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김은현-
dc.creator김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79-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환경문제는 자연환경과 지구환경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환경보호 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환경보존의식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이 시대적 흐름 속에서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고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를 바르게 이해하며,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환경보존의식’ 교육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학생들의 전인적 인격형성과 흥미를 고려한 각 영역별의 연계된 타 교과와의 통합수업은 중요시되고 있다. 통합교육은 ‘환경보존’ 이라는 사회의 문제와 관련되어서 학습자의 실제적인 삶과 연관되어 학습자의 흥미와 경험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에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동시에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른 ‘환경보존의식’ 고취를 위해서 미술과에서 교과통합수업을 연구하고 적용하여 중학교 1학년 학습자에게 환경보존의식 향상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학습자가 미술교육을 통해 전인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와 새로움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고, 사고와 흥미는 자발적인 학습을 이끌어 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교육은 교과간의 연계가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습자는 창의적이며 자발적인 학습보다 비창의적이고 수동적인 학습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고 본 논문에서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효율적인 수업방안을 개발하여 미술교육에 있어서 보다 넓고 다양한 방법의 새로운 시각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교육의 흐름도 사회가 요구하는 자율적이며 개방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국가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현장에서도 능동적이며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갖춘 학생으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그 방법을 살펴보면 일상생활의 구체적인 삶과 관련된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PBL)을 들 수 있다. 문제중심학습(PBL)은 실생활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해줌으로써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스스로 탐구해 가는 과정 속에서 비판적, 사고력, 협동심,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도록 하는 학습형태이다.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스스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선택하여 활용하는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전통적인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적 잠재력이 매우 큰 학습방법이 문제중심학습(PBL)모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PBL)모형을 중심으로 중학교 1학년 미술과에서 교과 통합수업이 학생들의 환경보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교과통합 수업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먼저, 환경보존의식에 대한 개념 및 필요성을 문헌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살펴본 다음, 중학교 미술과 교육에서 환경보존의식 고취를 위한 교육과정 통합모델과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PBL)모델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중학교 미술과 교육에서 교과 통합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종합하여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의 유형 중 포가티(Fogarty)의 거미줄 모형을 선택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다음 조연순(2010)의 문제중심학습모형(PBL)을 토대로 중학교 1학년의 발달단계와 흥미를 고려하여 학생들에게 실생활과 관련된 ‘환경보존 포스터 디자인’이라는 문제를 주어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환경문제를 알아보고 환경보존 포스터를 디자인한 후에 직접 제작하게 함으로써 환경보존의식을 심화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김포구 Y중학교 1학년 72명을 대상으로 36명의 실험집단에는 문제중심학습모형(PBL)을 중심으로 교과통합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수업방식에 따른 분과식 수업을 36명에게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환경보존의식’에 따른 변화는 실험 처치하여 얻은 결과 중 통계적 처리가 가능한 수집자료는 SPSS ver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없는 실기 결과물은 질적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한 환경보존의식 평가도구는 계선자(1997)의 <아동기 소비자의 환경보존의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논문과 중학교 환경 교과서 (주)지학사를 참고하여 중학교 1학년 수준에 맞게 본 연구자가 고안한 것으로 평가문항 및 각 문항의 평가 기준의 내용 타당도에 대해서는 교육전문가 2명의 검증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PBL)모형을 중심으로 미술과에서 교과통합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전통적인 표현위주의 수업을 한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환경보존의식의 세 가지 하위요소 인지적 영역, 실천적 영역, 가치적 영역에 있어서 인지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에서 높은 차이를 보였으며. 가치적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사전과 사후의 평균값에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실기 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실기 평가의 하위요소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에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미술과에서 문제중심학습(PBL)중심의 교과통합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는 ‘환경보존 의식’을 내면화할 수 있었고 환경문제 대한 기본 내용을 잘 이해하고 실천하려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학습(PBL)모형을 중심으로 한 미술과에서의 교과통합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환경보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Environmental issues, which are one of the most highly emphasized problems in modern society, are greatly affe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lobal environment. In order to overcome the gravity of such environmental issues, a world-wide movement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has arisen, as well as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In this current trend, education on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which aims to raise students’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and facilitate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in order to be able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According to such social demands, great emphasis is being placed on designing classes on integrated study; which means classes tend to associate social issues with students’ real life and to consider students’ holistic character building with their interests, connecting related contents from other subjects to theirs. Integrated education can derive students’ interest and experience because it allows students to relate social issue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to their practical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change in students’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by implementing integrated art class to seventh grade learners so that it can dedicat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environmental awareness among students, which is one of the most critical problems and greatest social issues. This study