabulary tests were conducted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summary writing on vocabulary knowledge and delayed vocabulary tests after a week for measuring the delayed effects of summary writing on vocabulary knowledge. Then, participants carried out post-questionnaire about the experiment, summary writing activity and vocabulary learning through i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mmary writing activity with target words after reading the text has a positive effect on immediate post and delayed vocabulary tests. Both the post and delayed test results improved a lot for both high and low level students. Above all, the results of low level group improved more than high level group. Therefore, summary writing activity had an influence on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of the target words for both high and low proficiency levels.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summary writing of high level and low level in terms of the use of the target words. Summary writing is analyzed with four factors, form-written form, meaning-association, use-grammatical patterns and collocation. The result was that students with the high-level proficiency used more target words while writing a summary. They used synonyms or other expressions related to the target words when they forgot the forms of target words. They also showed their ability to use the target words in the proper context by changing the verb forms. For the students with the low-level proficiency, they used Korean words when they did not recall the forms of target words, and they sometimes made mistakes related to grammatical patterns, parts of speech. Also, their vocabulary learning was not consistent through their summary writing. However, both high and low level students learned and used the expressions related to target words while writing a summary with target words. Third, pre-questionnaire about their attitude on vocabulary learning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had high interest in vocabulary learning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levels. However, they had little interest and even had difficulty in studying vocabulary. Also, they tended to focus more on meaning of a word than form and use. Post-questionnaire about summary writing showed tha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summary writing was difficult but they felt interested and effective. They made positive responses to the effects of summary writing on form, meaning, and use of the vocabulary learning and especially they felt it very helpful to use the vocabulary. These results have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vocabulary teaching. As Korean English learning conditions still do not spend a lot of time on vocabulary learning, the vocabulary learning is usually focused on the aspects of receptive knowledge. Learners study English vocabulary in examination-oriented system, as a result, they are familiar with learning vocabulary through reading. They have difficulty in making short sentences with learned words and distinguishing confusing words with similar spellings. However, 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vocabulary learning will be enriched when learners are given some opportunity to summarize the text with learned vocabulary through the reading texts. Wide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learners already had will be able to change into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they can use the vocabulary in speaking and writing as well as in reading and liste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