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은경-
dc.contributor.author이보람-
dc.creator이보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0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6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077-
dc.description.abstractThe existence and transformation of art have always occurred with human life, and this transformation is also reflected in dance. In the 20th century, dance has focused on psychological expression revolving around the themes that seriously express the internal world of human, going beyond the dance for show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erest in human psychology based on the art work “Lose, Lost”, an art work created in the conformity with the trends of contemporary ballet, look into the expression rooted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movement and mo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Lose, Lost” - which is the creative psychological dance work ­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Lose, Lost” is based on the memory deem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human psychology and the memory loss caused by the suppression, denial, the self-defense mechanism to protect oneself from various emotions arising from the memory. This art work, which consists of 4 chapters, expresses the process in which one track the memory, unconsciously suppresses the memory due to the intolerable agony, and finally realizes that it was not the true memory loss because the subconsciousness was also one of his/her own part. For that, various objets were us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By talking about the memories that most people have, this art work attempted to induce an empathy. Second,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movement were structured various in such a way that they suit each chapter. In the chapter I, the front area of the left stage and right stage were used altogether, and the efforts to lose memory was expressed by the arms or clock that were hung down and shaking while the efforts to enshrine the memory was expressed by the motion of contracting the chest strongly, thereby expression the reactions that can appear while the memory is being tracked. Chapter 2 used the line of traffic of those unable to distance themselves from the place where they broke the link of memory and linger around, expressing the inability of those who try to escape from the suppressed memory but unable to do so in reality. Chapter 3 showed the psychologically intensive reaction by using mainly the movement route of a long diagonal line and expressing the movement at high level, like running and turning around, in contrast to the Chapter 2 where one is unable to go beyond the limit of space. Finally, the chapter 4 showed that the movement returns to the front area of the left stage in order to suggest that one cannot escape from the memory. In the final scene, the dancer threw a sort of cloth, an act of denial to protect herself from the memory, but the cloth dropped off the dancer’s body. Third, the objets have each meaning in the work, but also are interrelated. They were us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toward the art work and create an empathy. Y-shirts symbolized the ‘routine memory that is not perceived although it is a painful memory’, and the clock was used as an objet symbolizing the ‘time’ which could be imagined by anyone. Finally, the cloth was used to express the ‘panorama of memory’, an important object appearing from the chapter 1 to the chapter 2 and giving an important meaning to the art work. As shown above, “Lose, Lost”, the creative art work,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y that can be experienced and empathized by anyone. Among others, this art work focuses on the self-defense mechanism, such as denial and suppression, which is meant to protect oneself unconsciously, and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uch self-defense mechanism. Thus, this art work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internal aspect specifically for the audience who are not aware of or do not have an understanding, and furthermore, can be used to set the themes and stimulate the understanding in relation to the human psychology in wider and more various ways.;예술은 인간 생활과 함께 존재하고 변화되어 왔으며, 또한 이러한 변화는 무용에도 반영되며 발전되어 왔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무용은 보여주기 위한 무용에서 더 나아가 인간 내면에 대한 진지한 주제를 다루는 심리적 표현에 초점이 맞춰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작품 『잃다, 잃어버리다』를 창작하였고, 이 작품을 통해 인간 심리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통한 표현, 그리고 움직임과의 관계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심리적 경향을 띤 무용창작작품 『잃다, 잃어버리다』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잃다, 잃어버리다』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억과 그 기억에 영향을 받아 생겨나는 다양한 감정들로부터 자신을 지키고자 하는 방어기제인 부정과 억압 등에 의한 기억 상실을 소재로 한다. 총 4장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기억을 더듬어 가는 과정과 괴로움에 대한 기억을 무의식으로 억압시키고, 잊은 줄 알았지만 그 무의식도 자신의 영역이기에 완전한 의미에서의 기억 상실이 아님을 깨닫는 과정을 표현하였다. 둘째, 공간구성과 움직임은 각 장에 맞도록 다양하게 구성되었는데, 1장은 무대의 상수 앞쪽과 하수 앞쪽을 모두 사용하였고, 팔이나 시계를 축 늘어뜨려 흔들거리는 움직임으로 기억을 상실코자 하는 노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가슴을 강하게 수축하는 움직임으로 기억을 소중히 하고자 함을 보여주어, 기억을 더듬어 가면서 나타낼 수 있는 반응들을 표현한다. 2장은 기억의 흐름을 떨어뜨린(억압시킨) 장소에서 멀리 벗어나지 못하고 그 주위를 맴도는 이동경로를 사용하여, 억압시킨 기억에서 벗어나려고 하지만 실제로 벗어나지 못함을 나타낸다. 3장은 한 공간에서 벗어나지 못한 2장과는 대조적으로 긴 사선의 이동경로를 주로 사용하고 뛰거나 도는 등 높은 레벨의 움직임을 함으로써 내면에서 일어나는 격렬한 반응들을 나타내었고, 4장에서는 결국 벗어날 수 없음을 나타내기 위해 상징적 공간인 상수 앞쪽으로 돌아온다. 마지막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기억들을 부정하는 행동의 일종으로 위를 향해 천을 던지지만 자신의 몸에 떨어지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셋째, 작품에서 오브제는 각각의 의미를 지니지만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관객에게 작품을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사용되었다. 흰색 와이셔츠는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자각하고 있지는 않은 일상적 기억들’을 상징하는 것이고, 시계는 누구나 상상할 수 있는 의미인 ‘시간’을 상징하는 오브제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잿빛의 천은 ‘기억의 파노라마’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이는 작품의 1장부터 4장까지 등장하여 작품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무용창작작품 『잃다, 잃어버리다』는 누구나 경험할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인간 심리에 대한 이해와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심리 기제인 부정과 억압 등의 방어기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작된 작품이다. 이에 따라 누구나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지만 자각하고 있지 못하거나 그에 대한 이해를 바로 하고 있지 못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내면에 대해 돌아볼 기회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창작에서 더욱 폭넓고 다양한 인간 심리에 대한 주제 설정과 이해를 촉구하면서 더욱 적극적으로 창작의 주제를 넓혀갈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6 A. 심리학에서의 방어기제 6 1. 방어기제의 개념 6 2. 방어기제의 역사적 이해 8 B. 조지 베일런트의 방어기제 유형 10 C. 현대 발레 작품에서 나타난 심리적 성향 19 1. 무용에서의 표현주의적 특징 19 2. 현대 발레 작품에서의 심리적 성향 22 Ⅲ. 무용창작작품『잃다, 잃어버리다』의 안무 의도 28 A. 내용적 측면 28 B. 형식적 측면 30 Ⅳ. 무용창작작품『잃다, 잃어버리다』에 관한 분석 32 A. 작품의 주제 및 내용 32 B. 무대 공간 사용과 움직임 36 C. 오브제의 이미지 67 Ⅴ. 결론 75 참고문헌 78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869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자아방어기제를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잃다, 잃어버리다』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Creative Dance Work 『Lose, Lost』Based on Self-Defense Mechanism-
dc.creator.othernameLee, Bo Ram-
dc.format.pagex,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