will prove that learners develop holistic character and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interests in new subject material, and that the newly-developed creativity and interests lead to voluntary learning through art education. However, until recently, inter-subject integrated education has rarely been executed and students learn in an uncreative and passive manner, which lacks creativity or spontaneity. Realizing the need of inter-subject integrated education, this paper attempts to emphasize that a wider variety of approaches to art education from new methods and perspectives are required as well as developing more effective lesson plans. The current trend of education is placing emphasis on autonomy and openness, which are characteristics required by our society. Similarly,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help students to become autonomous and self-directing learners are developed not only by a nationwide curriculum but also by individual teachers. One of the most commonly applied models is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which relates learning to specific incidents in daily lives. PBL presents students with real-world problems by allowing students to be in the center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PBL, students explore necessary knowledge to solve the given problem, building their critical thinking, cooperative,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PBL, learners are in the center of learning because they gather and select information they need autonomously. PBL has a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educational model to the conventional learning-teaching metho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teps are taken to investigate how an integrated art class based on the PBL model applied to the seventh grade impacts stud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Firstly, concepts and need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were derived from related literature. Research on literature regarding integrated education models for arising environmental awareness in middle school art education and also about PBL models provide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Next, based on a comprehensive theory of educational significance on integrated education in middle school art class, art education textbooks from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ccording to Forgarty’s spider web model. Lastly, based on Yeonsun Jo’s PBL model, a project of creating environmental protection posters was given to seventh grade students, which was selected considering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and interests. Stud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rew by having the opportunity to discover environmental problems, by designing posters and creating them by themsel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2 seventh-grade students in Kimpo, Keonggi-do. 36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an integrated art class with PBL model, while the other 36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a conventional class without integration. Results from each group were divided into two kinds; results that can be processed statistically were analyzed by the software SPSS ver. 12.0, while the other results that cannot be treated statistically were qualitatively analyzed. Seonja Kye(1997)’s thesis <The Stud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and Behavior of Consumers in their Childhood> and Jihaksa’s environmental education textbooks were referred to create an assessment model for analyzing change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in students, while its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and criteria were verified by two educational experts. Independent samples t-test is executed to verify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nd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v.12.0 was utiliz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integrated art class instruction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the cognitive and practical domain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than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ho received a conventional, non-integrated clas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found in the value domain, 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improvement rate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average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ly,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poster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pieces were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s, under the criteria of ‘topic expression,’ ‘expressive method,’ ‘model elements and principles,’ and ‘expressive materials and tools’. Moreover, through the integrated class, learners could internaliz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ossess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earning knowledge and practice in environmental issues. In conclusion, the inter-subject integrated art class based on the PBL model positively affected seventh-grade stud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study has verified that the inter-subject integrated art class based on the PBL model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Thus, further studies in integrated art classes to raise stud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should continu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이론적 배경 4 A.환경보존의식 4 B.중학교 미술과 교육에서 교과의 통합 7 Ⅲ.연구방법 23 A.연구대상 및 절차 23 B.연구도구 25 C.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52 Ⅳ.연구결과 및 논의 53 A.연구결과 53 B.논의 64 Ⅴ.결론 66 참고문헌 68 부록 71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8716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1학년 환경 보존의식 고취를 위한 통합 수업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PBL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Integrated Instruction for The Seventh Grade for Promot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wareness : Centered on PBL-
dc.creator.othernameKim, Eun Hyun-
dc.format.pageix,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