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5 Download: 0

다니엘 뷔렝(Daniel Buren)의 줄무늬 화면과 그 변환에 따른 '인 시튜(in situ)'의 특성

Title
다니엘 뷔렝(Daniel Buren)의 줄무늬 화면과 그 변환에 따른 '인 시튜(in situ)'의 특성
Other Titles
A Study on Daniel Buren's In-situ works using Stripe Painting and its variation of Cabane, Colors and Mirrors
Authors
박은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숙영
Abstract
1960년대의 미국과 유럽 사회에서는 많은 변화의 물결이 일었다. 미국에서는 베트남 전쟁과 반전 운동, 흑인 인권 운동, 페미니즘 운동 등 사회적으로 변화를 요구하는 여러 사건들이 일어났으며, 또한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발한 68운동은 기존의 권위적인 정부 및 사회적 체제에 대한 변화를 촉구하며 유럽의 주요 도시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게 1960년대의 서구 미술계 또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났다. 뉴욕 미술계는 비평가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모더니즘 예술론에 힘입은 추상표현주의가 1940년대에 등장하여 50년대 초까지 전성기를 맞았다. 추상 표현주의는 이후 색면 추상으로 이어지며 1960년대 중반까지 서구 미술계를 지배하였다. 한편 1950년대부터 형식주의 모더니즘을 벗어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일어났는데 1960년대 초에 출현한 팝 아트 및 미니멀리즘 외에 1960년대 중반 이후에 등장한 개념 미술, 대지 미술, 제도 비판 미술 등이 그 예들이다. 1960년대 중반에 미술계에 등단한 다니엘 뷔렝은 형식주의 모더니즘을 거부하며 회화 및 개념 미술에 대한 비판 속에서 흰색과 유색의 띠가 반복되는 줄무늬 화면을 고안하였다. 두 가지 색의 띠가 반복되는 줄무늬 화면은 어떠한 구성 및 내용이 없는 중성성을 지닌다. 중성적인 줄무늬 화면은 그것이 놓인 장소의 성격을 드러내는 시각적 도구로서의 기능을 한다. 한편 줄무늬 화면은 ‘카반느’ 및 ‘색’, ‘거울’로 변환된다. 입방체 형태의 건축적 설치물인 카반느는 관객의 신체 움직임을 통해 장소성을 인지하도록 하고, 색과 거울은 전시 장소에 시각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뷔렝은 줄무늬 화면, 카반느, 색, 거울을 사용하여 장소가 지닌 성격을 보다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인 시튜 작업을 제작한다. 전시 장소가 작품 제작 장소이기도 한 인 시튜는 작업실이 제거되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인 시튜 작업은 권위적인 제도 기관으로 기능하는 미술관의 성격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지니고 있고, 아울러 인 시튜 작업에서는 인간이 건축한 장소의 물리적, 문화적인 성격이 드러난다. 또한 인 시튜 작업에서 관람자는 스스로의 신체를 움직이며 장소성 및 작품의 의미를 탐구한다. 뷔렝은 줄무늬 화면을 사용하는 인 시튜 작업을 통해 미술관과 갤러리를 비판한다. 그는 갤러리 내 · 외부에 줄무늬 화폭을 설치해 갤러리의 역할과 기능을 관람객들이 인지하도록 만들고, 줄무늬 화면을 통해 미술관이 작품 및 관객에게 행하는 검열 및 통제의 기능을 드러내기도 하며, 미술관의 계단이라는 현실적인 건축적 구조를 부각시켜 초현실적인 장소로서의 미술관이라는 신화성을 무너뜨린다. 뷔렝은 전시장의 넓이와 깊이를 부각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카반느를 통해 관객의 신체적 경험을 유도하는 현상학적인 방식으로 관객들이 장소성을 인식하도록 만든다. 그리고 카반느에 반투명한 유색 플랙시글라스를 부착하거나 카반느 틀 자체를 소멸시키기도 하고 카반느를 완전히 투명하게 만듦으로써 장소에 대한 관객의 신체적 경험을 극대화시킨다. 뷔렝은 줄무늬 화면을 사물의 형태로 만들어 일상적인 장소에 위치시킨다. 피켓, 기차의 출입구, 포스터의 형태로 제작된 줄무늬 화면은 도심 속에 놓여 작품, 광고, 기호 등 다양한 일상적인 사물로 해석된다. 또한 돛, 액자, 깃발, 출입구 등의 형태로 제작된 줄무늬는 실제 사물로 기능하기도 하는데 이는 예술이 일상 공간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줄무늬 화면이 거울과 색으로 변환되어 사용되는 인 시튜 작업은 미술관과 갤러리에 시각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뷔렝은 유색 시트지와 플랙시글라스를 사용해 전시장 내부에 다양한 색채의 유희가 일어나도록 한다. 또한 그는 미술관 외부에 플랙시글라스를 설치하거나 색을 전시장 벽에 직접 칠하여 전시장을 시각적으로 왜곡, 확장 또는 축소시킨다. 그리고 미술관과 갤러리 외부에 거울을 붙이는 방식은 전시 장소를 환영적인 장소로 변화시키거나 건물을 시각적으로 왜곡하고 해체시킨다. 색과 거울을 통해 장소에 시각적 변화를 가져오는 인 시튜 작업들은 미술관과 갤러리는 조작이 가능한 대상물로 바라보는 것으로서 미술관과 갤러리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줄무늬 화면, 카반느, 색, 거울 등이 사용된 인 시튜 작업은 권위적인 미술제도 기관으로 기능하는 미술관과 갤러리를 비판하고, 장소에 관한 관람자의 신체적 경험을 유발한다. 그리고 뷔렝은 인 시튜 작업을 일상 공간으로 확장시키기도 하고, 인 시튜 작업을 통해 미술관과 갤러리 공간을 재구성한다.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그가 추구하는 바는 권위적인 성격을 지닌 미술관을 와해시키고, 미술관에서 관객과 작품이 자율성을 획득하도록 만드는 것이며, 관객, 작품, 미술관이 대등한 관계 속에서 교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뷔렝의 시도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예술을 삶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삶의 예술, 예술로서의 삶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America and Europe's society in 1960s was under lots of social changes. America was experiencing several incidents like anti-Vietnam movements, civil rights movement for African-Americans, feminism movement. And a broke down of May 68 in France, as a movement to call social changes against conservative government and social systems, was spreading over all major cities in Europe. Art scenes in America and Europe was also facing various changes. As