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1 Download: 0

발 변형 측정 방법의 타당성

Title
발 변형 측정 방법의 타당성
Other Titles
Foot Deformity Measurement Validity: The Relationship between CSI,SAI,RCSP
Authors
강화숙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foot type for a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 according to CSI (Chippaux-Smirak Index), SAI (Stahelis Arch Index), and RCSP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for foot type, and compare the results of each methods, therefore it is to find the most validity method to measure foot type at school. These would be useful basic material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 application for a foot injury precaution and a foot deformation protection in the physical activity and education of a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 We constructed the experimental group of 133 attending female students of a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measured CSI, SAI, and RCSP from their foot prints. A foot shape & deformation, a correlation among foot shapes, a unity modulus among foot shapes, and s pressure distribution are analyzed with measurement results. Conclusion by the above research methodology and procedure is shown below. 1. Feasibility of foot shape measurement method 1) Foot shape measurement method SAI and RCSP can be used identically because there is a high agreement between both methods (53.4%) among three foot shape measurement methods. However, RCSP is difficult to a teacher because it needs skilled technique. Therefore, SAI measurement method is the easy approach to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chool field. 2) Dynamic/static measurement The dynamic measurement method can represent walking features of an actual student better because there appear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X2=164.90**,P=0.00) between dynamic and static measurement methods when they ar eprocessed respectively. 2. Real condition of foot deformation 1) Foot deformation condition of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 There are pes planus(10.9%), pes rectus(64.7%), and pes cavus(24.4%) of female junior school student’s feet measured by SAI measurement method. So, 35.3% of students have foot deformations. (1) Foot deformation according to weight Target group is divided into above and below average groups according to their weights, and SAI dynamic foot shapes are inspected. There are pes planus(11.1%), pes rectus(62.0%), and pes cavus(26.9%) below the average, and pes planus(13.4%), pes rectus(68.8%), and pes cavus(17.9%) above the average. There is on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s rectus between two groups(F=-3.46, P=0.03). (2) Foot deformation according to height Target group is divided into the above and below average group according to their heights, and SAI dynamic foot shapes are inspected. There are pes planus(12.5%), pes rectus(66.3%), and pes cavus(21.2%) above average, and pes planus(9.8%), pes rectus(61.5%), and pes cavus(28.7%) below average.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s cavus (F=0.96,P=0.37), but no difference in flat and normal foot. (3) Foot deformation according to obesity degree Target group is divided into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and obese groups according to their obesity degrees and foot shapes are compared. The underweight group consists of flat foot(7.6%), pes rectus(59.7%), and pes cavus(32.6%), the normal group pes planus(15.1%), pes rectus(69.8%), pes cavus(15.1%), the overweight group pes planus(20.0%), pes rectus(80.0%), but there is no posteriori test in the obese group because of its few number. Increasing Flat foot can be observed from underweight to overweight. So, obesity is the factor influencing deformation of pes planus.;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는 대표방식, 즉 전족-중족폭비율지수(CSI; Chippaux-Smirak Index), 후족-중족폭비율지수(SAI; Stahelis Arch Index), 그리고 직립시종골각(RCSP;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측정 방법을 선택하여 발의 유형을 검사하여 여중생 발 유형과 변형률을 파악하고, 각 발 유형 검사 방법 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학교 현장에서 타당하고 경제적인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자료는 여중생들의 신체활동, 체육교육 시, 발 상해예방 및 변형 방지를 위한 체육 프로그램 적용의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여중생 133명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을 구성하여, 발 유형 측정법 중 족문(Foot Print)에서 측정한 전족-중족폭비율지수, 후족-중족폭비율지수와 직립시종골각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가지고 발 유형과 변형, 발 유형간의 상관관계, 발 유형간의 일치도, 압력분포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 유형 측정 방법의 타당성 1) 발 유형 측정 방법 세 종류의 발 유형 측정 방법 중 후족-중족폭비율지수와 직립시종골각 간의 일치도가 높게 나타나(53.4%) 두 종류의 방법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직립시종골각은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므로 학교 현장에서 체육교사가 직접 시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후족-중족폭비율지수 측정법이 현장에서 체육교사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2) 동적/ 정적 측정 후족-중족폭비율지수의 동적⋅정적 측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X2=164.90**, P=0.00), 전족-중족폭비율지수의 동적⋅정적 측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X2=78.77**, P=0.00). 그러므로 동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실제 학생들의 보행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잘 대변할 수 있을 것이다. 2. 발 변형 실태 1) 여중생의 발 변형 실태 후족-중족폭비율지수 동적 측정법으로 측정한 여중생의 발은 편평족(10.9%), 정상족(64.7%), 요족(24.4%)으로 나타나, 35.3%가 발 변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몸무게에 따른 발 변형 대상군의 몸무게를 기준으로 평균이하와 평균, 평균이상으로 그룹을 나누어서 후족-중족폭비율지수 동적 발 유형을 검사한 결과, 평균이하에서는 편평족(11.1%), 정상족(62.0%), 요족(26.9%)이고 평균에서 편평족(4.3%), 정상족(60.9%), 요족(34.8%), 평균이상에서는 편평족(13.4%), 정상족(68.8%), 요족(17.9%)으로 나타났다. 평균이하와 평균, 평균이상 그룹 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46, P=0.03) (2) 키에 따른 발 변형 대상군의 평균 키를 기준으로 평균이하와 평균, 평균이상으로 그룹을 나누어서 후족-중족폭비율지수 동적 발 유형을 검사한 결과, 평균이하의 편평족(12.5%), 정상족(66.3%), 요족(21.2%)이고, 평균에서 편평족(10.0%), 정상족(70.0%), 요족(20.0%), 평균이상의 편평족(9.8%), 정상족(61.5%), 요족(28.7%)으로 나타났다. 평균이하와 평균, 평균이상 그룹 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0.96, P=0.37). (3) 비만도에 따른 발 변형 대상군의 비만도를 기준으로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4그룹으로 나누어서 발 유형을 비교하였다. 저체중은 편평족(7.6%), 정상족(59.7%), 요족(32.6%)으로 나타났다. 정상은 편평족(15.1%), 정상족(69.8%), 요족(15.1%)으로 나타났다. 과체중은 편평족(20.0%), 정상족(80.0%), 요족(0%)이 나타났다. 비만은 편평족(0%), 정상족(66.7%), 요족(33.3%)으로 나타났다. 비만군의 학생 수가 적어 사후 검증을 하지 못하였다. 저체중에서 과체중으로 갈수록 편평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비만이 편평족의 변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유추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