Greenberg's Formalism, Abstract Expressionism occurred in 1940 was lead to Color Field Abstract and it lasted to 1960s. Amid of the prevalence of Color Field Abstract, Pop Art and Minimalism were also at its highest peak. In the end of 1960s, Conceptual Art, Land Art and Institutional Critique Art were appeared. These art movements were trying to demolish Greenberg's Modernism, conventional form of painting and sculpture, making art pieces in the nature and criticizing art museums and galleries. Especially these attempts set audiences as a subjective entity in the art field. Daniel Buren made his first step in the art world in the middle of 1960s. He had anti-Modernism points of view. Buren criticized Greenberg's Formalism, conventional paintings and Conceptual Art. He invented 'stripe painting' which white and colored stripes were repeatedly shown on the canvas. With no composition and meaning, this stripe painting is neutral so that it reveals characteristics of a place. Buren called stripe painting 'visual tool' which makes people look around where stripe painting displayed. This stripe painting is transformed into 'Cabane', 'Colors' and 'Mirrors'. Cabane, which look like a small room, has enterances which audience can in and out of the it and experience the place. Colors are directly painted on the place or shown with color sheets or plexiglass changing light to color. While mirrors were installed directly or as a form of mirror tower or wall, bringing place's visual change. Buren makes In-Situ works with tools like stripe painting, Cabane, colors and mirrors, In-Situ means 'make or produce art work in the place', showing actively place's features. In-situ rejects artist's studio and criticizes art galleries and Museums. And it also exposes physical and cultural features of place and motivates audience's active participation. With In-situ works using stripe painting, Buren criticizes art galleries and galleries. By installing striped screen in and out of gallery, he let audiences recognize negative factors of gallery and museums and know museum's censorship and control on audience and art pieces. And stripe painting accentuates museums' architectural elements so that the myth museum as a Ultra-space having nothing to do with real world was broken down. As variation of stripe painting, Cabane induces physical experience of audience. By producing various forms of Cabane, audience can experience places' own distinctiveness. In addition, he maximizes audiences' physical experiences in a way that makes invisible Cabane and sets transparent Cabane. Buren positions stripe painting on common places with the form of ordinary objects. Striped painting turns into pickets, gates and posters, and their meanings were prompted by the site. In addition, transformed ones like sail, frame, flag and gate function as actual objects. These In-situ works extend art into ordinary spaces. Lastly, the use of mirror and color reconfigurates galleries and museums. Color sheets and plexiglass bring various vivid colors in the white cube gallery. And directly painted color on the wall of exhibition room makes exhibition rooms distorted, extended and reduced. Mirrors make galleries and museums illusioned, distorted and disintegrated. Using colors and mirror restructure galleries and museums. The use of stripe painting criticizes art system such as galleries and museums, and Cabane let audience experience the place as their movement. Stripe painting shaped like common objects expends art to life. Colors and mirrors reconfigurates gallery and museum, seeing these place as aesthetic object. These kinds of In-situ works are believed to be Buren's efforts to break down barriers of museums, art works and audiences. Buren pursues authentic communications among art institutes, works and public and let art pervade to the real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